정원수의 60%까지를 소나무로 배치하거나 향나무를 심어 전체를 하나의 힘찬 형태나 색채 또는 선으로 통일 시켰을 때 나타나는 아름다움은?
가.
단순미
나.
통일미
다.
점층미
라.
균형미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다양성(통일미) → 조경에서 조경수의 60%까지 잣나무를 심거나 소나무를 배치하여 색채 또는 선으로 통일 시켰을 때 균형과 대칭:균형 →한쪽에 치우침이 없이 전체가 균등하게 배치 [해설작성자 : shin]
3.
베르사이유 궁원을 꾸민 사람은?
가.
르 노트르
나.
옴스테드
다.
챔버
라.
팩스톤
정답 : [
1
] 정답률 : 85%
4.
자연식 조경 중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을 이용한 정원 양식은?
가.
전원 풍경식
나.
회유 임천식
다.
고산수식
라.
중정식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전원풍경식 → 영국, 독일/ 넓은 잔디밭을 이용한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자연풍경 2. 회유임천식 → 중국/ 자연과 대담한 대비/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 이용 → 일본/ 자연풍경의 섬세한 조화/ 곳곳에 다리설치로 정원 회유 3. 고산수식 → 일본(불교영향-용안사) → 물을 전혀 이용하지 않음/ 나무 바위(중심) 왕모 4. 중정식 → 건물로 둘러싸인 내부(스페인 정원, 중세 수도원 정원/ 소규모 분수나 연못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회유 임천식은 일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33]
[오류신고 반론] 중국: 자연과의 대비,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을 이용. 일본: 자연과의 조화, 다리를 설치하여 정원을 회유 [해설작성자 : 장미]
5.
조경과 가장 관계가 없는 계획은?
가.
국토계획
나.
경제계획
다.
도시계획
라.
경관계획
정답 : [
2
] 정답률 : 85%
6.
고려시대 정원 요소의 두드러진 특징이 아닌 것은?
가.
석가산(石假山)
나.
원정(園亭)
다.
화원(花園)
라.
화계(花階)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고려시대 정원의 특징 - 궁궐정원 : 괴석에 의한 석가산(石假山)과 원정을 만듬 호원과 후원을 별당정원에 배치 - 원정(園亭) : 전망 좋은 강변과 언덕에 휴식과 조망을 위한 정자 설치 - 화원(花園) : 관상목적의 화훼를 송.원나라에서 수입식재 정원은 이국적 분위기를 나타냄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 화계(花階, 꽃계단) : 계단 주위로 여러 층의 담을 쌓아 꽃을 심은 것
7.
중국정원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가.
상림원
나.
북해공원
다.
중앙공원
라.
이화원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중국 진,한시대 천자의 동산 이름
8.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유럽식 정원은?
가.
덕수궁 석조전 앞 정원
나.
파고다공원
다.
장충공원
라.
구 중앙청사 주위 정원
정답 : [
1
] 정답률 : 86%
9.
일본의 다정(茶庭)이 나타내는 아름다움은?
가.
조화미
나.
대비미
다.
단순미
라.
통일미
정답 : [
1
] 정답률 : 80%
10.
차폐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가.
아름다운 곳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나.
경관상의 가치가 없거나 너무 노출된 것을 막기 위해
다.
차경(借景)을 하기 위해
라.
통경선을 조성하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85%
11.
조경에서 점을 취급할 때 짜임새 구성요소로써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가.
대비
나.
균형
다.
강조
라.
분할
정답 : [
4
] 정답률 : 68%
12.
토양의 단면에 있어 낙엽과 그 분해 물질 등 대부분 유기물로 되어 있는 토양 고유의 층으로 L층, F층, H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층은?
<문제 해설> 심근성 수종은 뿌리가 깊이 내리는 수종이다. 참나무류, 소나무류가 이에 해당한다. 이와 대비되는 천근성 수종은 뿌리가 얕고 넓게 분포하는데, 주로 미류나무류와 사시나무류가 이에 해당한다. 심근성 수종은 양수이며 건조한 임지에 많이 분포하며 잘 생육하고 수령이 긴 장기수가 많고 천근성 수종은 음수이며 습한 음지를 좋아하며 보통 속성수가 많다. [해설작성자 : 憤怒紅蔘砂糖]
장미, 단풍나무, 배롱나무, 벚나무 등에 많이 발생하며 석회유황합제 살포로 방제할 수 있는 병해는?
가.
흰가루병
나.
녹병
다.
빗자루병
라.
그을음병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흰가루병 : 장미,단풍나무,배롱나무,벚나무등에 발생, 석회유황합제 살포 * 그을음병 : 깍지벌레, 진딧물의 배설물에 의해 발생 * 빗자루병 :‘옥시테트라 사이클린’(수간 주입) * 붉은녹병 ; 주로 한국잔디에 가장 많이 발생
[추가 해설]
흰가루병 - 잎과 새 가지에 흰가루가 생겨 위축 - 참나무류는 가을에 작은 점이 형성 - 진균에 속하는 자낭균류의 대표적인 병해 - 새순이 나오기 전 : 석회황합제 / 여름 : 만코제브 수화제 살포 - 장미, 감나무, 밤나무, 느티나무, 배롱나무, 참나무류, 물푸레나무 등
잎녹병 - 4월 상순부터 1개월 동안 침엽에 황색 또는 황백색 주머니가 나란히 형성 - 다이센 M-45, 만코제브 수화제, 마네브 수화제 등 살포 -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
빗자루병 - 균이 잎과 줄기에 침입 - 연약하고 가는 가지와 잎이 총생하여 빗자루 모양이 됨 - 입은 소형으로 담록색 - 대나무는 마디 수가 많고 비닐 모양의 소엽이 착생 -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주사, 8-8식 보르도액 살포 - 가지를 잘라서 소각 - 대나무, 벚나무, 전나무, 대추나무, 오동나무, 살구나무 등
그을음병 - 생육이 불량한 잎과 줄기에 그을음이 부착 - 깍지벌레, 진딧물의 배설물에 의해 발생 - 마라톤 유제 등으로 진딧물이나 깍지벌레 등 흡증성 해충 방제 - 감귤, 주목, 감나무, 배롱나무, 소나무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파이토플라즈마(균도 아니고 곰팡이도 아닌 중간 형태의 체)에 의한 빗자루병 : 대추나무/오동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 초기 치료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수간 주사, 초기 치료기를 놓쳤을때에는 치료 불가한 바 과감하게 묘목을 잘라야 함.(확산 방지 차원) [해설작성자 : 달봉]
37.
일반적으로 상단이 좁고 하단이 넓은 형태의 옹벽으로 3m내외의 낮은 옹벽에 많이 쓰이는 것은?
가.
중력식 옹벽
나.
캔티레버 옹벽
다.
부축벽 옹벽
라.
석축 옹벽
정답 : [
1
] 정답률 : 74%
38.
다음은 연못의 급배수에 대한 설명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가.
배수공은 연못 바닥의 가장 깊은 곳에 설치한다.
나.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을 토수구라 한다.
다.
일류공에는 철망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라.
급배수에 필요한 파이프의 굵기는 강우량과 급수량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월류구(일류구, overflow) -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 - 급수구보다 낮게 하여 수면과 같은 위치에 잉여수가 빠지도록 설치
39.
개화결실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정지, 전정 방법 중 옳지 못한 것은?
가.
약지(弱枝)는 길게, 강지(强枝)는 짧게 전정하여야 한다.
나.
묶은가지나 병충해가지는 수액유동 전에 전정한다.
다.
작은 가지나 내측(內側)으로 뻗은 가지는 제거한다.
라.
개화 결실을 촉진하기 위하여 가지를 유인하거나 단근 작업을 실시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약지는 짧게 강지는 길게 전정
40.
소나무류의 잎솎기는 어느 때 하는 것이 좋은가?
가.
3월경
나.
4월경
다.
6월경
라.
8월경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3월 : 묵은 잎을 제거 5~6월 : 순지르기(순따기) 8월 : 잎솎기
41.
소나무에 많이 발생하는 솔나방 구제에 가장 효과적인 농약은?
가.
만코지제(다이센)
나.
캡탄수화제(오소싸이드)
다.
포리옥신수화제
라.
디프제(디프록스)
정답 : [
4
] 정답률 : 63%
42.
추위로 줄기밑 수피가 얼어터져 세로 방향의 금이 생겨 말라죽는 일이 생기는 나무는?
가.
단풍나무
나.
은행나무
다.
버즘나무
라.
소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상렬(霜裂) - 추운 겨울밤에 수액의 결빙으로 인해 부피가 증대되어 수간의 외층이 냉각 및 수축하여 갈라지는 피해 - 수피가 얇은 목련, 벚나무, 단풍나무, 배롱나무 등에서 발생
43.
동계전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낙엽수는 휴면기에 실시하므로 전정을 하여도 나무에 별 피해가 없다.
나.
제거대상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작업도 용이하다.
다.
12 - 3월에 실시한다.
라.
상록수는 동계에 강전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동계전정 (12~3월) 낙엽수는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쉽다.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과 가을에 전정함 상록수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강전정을 피한다. [해설작성자 : 쭈야]
44.
건물과 정원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시설은?
가.
아아치
나.
트렐리스
다.
피어걸러
라.
테라스
정답 : [
4
] 정답률 : 79%
45.
콘크리트 부어 넣기의 방법이 올바른 것은?
가.
비빔장소에서 먼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으로 옮겨가며 붓는다.
나.
계획된 작업구역 내에서 연속적인 붓기를 하면 안된다.
다.
한 구역내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이 경사지게 붓는다.
라.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는 물을 넣어 다시 비벼쓴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46.
디딤돌 놓기 방법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가.
돌의 머리는 경관의 중심을 향해서 놓는다.
나.
돌 표면이 지표면보다 3-6cm 정도 높게 앉힌다.
다.
돌 밑의 빈 곳에 흙을 충분히 밀어 넣으면서 다진다.
라.
돌의 크기와 모양이 고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디딤돌은 크고 작은 것을 섞어 쓴다
47.
다음 설계기호는 무엇을 표시한 것인가?
가.
인조석
나.
잡석다짐
다.
보도블록포장
라.
콘크리트
정답 : [
2
] 정답률 : 76%
48.
새끼(볏짚제품)의 용도를 설명한 것이다. 틀리게 설명된 것은?
가.
더위에 약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줄기에 감는다.
나.
옮겨심는 나무의 뿌리분이 상하지 않도록 감아준다.
다.
강한 햇빛에 줄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아 준다.
라.
천공성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아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49.
뿌리분의 직경을 정할 때 그 계산식이 옳은 것은?
가.
A = 24 + (N - 3) × d
나.
A = 24 + (N + 3) × d
다.
A = 25 + (N - 5) × d
라.
A = 20 + (N + 2) × d
정답 : [
1
] 정답률 : 75%
50.
이식할 수목의 가식장소와 그 방법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가.
공사의 지장이 없는 곳에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가식 장소를 정한다.
나.
그늘지고 배수가 잘 되지 않는 곳을 선택한다.
다.
나무가 쓰러지지 않도록 세우고 뿌리분에 흙을 덮는다.
라.
필요한 경우 관수시설 및 수목 보양시설을 갖춘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51.
조경수 전정의 방법이 옳지 않은 것은?
가.
전체적인 수형의 구성을 미리 정한다.
나.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가지를 배치한다.
다.
병해충 피해를 받은 가지는 제거한다.
라.
아래에서 위로 올라 가면서 전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52.
다음 중 정원의 관리 요령이 잘못된 것은?
가.
분수나 폭포에 대한 급수관이 노출되어 있을 때는 짚이나 거적으로 싸준다.
나.
다듬기 작업은 적어도 늦봄과 초가을에 두번 실시 하되, 겨울에도 한번은 해야 좋다.
다.
지나치게 우거지지 않도록 1년에 두번은 가지솎기를 해준다.
라.
디딤돌의 보수는 앞뒤에 놓인 디딤돌의 높이를 최대한 고려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53.
시방서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가.
설계 도면에 필요한 예산계획서이다.
나.
공사계약서이다.
다.
평면도, 입면도, 투시도 등을 볼 수 있도록 그려 놓은 것이다.
라.
공사개요, 시공방법, 특수재료에 관한 사항 등을 명기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54.
공원에 배식할 때 가장 적정한 상록수와 낙엽수의 비율은?
가.
3:7
나.
5:5
다.
6:4
라.
8:2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를 낙엽수와 상록수로 해야하는 것 아닌지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