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실형과 무실형의차이는 정자 안에 측실을 두고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그런데 전남 담양 소쇄원 광풍각과 경남 함양 임대정은 모두 측실을 두고 있습니다. 광풍각은 측실에 온기를 넣을수 있게 온돌구조를 하고 있고 거연정은 대청마루 형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답이 두개입니다.
[추가 오류 신고] 3번 거연정은 전남 광양이 아닌 경남 함양이다. [해설작성자 : 삼다수]
<문제 해설> 흰말채나무의 특징 수피(나무껍질)이 여름에는 녹색, 가을부터 붉은빛이돈다. 꽃은 5-6월 황백색이며 열매는 8-9월 백색으로 나타난다. 단풍은 적색.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
27.
미장재료 중 혼화재료가 아닌 것은?
가.
방수제
나.
방동제
다.
방청제
라.
착색제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방수제 : 몰타르로 미장을 할 때 화학수지인 방수제를 섞어 바르기도 합니다. 방동제 : 겨울철 콘크리트 동해 예방을 위해 염화칼슘이나 식염을 섞어 바르기도 하는데 철근을 녹슬게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방청제 : 철판이나 철골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 도장 전에 바르는 것입니다. 선박 도색이나 철골 도막에 빨간색 방청제를 바르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착색제 : 수성페인트나 유성페인트의 색을 내기 위해 섞는 것입니다. 방청제는 다른 것과 섞지 않고 칠하고 나머지 셋은 다른 재료나 도료와 섞어서 씁니다. 문제가 섞어쓰는 것인 환화제가 아닌 것을 묻기에 3번이 답 [해설작성자 : 이근호]
한켜는 마구리 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길이켜의 모서리와 벽 끝에 칠오토막을 사용하는 벽돌 쌓기 방법은?
가.
네덜란드식 쌓기
나.
영국식 쌓기
다.
프랑스식 쌓기
라.
미국식 쌓기
정답 : [
1
] 정답률 : 63%
38.
중앙에 큰 암거를 설치하고 좌우에 작은 암거를 연결시키는 형태로, 경기장과 같이 전 지역의 배수가 균일하게 요구되는 곳에 주로 이용되는 형태는?
가.
어골형
나.
즐치형
다.
자연형
라.
차단법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어골형- 경기장같은 평탄지역, 균일하게 배수가 요구되는 지역 즐치형- 작은면적의 전 지역을 균일하게 배수 자연형- 대규모 공원,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곳, 완전배수가 요구되지 않는 곳 차단형- 도로 비탈면, 경사면 바로 위쪽에 배수구 설치함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
39.
상해(霜害)의 피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분지를 이루고 있는 우묵한 지형에 상해가 심하다.
나.
성목보다 유령목에 피해를 받기 쉽다.
다.
일차(日差)가 심한 남폭 경사면 보다 북쪽 경사면이 피해가 심하다.
라.
건조한 토양보다 과습한 토양에서 피해가 많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상해는 1번 보기처럼 분지등의 지형,즉 일교차가 심할수록 피해가 크다고합니다. 3번 보기에서는 남쪽 경사면의 일교차가 북쪽보다는 더 할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10년]
40.
하수도시설기준에 따라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몇 mm를 표준으로 하는가?
가.
100mm
나.
150mm
다.
200mm
라.
250mm
정답 : [
3
] 정답률 : 59%
41.
상록수를 옮겨심기 위하여 나무를 캐 올릴 때 뿌리분의 지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근원직경의 1/2배
나.
근원직경의 1배
다.
근원직경의 3배
라.
근원직경의 4배
정답 : [
4
] 정답률 : 87%
42.
솔나방의 생태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식엽성 해충으로 분류된다.
나.
줄기에 약 400개의 알을 낳는다.
다.
1년에 1회로 성충은 7∼8월에 발생한다.
라.
유충이 잎을 가해하며, 심하게 피해를 받으면 소나무가 고사하기도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솔나방은 줄기에 알을 낳지않고 솔잎에 알을 낳습니다. [해설작성자 : 로빈손삼촌]
43.
일반적인 조경관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운영관리
나.
유지관리
다.
이용관리
라.
생산관리
정답 : [
4
] 정답률 : 84%
44.
다음 해충 중 성충의 피해가 문제되는 것은?
가.
솔나방
나.
소나무좀
다.
뽕나무하늘소
라.
밤나무순혹벌
정답 : [
2
] 정답률 : 45%
45.
조경설계기준에서 인공지반에 식재된 식물과 생육에 필요한 최소 식재토심으로 옳은 것은?(단, 배수구배는 1.5∼2%, 자연토양을 사용)
인공지반에서 생육에 필요한 최소토심에 자연토양이라는 조건이므로, 1번 잔디 15cm와 4번 대관목 60cm 모두 정답입니다. 인공지반에서 인공토양을 사용할 때, 최소생존토심의 기준은 잔디초화류,소관목,대관목,천근성교목,심근성교목 순으로 10,20,30,40,60(cm)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자연토양에서 생육에 필요한 최소 토심 잔디, 초화류 : 30 소관목 45 대관목 60 자연토양에서 생존에 필요한 최소 토심 잔디, 초화류 : 15 소관목 30 대관목 45 따라서 정답은 4번으로 생각됩니다만 [해설작성자 : 페인트 회사 연구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자연지반 인공지반 동일한 식재토심을 적용하고토양만 인공/자연/혼합만 구분하여 식재 토심을 정하므로 4번 대관목 60cm가 정답입니다.관련 학과 교수님에게 직접 문의함
46.
다음 중 한발이 계속될 때 짚 깔기나 물주기를 제일 먼저 해야 될 나무는?
가.
소나무
나.
향나무
다.
가중나무
라.
낙우송
정답 : [
4
] 정답률 : 58%
47.
우리나라의 조선시대 전통정원을 꾸미고자 할 때 다음 중 연못시공으로 적합한 호안공은?
가.
자연석 호안공
나.
사괴석 호안공
다.
편책 호안공
라.
마름돌 호안공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사괴석은 궁궐이나 사대부집 담장을 쌓는데 사용하는 돌입니다. 사방 6치(약18센티) 정도 되고 모가 난 육면체 화강석입니다. 어른이 지게로 네덩어리를 한집에 질 수 있다고 하여 4괴석이라합니다. 덕수궁 돌담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이근호]
O 민가의 정원에서는 사괴석이 아닌 자연스럽게 다듬은 자연석을 사용합니다. 문제에 궁궐인지 민가인지를 구분해 줬어야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8.
다음 중 농약의 보조제가 아닌 것은?
가.
증량제
나.
협력제
다.
유인제
라.
유화제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인제 : 곤충을 유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49.
주로 종자에 의하여 번식되는 잡초는?
가.
올미
나.
가래
다.
피
라.
너도방동사니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종자 번식 - 피, 바랭이, 개기장, 명아주 등 영양 번식 - 가래, 띠, 올방개, 무릇 등 종자 및 영양 번식 - 너도방동사니, 벗풀, 쑥 등 [해설작성자 : 태백]
50.
표면건조 내부 포수상태의 골재에 포함하고 있는 흡수량의 절대 건조상태의 골재 중량에 대한 백분율은 다음 중 무엇을 기초로 하는가?
가.
골재의 함수율
나.
골재의 흡수율
다.
골재의 표면수율
라.
골재의 조립률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표건상태랑 절건상태가 언급되면서 백분율을 물어본다면 흡수율을 찾아 적으면되고 백분율이 아닌 양을 물어본다면 흡수량을 찾으면된다.
위와 마찬가지로 습윤상태->표건상태 백분율=표면수율 양=표면수량 습윤상태->절건상태 백분율=함수율 양=함수량 표건상태->기건상태 백분율=유효흡수율 양=유효흡수량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