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시대 공공건물과 주랑으로 둘러싸인 다목적 열린 공간으로 무덤의 전실을 가리키기도 했던 곳은?
가.
포름
나.
빌라
다.
테라스
라.
커넬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그리스 공공건물로는 아고라, 스토아, 원형극장이 있습니다. '사다;라는의미를 가진 아고라는 시장기능과 함께 정치, 사회, 문화의 중심역할을 하였습니다. 아고라에는 주랑을 세우고 주변에 조각상이나 공공건물을 지었습니다. 이 주랑이 있던 공간을 포름이라 하였는데 이곳에서 정치적 의견도 표현하고 연극도 관람하고 신에대한 제사도 지냈습니다. 그리스와 활발한 교류관계가 있었던 로마에서는 이를 본따 정치적 의사표현 공간을 포럼이라 불렀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근호]
2.
다음 중 본격적인 프랑스식 정원으로서 루이 14세 당시의 니콜라스 푸케와 관련 있는 정원은?
가.
보르뷔콩트(Vaux-le-Vicomte)
나.
베르사유(Versailles)궁원
다.
퐁텐블로(Fontainebleau)
라.
생-클루(Saint-Cloud)
정답 : [
1
] 정답률 : 71%
3.
오방색 중 오행으로는 목(.)에 해당하며 동방(東)의 색으로 양기가 가장 강한 곳이다. 계절로는 만물이 생성하는 봄의 색이고 오륜은 인(仁)을 암시하는 색은?
강을 적당한 온도(800~1000℃)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에 로(爐) 내부에서 천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법은?
가.
풀림(annealing)
나.
불림(normalizing)
다.
뜨임질(tempering)
라.
담금질(quenching)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금속재의 열처리방법 풀림- 고온(800-1000도) 가열 후 로 속에서 서서히 냉각 불림- 변태점 이상 가열 후 공기중에서 냉각 담금질- 고온(800-1000도) 가열 후 물이나 기름에서 급냉각 뜨임- 담금질한 강을 변태점 이하로 가열 후 냉각 [해설작성자 : 조경나그네]
22.
흙에 시멘트와 다목적 토양개량제를 섞어 기층과 표층을 겸하는 간이포장 재료는?
가.
우레탄
나.
콘크리트
다.
카프
라.
칼라 세라믹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카프(흙 시멘트, soil cement) : 시멘트와 흙과 물을 혼합하여 단단하게 만든 것으로 콘크리트와 같이 강하지는 않으나 지반을 다지는 역할을 하며 도로의 지반이나 수로의 내장용으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좀 쉽게 설명드릴께요. 경사도는 수직거리/수평거리 이므로 1:1의 경우는 d에서 수선을내려 그어 만나는 점을 o라하면 od는 5센티미터, 1:1.5는 a에서 수선을 내려그어 만나는점이 s라하면 수직거리가 8이므로 수평거리 as는 8에 1.5를 곱해 12를 구할 수 있습니다. (높이는 아랫변 모두 합해 12+12+5=29_그리하면 옆으로 누운 사다리꼴이 완성되었으므로 전체 사다리꼴에서 두 삼각형을 빼면 (웟변+아랫변)*높이/2 - 두삼각형, (5+8)*29/2-12*8/2-5*5/2 = 188.5-48-12.5=128 답 4번 [해설작성자 : 이근호]
[오류신고 반론] (추가 해설) * 사다리꼴 면적 구하기 공식 산출이기도 하지만, 기억하기 쉽게 그림으로 보면 더 이해하기 쉽겠지요?? 문제에서 주어진 그림을 똑같이 하나 더 만들어 위로 붙이되, 좌측은 우측으로 가도록, 우측은 좌측으로 가도록 해주면 위 해설해 주신분들이 제시한 수치가 왜 주어졌는지 쉽게 이해가 되고, 기억하기 쉬워 유사하게 진화된 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위 분들이 제시한 계산식을 그림으로 접근해 보자면(위 계산식들과 같은 개념입니다) 도형이 차지하는 가로축과 세로축의 총 길이로 총 공간의 면적을 구한 후 공사 면적만 산출하기 위해 경사도에 의한 비공사면적인 삼각형(총 4개, 높이 5, 높이 8로 주어진 삼각형이 상하로 2개씩)의 면적을 빼어낸 후 2로 나눠주면(도형을 카피해서 하나 더 만들었으므로 다시 나눠줌) 128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달봉]
<문제 해설> 엽면시비葉面施肥,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 foliar application 작물은 뿌리에서 뿐만 아니라 엽면에서도 비료성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필요할 경우 비료를 용액(溶液)의 상태로 잎에 뿌려주는 것을 엽면시비라고 하며, 엽면시비는 토양시비보다 비료성분의 흡수가 빠르고, 토양시비가 곤란한 때에도 시비할 수 있으나, 일시에 다량으로 줄 수가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토양층위 중 집적층에 해당되는 것은?
가.
A층
나.
B층
다.
C층
라.
O층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Ao : 유기물층 A : 용탈층(표토) B : 집척층(심토) C : 모재층 D : 기암층 [해설작성자 : 달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