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3번에서 4번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설을 참고하세요.
폼타이(form tie) -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긴장재 세퍼레이트(separator) -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 스페이서(spacer) -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복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재(굄재) [해설작성자 : 전은정]
추가 오류 신고 [용어해설: 건축용어사전] 사전에 따르면 정답이 2번이네요~ ^ ^
세퍼레이터(Separator): 철근간의 간격이나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해 사용하는 받침 또는 부품. 스페이서 (Spacer) :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받침. 모르타르제,플라스틱제의 것 등. 캠버 (Camber) : 수평구조부에 인위적으로 준 약간의 아치형 굽음. 긴장기 (Form tie) : 콘크리트 시공에서 상대하는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볼트. [해설작성자 : 북부 조경, 이차노]
[추가 오류 신고]
이차노 님 설명이 맞습니다..정답은 2번 입니다..3번도 4번도 아닙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정확한 정답은 : 세퍼레이터(콘크리터의 형틀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구) [해설작성자 : 박수태]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정답 2번 출판사 책과 상상 13년 3회에서 [해설작성자 : 도니]
[추가 오류 신고] 건축기사 관련 공부 내용을 보면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상호간에 간격유지는 긴장재 즉 영어로 폼타이가 맞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입니다 . [해설작성자 : jhs]
[추가 오류 신고] 스페이서(spacer)는 철근, 유로폼, 합판, 기타등에 사용되는 간격재입니다.즉 간격에 맞게 제품화가 된것도 있지만 현장여건상 모든치수를 다 제품화 된 것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스페이서, 세퍼레이터, 폼타이등이 각 특성에 맞는 스페이서로 사용되지만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는 유로폼은 규격화된 대량생산제품이고 거푸집은 현장에서 현장조건에 맞게 제작(목재각재와 합판으로)하여 사용하는 자재를 뜻합니다. 이리하여 특정공사를 명하지 않고 공사 중 거푸집이라고 명하였으니 각 특성에 맞는 세퍼레이터나 폼타이는 원하는 답과 상이하고 간격재를 총칭하는 스페이서가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숲생태학원]
[오류신고 반론] (주)시대고시 기획 조경기능사 필기 과년도 기출문제에 따르면 1번 캠버(Camber) : 높이 조절용 쐐기(솟음), 처짐을 고려 미리 보, 슬래브의 중앙부를 1/300~1/500 치켜 올림 2번 긴장기(Form Tie) :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긴장재 3번 스페이서(Spacer) :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복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재(굄재) 4번 세퍼레이터(Seperator) :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 이라고 해설에 나와있습니다. 답은 4번, 세퍼레이터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복도링]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0. 세퍼레이터는 길거리 소규모 시멘트 벽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통상 각목으로 거푸집 내측 상단에 설치해 놓은게 바로 세퍼레이터입니다.
긴장재는 규모가 큰 콘크리트 벽 공사장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공사를 마친곳에서 보시면 벽에 철제로 된 핀이 다닥다닥 박혀있는게 긴장재로 타설된 콘크리트와 함께 벽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 긴장재(폼타이)는 거푸집 상호간(맞은편 거푸집을 지칭) 상단, 중단, 하단 등 취약지에 핀을 넣어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 후 콘크리트를 타설해 거푸집이 벌어지지도 좁혀지지도 않도록 간격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세퍼레이터는 거푸집 간(맞은편 거푸집을 지칭) 안쪽에 적당한 간격을 가진 막대 등을 고정시켜 거푸집이 외부의 힘이나 콘크리트 수축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거나 빨려드는걸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즉, 긴장재가 세퍼레이터의 일부기능을 포함합니다.
※ 결론적으로 세퍼레이터는 거푸집 간격을 최소 유효간격 중심으로 확보(넓혀지는건 잡아주는 힘이 약함), 긴장재는 최소 유효간격과 최대 유효 간격이 항상 같도록 해줌, 즉, 거푸집 간격이 좁혀지지도 넓혀지지도 않게 일정하게 유지해 줍니다. 따라서 위 문제의 질문이 좀 더 구체적이어야 하지만, 답을 하나로 정한다면 2번이 정답에 더 가깝다고 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다음 중 트래버틴(travertin)은 어떤 암석의 일종인가?
가.
화강암
나.
안산암
다.
대리석
라.
응회암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석회암 종류가 변성된 암석으로 제주도의 현무암처럼 구멍이 숭숭 뚤려있는 돌, 적색으로 이탈리아산이 많이 알려져 있음. 요즘 공원 주변등에 종종 현무암처럼 생긴 붉은 자갈들을 포장하는데 트레버틴을 많이 사용 함. [해설작성자 : 달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