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귤준망의 '작정기' -일본 최초의 조원지침서이며 일본 정원 축조에 관한 가장 오랜된 비전서이다. -귤준망(강)의 저서이며, 겅물에 어울리는 조원법을 서술하였다. -내용 : 돌을 세울 때 마음 가짐과 세우는 법, 연못의 형태, 섬의 형태, 폭포 만드는 법 등 지형의 취급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3.
식재설계에서의 인출선과 선의 종류가 동일한 것은?
가.
단면선
나.
숨은선
다.
경계선
라.
치수선
정답 : [
4
] 정답률 : 80%
14.
다음 중 이탈리아 정원의 장식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기둥 복도, 열주, 퍼골라, 조각상, 장식분이 된다.
나.
계단 폭포, 물무대, 정원극장, 동굴 등이 장식된다.
다.
바닥은 포장되며 곳곳에 광장이 마련되어 화단으로 장식된다.
라.
원예적으로 개량된 관목성의 꽃나무나 알뿌리 식물 등이 다량으로 식재되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④는 이탈리아 정원의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 조경의 특징이다. 대표적인 알뿌리 식물은 튤립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 습윤상태 : 골재 외부도 물기로 가득하고 내부도 수분으로 채워져 있을 때 2. 표면건조 내부 포함상태 : 표면에는 물기가 없고 내부는 수분으로 채워져 있을 때 3. 기건(공기중건조)상태 : 골재의 수분함유량이 대기중 습도와 평행을 이룬 상태 즉 자유수는 제거되고 결합수만 남은 상태(약 15%) 4. 절대 건조상태 : 골재 내부 물이 모두 제거된 상태, 즉 결합수도 제거된 상태(0%)이 기준으로 한다면 정답에 문제가 많은 문항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근호]
20.
다음 중 자작나무과(科)의 물오리나무 잎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나.
다.
라.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물오리나무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1.
실리카질 물질(SiO2)을 주성분으로 하여 그 자체는 수경성(hydraulicity)이 없으나 시멘트의 수화에 의해 생기는 수산화칼슘[Ca(OH)2]과 상온에서 서서히 반응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드는 광무질 미분말의 재료는?
가.
실리카흄
나.
고로슬래그
다.
플라이애시
라.
포졸란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 포졸란 -워커빌리티가 좋코(블리딩 감소), 장기강도가 크며 수밀성이 좋다. -방수용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고광나무의 꽃은 긴 꽃대에서 백색 또는 항색의 꽃이 핀다 . 정답은 2번 ,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윤정근]
[오류신고 반론] 국립수목원 식물도감 내용 꽃차례에 잔털이 있고 5~7개의 백색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지름은 3~3.5cm로서 향기가 있고 작은 꽃대 길이는 6~13mm로서 꽃받침통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안쪽 끝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백색이며 4개로 원형 또는 넓은 달걀꼴이고 암술대는4개로서 1/2보다 더 깊게 갈라지고 암술대와 밀선반까지 털이 발달했다. [해설작성자 : 라이센스]
27.
화성암의 심성암에 속하며 흰색 또는 담회색인 석재는?
가.
화강암
나.
안산암
다.
점판암
라.
대리석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화성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굳어지는 심성암과 지표에서 굳어지는 화산암으로 구분한다. 화강암은 심성암이며, 안산암, 현무암 등은 화산암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이판암-수성암 대리석-변성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대취란 지표면과 잔디(녹색식물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미 죽었거나 살아있는 뿌리, 줄기 그리고 가지 등이 서로 섞여 있는 유층을 말한다. 다음 중 대취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한겨울에 스캘팡이 생기게 한다.
나.
대취층에 병원균이나 해충이 기거하면서 피해를 준다.
다.
탄력성이 있어서 그 위에서 운동할 때 안전성을 제공한다.
라.
소수성인 대취의 성질로 인하여 토양으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아서 국부적으로 마른 지역을 형성하며 그 위에 잔디가 말라 죽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대취 - 공기와 비효의 효율적 이동을 방해하고 잔디의 생육을 악화시킴 - 병원균 및 해충의 서식지로 병 발생의 원인 - 부분적으로 건조피해를 일으킴(소수성) - 살충제, 살균제 약효 저하시킴 - 고온장해, 동해, 건조해 등 내성 약화 - 잔디의 스켈핑현상(잔디 깍기 후 잔디껍질이 벚겨지는 것) - 지렁이 발생 증가
[추가 해설]
☞ 스캘핑이란 너무 낮게 깎아서 잔디의 줄기나 포복경이 지표면에 노출되어 누렇게 보이는 현상으로 대위와는 관계성이 없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9.
다음 중 가을에 꽃향기를 풍기는 수종은?
가.
매화나무
나.
수수꽃다리
다.
모과나무
라.
목서류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매실나무 : Prunus mume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붉은색을 띤 흰빛이며 향기가 난다.
2. 수수꽃다리 : Syringa dilatata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묵은 가지에서 자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3. 모과나무 : Chaenomeles sinensis 꽃은 연한 홍색으로 5월에 피고 지름 2.5∼3cm이며 1개씩 달린다. 열매는 이과(梨果)로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향기가 좋으나 신맛이 강하다.
4. 목서 : Osmanthus fragrans 꽃은 2가화(二家花)로 10월에 피고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금목서보다 향기가 약하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 실선은 단면선인데 파선 : 단면 1번도 잘못 짝지어 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정답을 1번으로 수정
과거 발행된 제도 통칙을 보니 가는이점쇄선은 중심선으로도 사용 반면, 신 제도통칙(서면 제도용은 폐기 후 새로 적용되는 자료는 찾지 못한 상태임)의 기계 분야에 적용되는 선에서도 그렇지만 다수의 제도 관련 선 표기에 의하면 파선을 보이지 않는 물체를 표시하는 것으로만 설명하는 자료는 있어도 단면을 표시한다는 내용은 찾지 못함. 즉 보기의 1번은 확실하게 잘못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해설작성자 : 달봉]
[추가 오류 신고] 국가표준 KS B 0001 (2017년까지는 있었던 자료로 보임)에 의하면 2점 가는쇄선은 가상선 또는 무게의 중심선을 표시라고 되어 있습니다.... 위 보고 4번의 중심선을 무게중심으로 보면 맞는것으로 인정.... [해설작성자 : 달봉]
[추가 오류 신고] 1.파선-가상선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49.
전정도구 중 주로 연하고 부드러운 가지나 수관 내부의 가늘고 약한 가지를 자를 때와 꽃꽃이를 할 때 흔히 사용하는 것은?
가.
대형전정가위
나.
적심가위 또는 순치기가위
다.
적화, 적과가위
라.
조형 전정가위
정답 : [
2
] 정답률 : 75%
50.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가.
단단하고 치밀할 것
나.
필요한 무게를 가질 것
다.
알의 모양은 둥글거나 입방체에 가까울 것
라.
골재의 낱알 크기가 균등하게 분포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골재는 크고 작은 것이 적당히 혼합된 것이 좋으며, 표면이 깨끗하고 불순물이 묻어있지 않으며, 유해물질이 없는것이 좋다,
납작(세작형)하거나, 길지 않고 구형에 가까워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반 다짐에 자갈과 모래 및 흙이 고르게 섞여 자져진게 단단하듯이... 골재는 낱알 크기가 크게 작은게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구조가 단단해져 압축 강도가 더욱 높아집니다.
[추가 오류 신고] 골재의 입형은 가능한 구형이나 입방체 잔골재는 씻기시험(KS F 2511*) 손실량이 3.0% 이하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합되어 있을 것 (입도 불균형-콘크리트의 점성이 부족하여 골재분리가 발생하며, 타설 후 표면균열이 발생하기 쉬움) 잔골재는 유기불순물시험(KS F 2510**)에 합격한 것 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04%(NaCl)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달봉]
51.
임목(林木) 생장에 가장 좋은 토양구조는?
가.
판상구조(platy)
나.
괴상구조(blocky)
다.
입상구조(granular)
라.
견파상구조(nutty)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입상구조(떼알구조) 토양구조의 하나, 구형이나 다면체형의 공극이 적은 토양구조로 식물 생육에 가장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2.
다음 중 방위각 150˚를 방위로 표시하면 어느 것인가?
가.
N 30˚E
나.
S 30˚E
다.
S 30˚W
라.
N 30˚W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방위각은 물체의 지평위치이다.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점으로 동쪽은 동경, 서쪽은 서경으로 각각 180도 구분하여 만나는 지점은 날짜변경선이다.(도합 360도) 따라서 방위각 150도는 동경 150도와 서경 150도 둘이 존재한다. 한국 서울(서울시청)의 경우 방위각은 동경 127.0도이다.(소수 반올림) 문제가 막연하게 방위각 150도로 되어 있는 것은 문제 자체의 오류이다. 그리고 죄표상의 위치는 동서방향만 아니라 남북방향도 존재하므로 적도를 기준으로 북반구는 북위, 남반구는 남위로 그 끝을 남극, 북극이라 한다. 위도는 적도를 0도, 북극은 북위 90도, 남극은 남위 90도이다. 서울(서울시청)은 북위 37.6도이다.(이하반올림) 따라서 서울(서울시청)의 지평위치는 동경 127.0도 북위 37.6도이다. [해설작성자 : 이근호]
53.
이식한 수목의 줄기와 가지에 새끼로 수피감기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경관을 향상시킨다.
나.
수피로부터 수분 증산을 억제한다.
다.
병해충의 침입을 막아준다.
라.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 피해를 막아준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54.
다음 중 비탈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짧은 시간과 급경사 지역에 사용하는 시공방법은?
가.
자연석 쌓기법
나.
콘크리트 격자틀공법
다.
떼심기법
라.
종자뿜어 붙이기법
정답 : [
4
] 정답률 : 72%
55.
농약을 유효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
가.
입제
나.
훈증제
다.
유기인계
라.
식물생장 조정제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유기인계 농약은 이네진이라고도 부르며, 유기인계 농약으로 도열 방제제이다. 수은계 농약 대신에 개발된 것으로 인축에 대한 독성은 약하지만, 어류에 대한 독성은 강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