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해설] ☞ 멜루스(Malus)는 꽃사과를 의미하며, -아그배나무는 산지와 냇가에서 자란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어린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달걀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복사나무, 팥배나무, 쉬땅나무 등은 장미과 수종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아그배나무도 장미과 수종입니다. 사과나무속은 장미과에 속하는 30~35 종의 낙엽수로 이뤄진 속이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18.
다음 중 중 양수에 해당하는 낙엽관목 수종은?
가.
독일가문비
나.
무궁화
다.
녹나무
라.
주목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양수 : 소 곰 잎 측 향 은 포 무 개 [해설작성자 : 맥문동]
19.
다음 중 목재의 방화제(防火劑)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
가.
염화암모늄
나.
황산암모늄
다.
제2인산암모늄
라.
질산암모늄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질산암모늄은 비료와 폭발물로 널리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알렉스]
☞ 목재의 방화제(防火劑) -목재를 타기 어렵게 만드는 약재 -목재 속에 주입하는 것과 표면에 바르는 도료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주입제: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제2인산암모늄 등 ▶도료: 페인트, 수용성 도료, 요소, 멜라민, 티오요소 등
※질산암모늄은 가연성 물질과 함께 있을 때에는 폭발의 위험이 있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0.
소가 누워있는 것과 같은 들로, 횡석보다 안정감을 주는 자연석의 형태는?
가.
와석
나.
평석
다.
입석
라.
환석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 평석 : 윗부분이 평평한 돌로 안정감을 주며 주로 앞부분에 배석함. 3. 입석 : 세워 쓰는 돌로 어디서나 관상할 수 있는 돌로 키가 높아야 효과가 있음. 4. 환석 : 동근 모양의 돌. [해설작성자 : 오미키]
21.
다음 인동과(科) 수종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가.
백당나무는 열매가 적색이다.
나.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관목이다.
다.
분꽃나무는 꽃향기가 없다.
라.
인동덩굴의 열매는 둥글고 6 ~ 8월에 붉게 성숙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분꽃나무는 향기가 무척좋다 [해설작성자 : 모모]
☞ 인동과(科) 수종은 관목이고 덩굴식물, 관상용 식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백당나무는 5월 흰색 꽃 개화, 9월에 붉은색 열매 -아왜나무는 상록활엽교목이다. -분꽃나무는 4월에 향기가 진하다. -인동덩굴의 열매는 8월에 검은색으로 성숙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콘크리트의 표준배합 비가 1:3:6 일 때 이 배합비의 순서에 맞는 각가의 재료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모래 : 자갈 : 시멘트
나.
자갈 : 시멘트 : 모래
다.
자갈 : 모래 : 시멘트
라.
시멘트 : 모래 : 자갈
정답 : [
4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가시가 없는 수종은?
가.
산초나무
나.
음나무
다.
금목서
라.
찔레꽃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금목서는 가을에 등황색(붉은빛을 띤 누르빛)곷이 피며, 향이 짙은 수정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5.
종류로는 수용형, 용제형, 분말형 등이 있으며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이들 이종재(異種材)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는?
가.
페놀수지접착제
나.
카세인접착제
다.
요소수지접착제
라.
폴리에스테르수지접착제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페놀수지접착제 -페놀류와 폼알데하이드류를 축합 반응시킨 것을 주성분으로 한 접착제, 일반적으로 접착력이 크고, 내수성, 내열성,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사용 가능 시간의 온도에 의한 영향이 크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6.
다음 중 콘크리트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아래 화학반응식의 현상은?
가.
콘크리트 염해
나.
동결융해현상
다.
콘크리트 중성화
라.
알칼리 골재반응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콘크리트가 알카리성을 잃게 되는 작용으로 중성화 또는 탄산화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콘크리트 중성화 : 철근 부식, 팽창, 균열 등 등 발생 [해설작성자 : 유유자적]
27.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리 것은?
가.
한국이 원산지이다.
나.
측백나무과(科)에 해당한다.
다.
원추형의 상록침엽교목이다.
라.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4~7cm, 지름 2~3cm의 자갈색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구상나무 -소나뭇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우리나라의 특산종으로 한라산, 지리산, 무등산, 덕유산의 높이 500~2,000m 사이에서 자란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8.
마로니에와 칠엽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마로니에와 칠엽수는 원산지가 같다.
나.
마로니에와 칠엽수의 잎은 장상복엽이다.
다.
마로니에는 칠엽수와는 달리 열매 표면에 가시가 있다.
라.
마로니에와 칠엽수모두 열매 속에는 밤톨같은 씨가 들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원산지 마로니에: 유럽남동부 칠엽수: 일본 [해설작성자 : 이씨]
☞ -마로니에는 유럽이 원산지이므로 '유럽 마로니에'라 부르며 '가시칠엽수'라고도 하며, 칠엽수는 일본이 원산지이으므로 '일본칠엽수'라고 부른다. -두 나무는 생김새가 너무 비슷해서 구별하기 어렵다. 구별을 한다면, 마로니에 열매의 껍질에는 가시가 있고, 칠엽수 열매의 껍질에는 가시가 없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9.
자연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식재된 대관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소 식재토심은?(단. 배수구배는 1.5 ~ 2.0% 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오류 신고] 자연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이라고 하였으니 30인지 45인지 혼동이 오는건 사실입니다 그치만 인공토양만으로 식재를 할수 없는바 인공지반이라는 조건이 있으니 옥상이나 인공지반으로 해석해서 2번이 정답이라고 봅니다 또한 옥상조경등의 인공지반은 하중을 생각해서 인공토의 양이 자연토양보다 많이 넣습니다 [해설작성자 : 견지인]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자연토양을 사용한 생존토심은 대관목 45입니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30.
다음 중 조경공간의 포장용으로 주로 쓰이는 가공석은?
가.
견치돌(간지석)
나.
각석
다.
판석
라.
강석(하천석)
정답 : [
3
] 정답률 : 77%
31.
주로 감람석, 섬록암 등의 심성암이 변질된 것으로 암녹색 바탕에 흑백색의 아름다운 무늬가 있으며, 경질이나 풍화성이 있어 외장재보다는 내장 마감용 석재로 이용되는 것은?
가.
사문암
나.
안산암
다.
점판암
라.
화강암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사문암은 갈람암 또는 두나이트 등 마그네슘이 풍부한 초염기성암이 열수에 의해 교체작용을 받거나 변성작용 등을 받아 생성된 암석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2.
다음 중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가장 영향이 적은 것은?
가.
수량(水量)
나.
온도
다.
분말도
라.
골재의 입도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골재의 입도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해설작성자 : Hijack]
33.
콘크리트 다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 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작업이 용이하도록 사선으로 0.5m 정도 찔러 넣는다.
나.
내부진동기의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 약간 부상하기까지 한다.
다.
거푸집파에 접하는 콘크리트는 되도록 평탄한 표면이 얻어지도록 타설하고 다져야 한다.
라.
콘크리트 다지기에는 내부진동기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얇은 벽 등 내부진동기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거푸집 진동기를 사용해도 좋다.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내부진동기는 사선이 아닌 연직으로 찔러 넣는다.
0.5 가 아닌 0.1 정도로 찔러 넣음 [해설작성자 : 한남]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2~0.3m
[오류신고 반론] 0.1m가 맞습니다. 삽입 간격은 0.5m 이하로 하는 것이 좋음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34.
다음 중 목재에 유성페인트 칠을 할 때 가장 관련이 없는 재료는?
가.
건성유
나.
건조제
다.
방청제
라.
희석제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방청제는 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 [해설작성자 : Hijack]
☞ -유성페인트(실외) : 안료, 건성유, 희석제, 건조제 등을 혼합한 것이다. -방청제 : 금속이 부식하기 쉬운 상태일 때 첨가함으로써 녹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5.
다음 조경식물 중 생장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가.
배롱나무
나.
쉬나무
다.
눈주목
라.
층층나무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생장속도가 느린 수종 심나무, 백송, 눈주목, 모과나무, 독일가문비, 감탕나무, 때죽나무, 비자나무 등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6.
가지가 굵어 이미 찢어진 경우에도 도목 등의 위험을 방지 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가.
지주설치
나.
쇠조임(당김줄설치)
다.
외과수술
라.
가지치기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쇠조임은 수관 내에서 수간과 줄기 사이, 줄기와 줄기사이, 가지와 가지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피해를 극소화하기 때문에 지주를 설치하여 예방이나 치료를 할 수 없는 위치에서도 설치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7.
다음 중 흙깍기의 순서 중 가장 먼저 실시하는 곳은?
가.
A
나.
B
다.
C
라.
D
정답 : [
4
] 정답률 : 84%
38.
수목의 뿌리분 굴취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분의 크기는 뿌리목 줄기 지름의 3 ~ 4배를 기준으로 한다.
나.
수목 주위를 파 내려가는 방향은 지면과 직각이 되도록 한다.
다.
분의 주위를 1/2정도 파 내려갔을 무렵부터 뿌리감기를 시작한다.
라.
분 감기 직근을 잘라야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분을 뜰 때는 직근을 남겨두고 허리감기를 먼저하고 난 후에 위아래 감기를 하고 직근을 제거한다. ▶허리감기 -뿌리분을 1/2정도 파 내려갔을 때부터 뿌리분의 측면을 감는다. -최근에는 끈으로 허리감기 대신 녹마마대, 녹화테이프를 측면에 대고 끈으로 위아래를 감는다. ▶위아래감기 -준비한 끈으로 뿌리분의 측면을 위에서 아래로 감아 내려간다. -허리감기를 한 후, 떵속 곧은 뿌리만 남긴 채 뿌리분 밑 부분 흙을 조금씩 파 내며, 밑면과 윗면을 석줄, 넉줄 그리고 다섯줄 감기를 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곧은 뿌리를 잘라낼 때 수목이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9.
우리나라에서 1929년 서울의 비원(秘苑)과 전남 목포지방에서 처음 발견된 해충으로 솔잎 기부에 충영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흡즙해 소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가.
솔껍질깍지벌레
나.
솔잎혹파리
다.
솔나방
라.
솔잎벌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솔잎혹파리 -1929년 서울의 비원과 전남 목포 지방에서 처음 발견된 해충 -소나무, 곰솔 등에 발생하며, 유충이 솔잎 기부에 벌레혹을 만들고 그속의 수액 및 즙액을 빨아 먹는다.
화학적 방제법 : 6~7월 중순경 포스팜 및 다이메크론을 나무줄기에 수간주사한다. 생물학적 방제법 : 솔잎혹파리먹좀벌, 파리살이먹좀벌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충영성해충(:혹을 형성하는 해충): 혹파리, 혹벌 등 이름에 '혹'이 들어가는 해충 [해설작성자 : 뇌피셜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