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실선 : 명칭-외형선(용도-부지외곽선, 단면의 외형선, 시설물 및 수목의 표현, 보도포장의 패턴, 계획등고선), 치수선(용도-치수기입선), 치수보조선(용도- 치수선을 이끌어내기 위한 선) 파선 : 명칭-가상선(용도-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을 나타내는 선) 1점쇄선 : 명칭-경계선,중심선 용도-물체 및 도형의 중심선, 단면선, 절단선, 부지경계선 2점쇄선 : 1점쇄선과 구분이 필요한선 [해설작성자 : Kyros]
2점쇄선 - 가상선, 경계선, 물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 표시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류 파선 - 숨은선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10.
보르 뷔 콩트(Vaux-le-Vicomte) 정원과 가장 관련 있는 양식은?
가.
노단식
나.
평면 기하학식
다.
절충식
라.
자연풍경식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노단식 : 이탈리아 평면 기하학식 : 프랑스 자연풍경식 : 영국 [해설작성자 : 열심히살자]
11.
조경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몇 가지의 대안을 만들어 각 대안의 장ㆍ단점을 비교한 후에 최종안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가.
기본구상
나.
기본계획
다.
기본설계
라.
실시설계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기본구상및 대안: 수집한 자료들을 종합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개략적인 계획안을 결정하는 단계,일반적으로 몇가지 대안을 만들어 각 대안의 장단점을 비교한후 최종안을 결정하는 단계 기본계획:대안들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선택한 대안을 기본계획으로 확정하는 단계 결정과 확정이라는 미묘한 차이가 있음 정답은 1번이 맞습니다. 고등학교 조경 에서 발췌
문제가 애매하네요, 구상이 끝나면 계획서가 만들어집니다. 자료수집은 구상에 주로 반영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계획중에도 반영되기도 하는것이거던요. 실제 현장에서는 그렇지만 여기서 요구하는 답이라 많이 애매하지만 저는 1번에 손을듭니다 [해설작성자 : 양윤호]
삼나무,소나무,전나무,독일가문비,느티나무,왕벚나무 등은 아황산 가스에 견디는 성질이 약한 대표수종 이다. [해설작성자 : 박재우]
22.
백색계통의 꽃을 감상 할 수 있는 수종은?
가.
개나리
나.
이팝나무
다.
산수유
라.
맥문동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개나리 - 노란꽃 2. 이팝나무 - 흰색 (조팝나무도 흰색) 3. 산수유 - 열매는 붉지만 꽃은 노란색 4. 맥문동 - 보라색 [해설작성자 : 憤怒紅蔘砂糖]
23.
목재 방부제로서의 크레오소트 유(cresote 油)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휘발성이다.
나.
살균력이 강하다.
다.
페인트 도장이 곤란한다.
라.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유성방부제로 원액상태로 사용하는 기름상태의 방부제이다.
예)로써 철도 목침목은 부패를 방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크레오소트 유(油)’라는 기름으로 화학 처리를 하는데, 이 기름에는 벤조피렌과 크리센 같은 PAH라는 맹독성 발암물질 성분이 함유돼 있다. PAH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방부제로, 살충제를 만드는데 사용돼 왔다. [해설작성자 : 풀]
크레오소트유 황색 또는 암녹색의 액체로 독특한 냄새가 난다. 물에 녹지 않고 알코올, 벤젠, 에테르, 톨루엔 등에 녹는다. 타르산이 함유되어 있어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있으며 살균성이 있다. 주성분은 나프탈렌과 안트라센이며 살충제, 방수용 도료, 농약, 의료품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24.
암석은 그 성인(成因)에 따라 대별되는데 편마암, 대리석 등은 어느 암으로 분류 되는가?
가.
수성암
나.
화성암
다.
변성암
라.
석회질암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변성암은 편마암, 대리석, 사문암, 트래버틴 이다. 트래버틴은 대리석의 일종이다. [해설작성자 : 사마사마사]
25.
목재가공 작업 과정 중 소지조정, 눈막이(눈메꿈), 샌딩실러 등은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친환경적 생태하천에 호안을 복구하고자 할 때 생물의 종다양성과 자연성 향상을 위해 이용되는 소재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가.
섶단
나.
소형고압블록
다.
돌망태
라.
야자롤
정답 : [
2
] 정답률 : 82%
32.
소철과 은행나무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가.
속씨식물
나.
자웅이주
다.
낙엽침엽교목
라.
우리나라 자생식물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자웅이주(암수 딴 그루); 서로 다른 식물에 암수꽃이 존재한다.(은행, 소철, 버드나무 등) 자웅동주(암수 한 그루); 한 식물에 암수꽃이 같이 존재한다.(소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등)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3.
다음 중 미선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열매는 부채 모양이다.
나.
꽃은 노란색으로 향기가 있다.
다.
상록활엽교목으로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라.
원산지는 중국이며 세계적으로 여러 종이 존재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꽃은 백색 또는 분홍색 낙엽활엽관목 물푸레나뭇과 원산지 한국 [해설작성자 : Hijack]
☞ 미선나무 -열매의 모양이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로 불리는 관목이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로 1속 1종만 존재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4.
다음 중 아스팔트의 일반적인 특성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비교적 경제적이다.
나.
점성과 감온성을 가지고 있다.
다.
물에 용해되고 투수성이 좋아 포장재로 적합하지 않다.
라.
점착성이 크고 부착성이 좋기 때문에 결합재료, 접착 재료로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아스팔트는 검은 기름 성분으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아 포장재료로 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5.
다음 중 조경수목의 생장 속도가 느린 것은?
가.
모과나무
나.
메타세콰이어
다.
백합나무
라.
개나리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생장속도가 느린 수종; 백송, 눈주목, 모과나무, 독일가문비, 감탕나무, 때죽나무, 비자나무 등
생장속도가 빠른 수종; 배롱나무, 쉬나무, 자귀나무, 층층나무, 개나리, 메타세콰이아, 백합나무, 무궁화 등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생장속도가 빠른 수종: + 네군도단풍 [해설작성자 : 뇌피셜뀨]
삼나무는 생장이 빠른 대표적인 수목입니다 [해설작성자 : 서벽산]
36.
석재판(板石) 붙이기 시공법이 아닌 것은?
가.
습식공법
나.
건식공법
다.
FRP공법
라.
GPC공법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석재판 붙이기 시공법 모르타르 사용여부에 따라 습식, 반건식, 건식, GPC공법 등으로 나눈다. -습식공법; 모르타르를 이용해 벽면에 바르고 그 위에 돌을 붙이는 방법 -건식공법; 돌을 붙일 때 물을 사용하지 않고 긴결철물을 써서 고정하는 방법 -GPC공법; 석재 뒷면에 철물을 고정한 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볍다. 내식,내열,내후성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 조경만세]
37.
소나무류의 순자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10 ~ 12월에 실시한다.
나.
남길 순도 1/3 ~ 1/2 정도로 자른다.
다.
새순이 15cm 이상 길이로 자랐을 때에 실시한다.
라.
나무의 세력이 약하거나 크게 기르고자 할 때 순자르기를 강하게 실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5월경 실시 5~10cm 길이로 자랐을 때 세력이 약하거나 크게 기르고자 할 때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Hijack]
1~2개의 순을 남기고 중심순을 포함한 나머지는 다 따 버리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하신분 5~6월 입니다 순자르기 시기 [해설작성자 : 소나무]
38.
일반적인 실물간 양료 요구도(비옥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 된 것은?
가.
활엽수 > 유실수 > 소나무류 > 침엽수
나.
유실수 > 침엽수 > 활엽수 > 소나무류
다.
유실수 > 활엽수 > 침엽수 > 소나무류
라.
소나무류 > 침엽수 > 유실수 > 활엽수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유실수가 가장 비옥해야 하는 이유는 과일에 영양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고 그다음은 잎이 넓은 활엽수,그다음은 잎이 좁은 침엽수,그 다음이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는 소나무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조경기능사를 꿈꾸는 사람.]
39.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수목의 녹병 중 기주교대를 하지 않는 것은?
가.
소나무 잎녹병
나.
후박나무 녹병
다.
버드나무 잎녹병
라.
오리나무 잎녹병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소나무잎녹병 : 소나무 잎에서 녹병정자와 녹포자 형성 후 황벽나무, 참취, 쑥부쟁이 등 중간기주 잎에서 여름포자, 겨울포자, 담자포자 형성 후박나무 녹병 : 동종에서 생환 반복 버드나무 잎녹병 : 버드나무류, 일본잎갈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오리나무 잎녹병 : 녹포자의 감염유효거리가 상당히 멀기 때문에 중간기주가 보이지 않아도 많이 발병함 중간기주는 낙엽송 (일본잎갈나무) [해설작성자 : 달봉]
40.
식물의 주요한 표징 중 병원체의 영양기관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은?
가.
균사
나.
균핵
다.
포자
라.
자좌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식물병원균을 동정할 때 병원균의 균사, 균핵, 자좌, 포자경을 표징이라고 한다. 포자는 곰팡이나 버섯 등의 균류가 만들어 내는 생식 세포이다.
41.
다음 중 굵은 가지 절단 시 제거하지 말아야 하는 부위는?
가.
목질부
나.
지피융기선
다.
지륭
라.
피목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륭 : 나무가지를 지탱하기 위하여 발달한 가지밑의 조직을 말한다....' 가지치기를 하려면 가지의 지피융기선과 지륭을 피해야 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해설자님 설명처럼 지피융기선과 지륭은 보호제 복구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지치기시 손상을 입으면 가지친 부분이 쉽게 썩을 가능성이 있고, 수피가 재생되면서 상처를 덮어주는 기능이 망가질 수 있음. 결론 : 답이 2개인셈.... [해설작성자 : 달봉]
[오류신고 반론] 외과수술로 불가피하게 팔을 절단할 때 지륭절단은 상완 어깨회전부위까지 자르는 것이고, 지피융기선 절단은 상체몸통부위까지 절단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einky]
[추가 오류 신고] 지륭과 지피융기선 둘다 손상을 입히면 안된다. 지륭 바깥쪽과 지피융기선밖을 잘라야 올바른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마음은청춘]
42.
그림과 같이 수준측량을 하여 각 측정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절토량 및 성토량이 균형을 이루는 계획고는?
<문제 해설> ☞ -빗물받이가 집수거를 통해 지하의 배수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U형, L형 측구의 끝부분에 설치하며, 20~30m마다 설치한다.(표준간격 20m, 최대 30m 이내)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4.
다음 중 생울타리 수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쥐똥나무
나.
이팝나무
다.
은행나무
라.
굴거리 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생울타리 수종으로 적합한 수종 측백나무, 쥐똥나무, 사철나무, 개나리, 무궁화,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명자나무 등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5.
조경관리 방식 중 직영방식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긴급한 대응이 가능하다.
나.
관리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다.
다.
애착심을 가지므로 관리효율의 향상을 꾀한다.
라.
규모가 큰 시설 등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46.
다음 중 시비시기와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온대지방에서는 수종에 관계없이 가장 왕성한 생장을 하는 시기가 봄이며, 이 시기에 맞게 비료를 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
시비효과가 봄에 나타나게 하려면 겨울눈이 트기 4~6주전인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토양에 시비한다.
다.
질소비료를 제외한 다른 대량원소는 연중 필요할 때 시비하면 되고, 미량원소를 토양에 시비할 떼에는 가을에 실시한다.
라.
우리나라의 경우 고정생장을 하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등은 9~10월 보다는 2월에 시비가 적절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9~10월경 시비가 적절하다 [해설작성자 : Hijack]
47.
다음 중 한국잔디류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은?
가.
녹병
나.
탄저병
다.
설부병
라.
브라운 패치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녹병 (붉은녹병) -발병시기: 5~6월, 9~10월 고온다습시(17~22ºC) -한국잔디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병으로 기온이 떨어지면 소멸된다. -엽초에 황갈색 반점이 나타난다. -질소부족, 배수불량, 답압이 많을 때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8.
시공관리의 3대 목적이 아닌 것은?
가.
원가관리
나.
노무관리
다.
공정관리
라.
품질관리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시공관리의 3대목적은 싸게(원가관리), 좋게(품질관리) 빠르게(공정관리) 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쉰세대]
<문제 해설> 연1회 발생,봄과 여름 두번 가해 지제부의 수피틈에서 월동한 성충이 3월말에서 4월초에 나와서 쇠약목,벌채목의 수피밑에 침입해서 알을 낳는다 [해설작성자 : Hijack]
소나무좀은 딱정벌레목입니다. 이들이 번데기 상태를 생략하는 변태 방법인 불완전변태를 한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습니다. [해설작성자 : 윤동옥]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소나무좀의 생활사 1. 부화유충은 2회 탈피하며 유충기간은 약 20일이다. 2. 연1회 발생하지만 봄 여름 2회가해한다. 3. 월동한 성충이 벌채목과 쇠약목에 갱도를 만들고 그속에 60여개의 알을 산란한다. 정답은 1번과 4번으로 생각됩니다. [해설작성자 : 청솔모]
[오류신고 반론] 성충이 갱도를 만들면 부화유충이 어미가 파높은 갱도에 들어가 양분의 이동통로로 들어가서 피해를 줍니다 따라서 4번은 틀린 답이고 정답은 1번이 맞다고 생각되네요 [해설작성자 : 아빛깔라유]
[오류신고 반론] 옳은 답을 묻는 것으로 불완전변태를 한다는 내용은 정답이 아니구요, 갱도를 뚫는 건 성충이고 부화한 유충은 갱도와 직각방향으로 파 먹어 들어갑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옳은 것을 묻는지, 틀린 것을 묻는지 잘 확인하시고 해설 달아주세요. 출처 - 시대고시 23년 기출문제 [해설작성자 : 루미달콩]
53.
축적 1/1,200 의 도면을 1/600 로 변경하고자 할 때 도면의 증가 면적은?
가.
2배
나.
3배
다.
4배
라.
6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축적이 2배로 늘어나면, 길이는 2배, 면적은 4배 증가 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4.
살비제(acaricide)란 어떠한 약제를 말하는가?
가.
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
나.
나방류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
다.
응애류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
라.
병균이 식물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살비제는 응애류를 선택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제... ki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