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스프링클러헤드는 부착장소의 평상시 최고주위온도가 28℃ 미만인 경우 몇 ℃의 표시온도를 갖는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58 미만
나.
58 이상 79 미만
다.
79 이상 121 미만
라.
121 이상 162 미만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최고 주위온도 + 10~20도 라고 생각하면 된다. / 소방 감지기 생각하면 편함. [해설작성자 : 위기의 윤]
4.
가연물이 되기 쉬운 조건이 아닌 것은?
가.
산화반응의 활성이 크다.
나.
표면적이 넓다.
다.
활성화에너지가 크다.
라.
열전도율이 낮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가연물의 구비조건 1) 산소와의 친화력이 커야 한다. 2) 표면적이 커야 한다. 3) 활성화 에너지가 작아야 한다. 4) 열전도도가 작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스피리츠]
5.
A, B, C급 화재에 모두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는?
가.
제1종 분말소화약제
나.
제2종 분말소화약제
다.
제3종 분말소화약제
라.
제4종 분말소화약제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A,B,C 3개 있으니까 3종 분말소화약제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ronald johnson]
6.
유기과산화물의 화재 시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가.
물분무소화설비
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다.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라.
분말소화설비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유기과산화물: 제 5류 위험물, 제 5류위험물은 주수소화에의한 효과가 좋음 [해설작성자 : ㅁㄴㅇㄹ]
7.
주수소화가 적합하지 않은 물질은?
가.
과산화벤조일
나.
과산화나트륨
다.
피크린산
라.
염소산나트륨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과산화나트륨 제 1류 위험물, 무기과산화물,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 마찰 또는 약간의 물의 접촉으로 발화한다. [해설작성자 : 자격찡]
8.
디에틸에테르의 저장 시 소량의 염화칼슘을 넣어 주는 목적은?
가.
정전기 발생 방지
나.
과산화물 생성 방지
다.
저장용기의 부식방지
라.
동결 방지
정답 : [
1
] 정답률 : 43%
9.
소화난이도등급 Ⅱ 의 옥내탱크저장소에는 대형수동식 소화기 및 소형수동식소화기를 각각 몇 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4
나.
3
다.
2
라.
1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옥내옥외탱크저장소에 각각 1개씩의 대형 소형 소화기 설치 [해설작성자 : 소방사 21살 위험물기능사 한번에 합격]
10.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을 취급하는 제조소에 설치하는 주의사항 게시판의 내용과 색상으로 옳은 것은?
가.
물기엄금 : 백색바탕에 청색문자
나.
물기엄금 :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다.
물기주의 : 백색바탕에 청색문자
라.
물기주의 :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정답 : [
2
] 정답률 : 78%
11.
폭발시 연소파의 전파속도 범위에 가장 가까운 것은?
가.
0.1 ~ 10m/s
나.
100 ~ 1000m/s
다.
2000 ~ 3500m/s
라.
5000 ~ 10000m/s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문제가 잘못 된거 아닌가요? 폭연의 전파속도를 물어야 할거 같은데, 폭발시 전파속도는 문제가 있는데요? 폭연: 폭발시 연소파의 전파속도가 음속이하인 것 0.1~10 m/s 폭굉: 폭발시 연소파의 전파속도가 음속이상인 것 1000~ 3500 m/s [해설작성자 : 위기장삼수한상필이]
12.
제조소등의 완공검사신청서는 어디에 제출해야 하는가?
가.
소방방재청장
나.
소방방재청장 또는 시·도지사
다.
소방방재청장, 소방서장 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라.
시·도지사, 소방서장 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정답 : [
4
] 정답률 : 51%
13.
대형수동식소화기의 설치기준은 방호대상물의 각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대형수동식소화기까지의 보행 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가.
10
나.
20
다.
30
라.
40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대형수동식소화기의 설치기준은 방호대상물의 각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대형수동식소화기까지의 보행 거리가 3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스피리츠]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기 내의 압축된 이산화탄소가 노즐을 통해 분출될 때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는 줄톰슨효과 때문이고, 그 결과 생성물은 드라이아이스입니다.
줄톰슨효과: 압축한 기체를 단열된 좁은 구멍으로 분출시키면 온도가 변하는 현상이다. 분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온도가 변하는 것으로, 공기를 액화시킬 때나 냉매의 냉각에 응용되는 현상이다.
참고: 이산화탄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기름 등을 분리시킨 다음, 저온에서 가압하여 급격히 팽창시키면 줄-톰슨 효과에 의해서 냉각되어 액체인 이산화탄소가 되고, 그 일부분을 증발시키면 잠열(潛熱)에 의해서 나머지는 눈송이 모양의 드라이아이스가 된다.
18.
건축물 화재 시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진행 될 때 실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면서 화염이 실내 전체로 급격히 확대되는 연소현상은?
가.
슬롭오버 (Slop over)
나.
플래시오버 (Flash over)
다.
보일오버 (Boil over)
라.
프로스오버 (Froth over)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플래쉬오버 : 화재 성장의 한 단계. 주변의 모든 표면과 물체들이 그들의 발화온도까지 가열되어 어느 한순간 화염을 일시에 분출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프로스오버: Froth over 역시 중질유 저장 탱크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위의 Boilover와는 다르게, 탱크에 불이 붙는 것이 아닌 탱크 내의 물이 고열 물질(아스팔트 등)을 만나 유류가 탱크 밖으로 튀어나오는 현상입니다.
Slop over(슬롭오버)
Slop over 는 쉽게 말하면, 끓는 기름에 물을 붓는 현상입니다. 끓는 기름에 물을 부으면 어떻게 될까요? 잠깐만 생각해봐도 기름이 밖으로 튀어서 화상을 입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즐겨먹는 삼겹살, 삼겹살을 구울때 물이 닿으면 기름이 튀어서 몸을 따끔거리게 만듭니다. 하지만, 그 가연물이 적은 양의 삼겹살이 아니라 중질유를 저장하는 커다란 탱크라면 엄청난 재해로 번질 수 있습니다.
유류 저장탱크에 화재가 발생했을때 물이 닿으면, 높은 온도에 의해 물이 증발하면서 액면을 튀기게 됩니다. 이때 불은 넓은 면적으로 퍼지면서 화재가 확산되므로 유류의 특징을 잘 파악해 적절한 소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보일오버,슬롭오버 프로스오버는 유류 저장탱크 등에서 화재 발생시 나타나는 화염의 형태와 연관이 있으며 플래쉬 오버와는 차이가 있다... [해설작성자 : 위기장삼수한상필이]
19.
B급 화재의 표시색상은?
가.
청색
나.
무색
다.
황색
라.
백색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A급 일반화재 - 백색 B급 유류화재 및 가스화재 - 황색 C급 전기화재 - 청색 D급 금속화재 - 무색 [해설작성자 : 스피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