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해밍코드(Hamming Code)의 대표적 특징은? -오류 검출 후 자동적으로 정정해 주는 코드 -1비트의 단일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3비트의 여유 비트가 필요 [해설작성자 : 한준희]
12.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에 편리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고,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다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는?
가.
통신제어 장치
나.
모뎀
다.
통신회선
라.
단말기
정답 : [
2
] 정답률 : 85%
13.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DOS용과 Windows용으로 구분하여 생산한다.
나.
연산, 제어, 기억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
CPU라고 하며 사람의 두뇌에 해당한다.
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집적한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는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산술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2. 제어장치(Control Unit, CU) 3. 레지스터(Register) 위 구성 요소는 각각 연산, 제어, 기억을 담당하며, 컴퓨터에서 두뇌 역할을 합니다. CPU 제조사는 CPU가 어떤 연산을 할 수 있는지, 어떻게 명령해야 하는지를 기술한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사는 이에 맞추어 제품을 개발합니다. 따라서 CPU를 운영체제별로 생산하지 않고 운영체제를 ISA에 맞추어 여러 버전으로 개발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4.
명령어를 해독하기 위해서 주기억 장치로부터 제어장치로 해독할 명령을 꺼내오는 것은?
가.
실행(execution)
나.
단항 연산(unary operation)
다.
명령어 인출(instruction fetch)
라.
직접 번지(direct address)
정답 : [
3
] 정답률 : 86%
15.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동작(Micro 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가.
모뎀
나.
레지스터
다.
메모리
라.
제어신호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마이크로 동작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제어신호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모민석]
16.
입출력 장치의 역할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정보를 기억한다.
나.
컴퓨터의 내.외부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다.
다.
명령의 순서를 제어한다.
라.
기억 용량을 확대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입력장치 : 프로그램과 자료들이 컴퓨터(CPU) 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장치 - 출력장치 : 컴퓨터(CPU) 내에서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모민석]
17.
프로그램은 일의 처리순서를 기술한 명령의 집합이다. 각 명령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가.
연산자와 오퍼랜드
나.
명령코드와 실행 프로그램
다.
오퍼랜드와 제어 프로그램
라.
오퍼랜드와 목적 프로그램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프로그램은 각각 특정한 동작을 지정하는 명령으로 구성되며 보통 연산자와 하나 이상의 오퍼랜드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모민석]
18.
연산기의 입력 자료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으로 컴퓨터 내부에 있는 하나의 레지스터에 기억된 자료를 다른 레지스터로 옮길 때 이용되는 논리 연산은?
가.
MOVE 연산
나.
AND 연산
다.
OR 연산
라.
UNARY 연산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에 다른 레지스터로 옮긴다고 되어있습니다 옮기다가 영어로 MOVE이지요??
문제속에 답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짭박사]
19.
집적회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수명이 짧다.
나.
크기가 대형이다.
다.
동작속도가 빠르다.
라.
외부와의 연결이 복잡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집적회로의 특징 -코일과 콘덴서가 거의 필요 없다. -저항의 값이 비교적 작다. -전력 출력이 작아도 된다. -신뢰성이 높다. -크기가 소형이다. -동작속도가 개선된다. -외부와의 연결이 간단하다. [해설작성자 : 한준희]
20.
연산회로 중 시프트에 의하여 바깥으로 밀려나는 비트가 그 반대편의 빈 곳에 채워지는 형태의 직렬이동과 관계되는 것은?
가.
Complement
나.
Rotate
다.
OR
라.
AND
정답 : [
2
] 정답률 : 71%
21.
출력장치로만 묶어 놓은 것은?
가.
키보드, 디지타이저
나.
스캐너, 트랙볼
다.
바코드, 라이트 펜
라.
플로터, 프린터
정답 : [
4
] 정답률 : 87%
22.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 있는 임시 기억장치는?
가.
스택
나.
버스
다.
버퍼
라.
블록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버퍼 레지스터는 서로 다른 입출력 속도로 자료를 받거나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주변 장치의 임시 저장용 레지스터이다.
23.
다음과 같은 회로도는?
가.
인코더
나.
디코더
다.
카운터
라.
가산기
정답 : [
2
] 정답률 : 69%
24.
필요 없는 부분을 지워버리고 나머지 비트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자는?
가.
MOVE
나.
SHIFT
다.
AND
라.
OR
정답 : [
3
] 정답률 : 60%
25.
자료가 리스트에 첨가되는 순서에서 그 반대의 순서로만 처리 가능한 LIFO 형태의 자료 구조는?
가.
큐(Queue)
나.
스택(Stack)
다.
데크(Deque)
라.
트리(Tree)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스택(Stack) -임시 데이터의 저장이나 서브루틴의 호출에서 사용한다. -연속되게 자료를 저장한다.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삽입하거나 샂게할 수 있는 구조이다. -스택영역은 내부 데이터 메모리에 위치한다. -후입선출방식(LIFO ; Last In First Out)이다. -0-주소 지정에 이용된다. @큐(Queue) : 리스트에 첨가되는 순서대로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이다. @데크(Deque) : 입출력이 양쪽 방향으로 가능한 구조이다. @트리(Tree) : 그래프의 일종으로, 여러 노드가 한 노드를 가리킬수 없는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한준희]
26.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가 아닌 것은?
가.
자기 코어
나.
자기 디스크
다.
자기 드럼
라.
SRAM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RAM: 휘발성 ROM: 비휘발성 [해설작성자 : <대 황유 흥해라>]
27.
게이트 당 소모 전력이 가장 적은 IC는?
가.
TTL
나.
CMOS
다.
RTL
라.
DTL
정답 : [
2
] 정답률 : 80%
28.
순차 접근 저장 매체(SASD)에 해당하는 것은?
가.
자기 테이프
나.
자기 드럼
다.
자기 디스크
라.
자기 코어
정답 : [
1
] 정답률 : 82%
29.
명령의 오퍼랜드 주소값과 프로그램 카운터의 값이 더해져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지정방식은?
가.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나.
인덱스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다.
간접 주소지정방식
라.
상대 주소지정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자료의 접근 방법에 따른 주소 지정 방식 -즉시 주소 지정(Immediate Addressing Mode) : 명령어 내에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명령어 형식이다. -직접 주소 지정(Direct Addressing Mode) : 명령어의 Operand부분이 실제 데이터의 주소인 명령어 형식이다. -간접 주소 지정(Indirect Addressing Mode) : 명령어의 Operand가 가리키는 곳에 실제 데이터의 주소가 있는 명령어 형식이다.
30.
양방향 데이터의 전송은 가능하나 동시 전송이 불가능한 방식은?
가.
Half duplex
나.
Dual duplex
다.
Full duplex
라.
Simplex
정답 : [
1
] 정답률 : 71%
3과목 : 프로그래밍일반
3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열 출력 함수는?
가.
printchar()
나.
puts()
다.
prints()
라.
putchar()
정답 : [
2
] 정답률 : 77%
32.
C 언어의 기억클래스 종류가 아닌것은?
가.
내부 변수
나.
정적 변수
다.
자동 변수
라.
레지스터 변수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내부 변수는 없습니다 외부 변수는 있지요 [해설작성자 : 짭박사]
33.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연어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나.
사람이 인식 가능하고 배우기 쉽다.
다.
2진수 체제로 이루어진 언어로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언어이다.
라.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좋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34.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FCFS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스케줄링 기법은?
가.
SRT
나.
SJF
다.
Round Robin
라.
HRN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SRT : 수행 도중나머지 수행시간이 적은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SJF : 수행시간이 적은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Round Robin : FCFS 방식의 변형으로 일정한 시간을 부여하는 방법 -HRN : SRT의 큰 작업이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점을 보완한 방법
35.
C 언어에서 문자형의 변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것은?
가.
int
나.
long
다.
float
라.
char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har: 문자열 Long: 장 정수 Float:실수 Int: 정수 [해설작성자 : 가망이 ^^7]
<문제 해설> @문서화 : 프로그램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문서로써 정리하여 기록하는 작업 @문서화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 및 과정을 표준화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 -프로그램의 유지 보수를 쉽게함 -개발 과정에서의 추가 및 변경에 따른 혼란을 줄일수 있음
40.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빠르다.
나.
2진수 0과 1만을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나타내는 기계 중심 언어이다.
다.
호환성이 없고 기계마다 언어가 다르다.
라.
프로그램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41.
비동기형 리플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가.
회로가 간단하다.
나.
동작시간이 길다.
다.
주로 T형이나 JK플립플롭을 사용한다.
라.
모든 플립플롭의 상태가 동시에 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비동기식(Asynchronous Type) 카운터 -플립플롭의 입력으로는 클록펄스와 앞단의 출력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상태가 동시에 변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변한다. 리플계수기라고도 한다. -각 단을 통과할 때마다 지연시간이 누적되므로 고속 카운터에는 부적당하다. -매우 높은 주파수에는 부적당, 비트수가 많은 카운터에는 부적합하다. -회로가 간단해서 작은 규모의 계기회로에 적당하다. -플립플롭들은 동일 클록에 변하지 않고, 한 플립플롭의 출력이 다른 플립플롭의 클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지연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시스템의 상태는 모든 플립플롭의 전이가 완료 때까지 결정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4번 설명은 동기식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잉. [해설작성자 : 잉?]
병렬 계수기(Parallel Counter)라고도 말하며 계수기의 각 플립플롭이 같은 시간에 트리거 되는 계수기는?
가.
링 계수기
나.
10진 계수기
다.
동기형 계수기
라.
비동기형 계수기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동기형(Synchronous Type) 카운터 -클록펄스가 클록 입력 또는 트리거 입력에 직접 연결되어 계수기 플립플롭의 상태가 동시에 변한다. -동작속도가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설계가 쉽고 규칙적이다. -제어 신호가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된다. -회로가 복잡하고 큰 시스템에 사용된다. -클록 발진기가 별도로 필요하고 지연시간에 관계없다. -병렬계수기(Parallel Counter)라고도 한다.
45.
RS 플립플롭 회로에서 불확실한 상태를 없애기 위하여 출력을 입력으로 궤환시켜 반전 현상이 나타나도록 한 회로는?
가.
RST 플립플롭 회로
나.
D 플립플롭 회로
다.
T 플립플롭 회로
라.
JK 플립플롭 회로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JK 플립플롭 -RS 플립플롭에서 R=S=1의 경우 동작이 불확실한 상태로 되는데. RS플립플롭에서 Q를 R로 Q의 보수를 S로 되먹임시켜 불확실한 상태가 없도록 한 회로이다.
46.
다음 중 값이 다른 하나는?
가.
(16)10
나.
(1111)2
다.
(17)8
라.
F16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나머지는 모두 15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자는 심우경]
47.
2진 정보의 저장과 클럭펄스를 가해 좌우로 한 비트씩 이동하여 2진수의 곱셈이나 나눗셈을 하는 연산장치에 이용되는 것은?
<문제 해설> 회로의 안정 상태에 관련된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종류는 세가지 이다. 비안정/단안정/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가 있다. [해설작성자 : .]
50.
불대수식 AB + ABC를 간소화 하면?
가.
AC
나.
AB
다.
BC
라.
ABC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논리곱 연산은 두수가 모두 1이어야하만 값이 1이고 논리합 연산은 두수중 하나만 1이면 값 1이다. AB + ABC 에서 C의경우는 1이어도 AB 둘중 하나라도 0이면 결과는 0이다. 그렇기 때문에 C는 제거. AB 또한 둘중 하나라도 0이면 값은 0이고 AB + AB는 결국 0 + 0 또는 1 + 1이 나올 수 밖에 없으므로 간소화하면 AB가 된다. [해설작성자 : 파즈냥]
51.
1×4 디멀티플렉서에 최소로 필요한 선택선의 개수는?
가.
1개
나.
2개
다.
3개
라.
4개
정답 : [
2
] 정답률 : 75%
52.
반가산기의 출력 중 합(S)의 논리식은?
가.
나.
다.
라.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반가산기(Half-adder) -2개의 2진수와 A와 B를 더한 합(SUM) S와 자리올림 수(Carry) C를 얻는 회로로 배타 논리합 회로와 논리곱 회로로 구성된다.
53.
인코더(Enco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해독기를 말한다.
나.
입력신호를 부호화하는 회로이다.
다.
출력단자에 신호를 보내는 회로이다.
라.
2진 부호를 10진수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인코더 -인코더(Encoder, 부호기) : 숫자나 문자등의 10진수 입력을 2진수로 변환하는 회로로 OR 게이트로 구성횐다. -n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코드는 최대 2^n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낼수 있으므로 인코더는 2^n개 이하의 입력과 n개의 출력을 가진다
54.
5진 카운터를 만들려면 T형 플립플롭이 최소 몇 개 필요한가?
가.
1
나.
2
다.
3
라.
4
정답 : [
3
] 정답률 : 62%
55.
플립플롭이 특정 현재 상태에서 원하는 다음 상태로 변화하는 동작을 하기 위한 입력을 좌표로 작성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