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백제의 불교와 도교의 결합된 유물은이며 부여에서 발견된 유물은 금동대향로 이다.
1번 금동관 (가야) 2번 기마 인물형 토기 (신라) 3번 호우명 그릇 (신라) 4번 금동대향로 (백제 부여 5번 진묘수 (백제 웅진)
그러므로 정답은 백제 금동대향로이므로 4번. [해설작성자 : LEE.C.M]
호우명 그릇에 대한 추가 해설 호우명(壺杅銘) 그릇은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고분인 호우총(壺杅塚)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이 호우는 광개토대왕을 기념하는 의례행위에 사용하기 위해 고구려에서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호우가 만들어질 때 마침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었던 신라 나물왕/내물왕(奈勿王, 재위 356~402)의 왕자 복호(卜好)와 같은 인물이 가지고 들어 왔을 것으로 보고, 호우총의 피장자를 복호나 그 후손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이 그릇이 어떠한 경로와 이유로 신라의 수도까지 흘러들어왔는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당시 신라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제조연대가 뚜렷한 고구려 때의 공예품이란 점에서 매우 귀중한 유물이다.
7.
(가)~(다)의 문화유산을 제작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2점]
1.
(가) - (나) - (다)
2.
(가) - (다) - (나)
3.
(나) - (가) - (다)
4.
(나) - (다) - (가)
5.
(다) - (나) - (가)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가)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 신라 - 634년 (나)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통일신라 - 868년 추정(847년 중국에서 귀국한 철감선사가 쌍봉사 건립) (다) 경주 불국사 3층석탑 - 통일신라 - 751년 추정
제작된 순서는 (가) - (다) - (나) [해설작성자 : 곰딩딩]
8.
다음 사건이 일어난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나·당 연합군이 백강에서 왜군을 물리쳤다.
2.
복신과 도침 등이 주류성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3.
계백이 이끄는 결사대가 신라군에 맞서 싸웠다.
4.
신라군이 당의 군대에 맞서 매소성에서 승리하였다.
5.
김춘추가 중국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시된 자료는 고구려 멸망 이후 보장왕의 서자 안승을 받든 검모잠과 고연무 등의 고구려 부흥운동에 관한 사료이다. 1. 백제멸망(660) 이후 각 지방의 저항 세력은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흑치상지, 복신, 도침 등은 왕자 부여 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군사를 일으켰지만 끝내 좌절되었다. 이 때, 왜의 수군 3만 여명이 백제 부흥군을 지원하기 위하여 백강(금강 하구 배곷ㄴ강이라고도 함)에 도착해서 당과 싸웠으나 패배하였다. 2. 1번 설명 참고 3. 백제의 멸망 전의 일이다. 4. 나당연합군을 통해서 삼국을 통일하게된 신라는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웅진도독부, 계림도독부-경주, 안동도호부-평양)에 분노하여 신라와 당은 이윽고 한반도의 패권을 놓고 사활을 건 투쟁을 벌였다. 신라는 먼저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운동을 은근히 후원하며 웅진도독부를 격파하였고 이에 반격하려 당나라의 20만 대군이 남침해 왔지만 신라는 매소성에서 당의 대군을 격파하여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이후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설인귀가 이끄는 당의 수군을 섬멸하였다. 5. 나당연합의 형성 배경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9.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순서_가,나 생략) (다) 정전지급: 성덕왕 -> 녹읍부활, 한화정책: 경덕왕 -> 독서삼품과실시: 원성왕 지문은 녹읍을 다시 지급했다는 내용을 기반으로, 경덕왕에 관련된 내용이라 추측가능 [해설작성자 : 나도 고급따고싶다]
신문왕 : 관료전 지급 성덕왕 : 정전 지급 경덕왕 : 녹읍 부활 원성왕 : 독서 삼풍과
다시 녹읍이 부활 한걸로 봐서 경덕왕 시대로 볼수 있고 따라서 답은 (다)입니다.
10.
(가)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1.
웅천주를 기반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2.
훈요 10조에서 불교 숭상을 강조하였다.
3.
완산주를 도읍으로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4.
신라의 수도를 습격하여 경애왕을 죽게 하였다.
5.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철원으로 도읍을 옮겼다.
정답 : [
5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가)는 궁예를 말하며, 궁예는 신라왕족으로 후고구려의 도읍을 송악에서 철원(905)으로 옮겼으며, 국호는 마진(904)을 사용. 2. 훈요10조 - 태조왕건 3. 견훤 4. 후백제가 신라공격 [해설작성자 : 고급 합격예정자]
최승로 건의 라는 말을 통해 왕이 성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미래의 역사선생님]
15.
(가)~(라)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 - (나) - (다) - (라)
2.
(가) - (나) - (라) - (다)
3.
(나) - (가) - (다) - (라)
4.
(나) - (가) - (라) - (다)
5.
(다) - (나) - (가) - (라)
정답 : [
5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다-나-가-라
(가) 살리타가 이끄는 몽골의 1차 침입 (나) 윤관이 여진을 정벌하기위해 별무반을 편성함 (다) 거란의 2차 침입 거란이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침입, 양규의 활약으로 거란 철수 (라) 왜구의 침입, 최영 이성계등이 왜구토벌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가) 김윤후가 살리타 사살(처인성 전투)는 몽골의 2차 침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 몽골군 고려 2차침입 당시 처인성 공격으로, 승려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를 활로 사살. 1232년 (나) 여진과의 교전에서 패배한 윤관이 숙종에게 건의해서 만들어진 특수부대를 별무반이라 칭함. 1104년 (다) 고려 강조정변으로 거란이 목종을 시해한 강조를 벌한다는 구실로 2차 침입. 강조정변 1009년 (라) 최영의 왜구 토벌. 1376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시나리오의 상황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2점]
1.
왕의 장인인 김흠돌이 반란을 도모하였다.
2.
묘청이 칭제 건원과 금국 정벌을 주장하였다.
3.
의종이 왕위에서 쫓겨나 거제도로 추방되었다.
4.
이자겸이 왕실의 외척이 되어 권력을 독점하였다.
5.
김부식이 서경의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출정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무신이 문신에게 당하는 대표적 사료임 1170 무신의 난 >무신에 의해 의종 쫓겨남 [해설작성자 : 핼]
1. 김흠돌의 난 : 신라 신문왕 때의 반란입니다. (김헌창의 난 : 신라 무열왕때의 반란) 2.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 중앙 문벌 귀족(개경파 김부식)과 지방 출신의 관리(서경파 묘청)의 대립 3. 무신정변 4. 이자겸의 난 : 고려 인종 때의 난입니다. 5.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해설작성자 : Myles Kennedy]
김헌창의 난: 신라 하대 헌덕왕 [해설작성자 : 이 솔 렛]
1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경재소를 설치하여 유향소를 통제하였어요.
2.
전국의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였어요.
3.
상수리 제도를 실시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였어요.
4.
5소경을 설치하여 수도의 편재성을 보완하고자 하였어요.
5.
국경 지대에 병마사를 파견하여 적의 침입에 대비하였어요.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위 시기는 고려 시대이다. 고려 시대의 지방 제도를 찾으면 된다. [해설작성자 : 한국사 화이팅]
1. 조선에 대한 설명이다. 2. 모든 군현에 파견하지 않았다. 3. 통일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4. 통일 신라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문제 해설> 1. 신기전- 세종, 화차- 문종 2. 혼천의-세종////참고: 조선 후기 실학자 홍대용도 혼천의를 제작하였다 3. 정조 4. 성종 5. 세종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23.
밑줄 그은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1점]
1.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펼쳤다.
2.
탕평비를 세워 붕당 정치의 폐해를 경계하였다.
3.
초계문신제를 시행하여 문신들을 재교육하였다.
4.
6조 직계제를 처음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5.
집현전을 설치하여 인재를 육성하고 편찬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허준이 편찬한 책은 '동의보감' 이는 광해군때 만들어졌다. 광해군이 한 대표적인 일은 '중립 외교' [해설작성자 : Schutze]
허준 '동의보감' => 광해군
1. 광해군 2. 영조 3. 정조 4. 태종 5. 세종 [해설작성자 : KIMJY]
24.
밑줄 그은 ‘이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풍흉과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차등 부과하였다.
2.
선혜법이라는 이름으로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되었다.
3.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 폐지를 가져왔다.
4.
공인이 등장하여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5.
재정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에게 결작을 부과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보기 균역법(영조). 1번 연분9등법(세종) 2.선혜법=대동법 3번 정조 4번 대동법 실기 결과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25.
다음 자료의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모습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본문 설점수세제(민간에게 채광을 허용하고 세금을 받아낸 제도, 조선 후기) ㄱ과ㄷ은 모두 고려 때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2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지도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5.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가장 오래된 지도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 태종 때 만듬) [해설작성자 : 34회 고급 준비자]
2. 지구전도: 조선후기 김정호가 만든 지도 3. 천하도: 조선 중, 후기 민간에서 많이 쓰이던 지도 (작가 미상) 4. 여지전도: 조선 후기 지도 [해설작성자 : 1급쌉가능]
5. 곤여만국지도- 명나라에서 제작한 서양식 세계지도(마테오 리치) [해설작성자 : ㅇㅇ]
27.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군사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정조 때 설치된 국왕의 친위 부대였다.
2.
정미 7조약에 의해 강제로 해산되었다.
3.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되었다.
4.
이종무의 지휘 아래 대마도 정벌에 참여하였다.
5.
양인개병의 원칙에 따라 의무병으로 구성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이 군사조직의 이름은 '훈련도감' 유성룡의 건의로 임진왜란 중에 설치되었다.
훈련도감의 역할은, 군사 훈련, 수도방위, 국왕 보위 구성은:포수,사수,살수의 삼수병으로 구성된다. [해설작성자 : Schutze]
1.정조 때 친위부대 : 장용영 2.군대해산 : 진위대, 시위대(박승환 자결) 3.삼수병 : 훈련도감 4.대마도 정벌 : 세종 5.양인개병,의무병 : 고려 5위영진군, 5위:중앙,정군+특수군+갑사(직업군인,장교급) 영진군:지방,정군(농민) [해설작성자 : ㅂㅇㅂ]
5.양인개병 : 조선 전기 5위 영진군 진관체제 *고려는 2군 6위, 주진군, 주현군입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28.
다음 사건 이후에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3점]
1.
외척 간의 대립으로 을사사화가 발생하였다.
2.
인현왕후가 폐위되고 남인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3.
공신 책봉에 불만을 품고 이괄이 반란을 일으켰다.
4.
서인과 남인이 두 차례에 걸쳐 예송을 전개하였다.
5.
이조 전랑 임명을 둘러싸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이 사건은 1689년에 일어난 '기사환국' 이다 기사환국때 송시열 등 서인 세력이 몰락했고 인현 왕후가 폐위 되었다. [해설작성자 : Schutze]
1. 을사사화: 1545년 윤원형일파 소윤이 윤임일파 대윤을 숙청하면서 사림이 크게 화를 입은 사건 (명종 즉위년) 2. 이괄의 난: 조선 인조 시기 인조반정과 연관이 있다. 4. 예송논쟁: 현종 때 인조의 계비의 상례문제를 둘러싸고 남인과 서인이 두차례에 걸쳐 대립한 사건 5. 이조전랑 : 훈구를 물리치고 정권을 잡은 사림은 1575년(선조8) 훈구파에 대한 처리를 놓고 두파로 나뉘었는데 양측은 서로 자기편의 인물을 직위에 임명하려 했다. 이를계기로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붕당청치가 시작되었다 조선후기 붕당의 피해를 막고자 탕평책을 추진하던 영조는 1742년 전랑의 통청권을 제한 하였다.
[해설작성자 : 강대 방사 역사알리미]
환국의 전개 (숙종 -경신환국(1680) : 서인이 역보를 꾀한다고 남인 고발 -> 서인집권 (이후 서인은 남인에 대한 처벌 문제를 둘러싸고 노론/소론으로 분화) -기사환국(1689) : 서인의 우두머리였던 송시열이 희빈장씨 아들의 원자책봉을 반대하자 숙종이 송시열 처형. -> 남인 집권 -갑술환국(1694) : 인현왕후 복위, 희빈장씨 몰아냄 -> 서인 집권 [해설작성자 : jinny]
29.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ㄴ과ㄹ 모두 조선 전기. ㄱ의 저자 유득공, ㄷ의 저자 정약용. 유득공과 정약용 조선 후기 사람들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ㄴ. 팔도지리지는 조선 성종 시기 만들어진 지도 ㄹ. 동국통감 역시 조선 성종 시기 만들어진 역사책 (고조선~고려 통사, 서거정 저술) [해설작성자 : 1급쌉가능]
30.
(가)에 들어갈 세시 풍속으로 옳은 것은? [1점]
1.
백중
2.
칠석
3.
대보름
4.
삼짇날
5.
한가위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위 음식은 화전이다. 화전은 주로 삼짇날에 먹는다.
그러므로 정답은 삼짇날 화전인 4번. [해설작성자 : LEE.C.M]
31.
밑줄 그은 ‘이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청의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2.
선혜청과 일본 공사관을 공격하였다.
3.
몰락 양반 출신인 유계춘이 주도하였다.
4.
남접과 북접이 연합하여 조직적으로 전개하였다.
5.
세도 정치기의 수탈과 지역 차별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정답 : [
5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이 사건은 '홍경래의 난' 이라 불린다. 홍경래의 난이 일어난 이유는 서북지방에 대한 차별 [해설작성자 : Schutze]
1.청의 군대에 의해 진압 - 임오군란, 갑신정변. 2.선혜청과 일본공사관 공격 - 임오군란 4.동학농민운동 2차봉기 [해설작성자 : 진월동 꿀주먹]
3. 유계춘 - 진주민란 [해설작성자 : ㅓㅓ]
32.
(가) 인물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1.
속대전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2.
국가 재정 확충을 위해 호포제를 실시하였다.
3.
삼군부를 부활시켜 군국 기무를 전담하게 하였다.
4.
경복궁을 중건하여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자 하였다.
5.
사창제를 실시하여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고자 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속대전은 왕권강화가 주목적이고, 경국대전은 전기 법전의 기틀마련. 속대전과 경국대전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대전통편. [해설작성자 : 아오니]
흥선대원군-대전회통 [해설작성자 : 천재지니어스]
영조의 속대전은 조선 후기에 속하고 경국대전이 조선 전기 성종때에 완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choi hong jun]
33.
(가), (나)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
1.
(가) - 대동강으로 침입한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다.
2.
(가) -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의 문물 수용을 주장하였다.
3.
(나) - 대한 광복회를 조직하여 친일 부호를 처단하였다.
4.
(나) - 조선책략 유포에 반발하여 영남 만인소를 주도하였다.
5.
(가), (나) - 통상 개국론을 통해 문호 개방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가)박규수 (나)최익현 2번 북학의저술 박제가 3번 1910년대 항일운동단체 4번 이만손 주도 5번 최익현은 문호 개방 반대한 위정척사파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2번은 을사조약이아니라 일본이 조선을 상대로 강제로 체결한 것이니까 을사늑약이라고 표현하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삼척마이스터고 화이팅]
1.갑신정변의 결과로 체결된 조약은 한성조약(일본과 체결, 조선이 일본에게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 신축 비용 부담 등)과 텐진조약(청과 일본이 체결, 청·일 군대 동시 철수, 조선 파병 발생 시 상호 통보)로 둘 다 1885년에 체결. [해설작성자 : 해설에 없길래 찾아봄]
3번 민영환의 자결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올해간다]
35.
(가), (나) 사절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 - 에도 막부의 요청으로 파견되었다.
2.
(가) - 암행어사의 형태로 비밀리에 파견되었다.
3.
(나) -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체결로 파견되었다.
4.
(나) -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5.
(가), (나) - 고종이 대한 제국을 선포한 이후 파견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가-강화도 조약 이후의 1 차 수신사 나-김윤식과 38명의 유학생이 함께한 영선사. 임오군란 때문에 조기귀국 하였으며 1883년 기기창 설치의 배경이 되었음. 1. 당시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이므로 막부시대는 막을 내린 뒤였다. 2. 1881년 일본 산업 시찰 목적으로 보내어진 조사시찰단을 말하며 비공식적인 암행어사 형태로 파견되었음 3. 1883년에 파견된 보빙사를 설명하고 있다. 5. 고종의 대한 제국 선포는 아관파천(1896년) 이후인 1897년에 있었던 일이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1.에도 막부로의 요청으로 간것은 조선후기 통신사로서 조선이 일본에게 선진문물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갔음 (가)는 수신사로서 일본의 문물을 우리나라가 국내로 들어오려고 하는 목적으로 감 [해설작성자 : 안양최강경영]
36.
다음 가상 일기가 쓰인 이후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1점]
1.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하였다.
2.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철도가 개통되었다.
3.
함경도 덕원 주민들에 의해 원산 학사가 세워졌다.
4.
황실이 자본을 투자한 한성 전기 회사가 설립되었다.
5.
최초의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에서 은세계가 공연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갑신정변, 원산학사는 갑신정변이 일어나기 1년전에 지어졌다.
1884년 우정총국 낙성식(개국 축하연)에 관한 자료이며 이를 통하여 갑신정변이 발발하였다. 1. 만민공동회 개최(1898.3~) 2. 경인선 개통(1899) 3. 원산학사(1883) 4. 한성 전기 회사(1898)-미국 콜브란+황실 지원 5. 원각사(1908)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37.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근우회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2.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3.
조선 사람 조선 것 등의 구호를 내세웠다.
4.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시켰다.
5.
서상돈, 김광제 등의 발의로 본격화되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국채보상운동] -서상돈, 김광제 주도 -여성들 적극참여 -대한매일신보 지원 -일본, 러시아 교민도 참여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실패 [해설작성자 : 핼]
2, 3. 물산장려운동 4.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해설작성자 : 혜동]
1.근우회의 주도로 전개된 것은 여성 운동(사회적 지위 개선 및 교육 주장) [해설작성자 : 시립대 도시공학과 슈퍼 인싸]
38.
(가) 기구에서 추진한 개혁으로 옳은 것은? [3점]
1.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2.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하였다.
3.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4.
지방 행정 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하였다.
5.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고 과부의 재가를 허용하였다.
정답 : [
5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가) 1차 김홍집 내각 1차 갑오개혁의 내용을 묻는 문제이다. [해설작성자 : 울산공고]
1.건양이라는 연호는 3차 을미개혁에서 제정되었다. 1차 갑오개혁에서는 연호 개국기년이 제정되었다. 2.신식 군대인 별기군은 강화도조약 체결 후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된 다음 창설되었다. 3.양전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한것은 대한제국 시기의 광무개혁에서다. 4.지방 행정구역을 8도에서 23부로 개편한것은 2차 갑오개혁에서다. 5.공사 노비법을 혁파하고 과부의 재가를 허용한것은 1차 갑오객혁에서다. [해설작성자 : 갓세븐 영재]
1차 갑오개혁 기구 - 군국기무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다음 수행 평가의 보고서 제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ㄱ. 조선 후기 일제 강점기 이전이다. ㄴ. 신채호- 독사신론,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사(아와 비아의 투쟁) ㄷ. 조선사 편수회와 청구학회는 한국사 왜곡 기구이다. ㄹ.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1번 을미의병 1895 2번 정미의병 1907 3번 홍범도 ㄷㅐ한독립군 1919 4번 독립의군부 임병찬 1912 [해설작성자 : 부천 1070의경]
5번 정미의병 (1907~1910년) 중 서울진공작전 1908년 [해설작성자 : ㅎㅇㅌ]
41.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
1.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 사살
2.
민족의식 고취를 위해 명동 학교 설립
3.
훙커우 공원에서 일본군 장성과 고관 처단
4.
조선 혁명군을 이끌고 영릉가 전투에서 승리
5.
중국 우한에서 군사 조직인 조선 의용대 창설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김원봉 , 의열단을 조직하고 그후에 35년 조선 혁명당 ,38면 조선 의용대를 창설 1. 안중근 2. 김약연 3. 윤봉길 4. 양세봉
42.
다음 대화에 나타난 일제의 정책이 시행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1점]
1.
태형을 집행하는 헌병 경찰
2.
회사령을 공포하는 총독부 관리
3.
암태도 소작 쟁의에 참여하는 농민
4.
황국 신민 서사 암송을 강요받는 학생
5.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에 성금을 내는 상인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창씨개명은 1930년대 1번,2번 1910년대 3번,5번 1920년대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태형을 집행하는 헌병 경찰은 1910년대 입니다.
43.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
2.
신간회 중앙 본부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3.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이 함께 준비하였다.
4.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 간의 충돌이 발단이 되었다.
5.
일제 통치 방식이 이른바 문화 통치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6.10 만세 운동(1926)에 대한 자료이다. 1920년대 초 사회주의가 유입되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간의 대립이 발생하던 당시 일제의 수탈 정책과 식민지 교육에 대한 반발이 쌓인 가운데 1926년 4월 순종이 사맘하자 민족 감정이 고조되었다. 순종의 승하를 계기로 조선 학생 과학 연구회 등의 학생 조직과 사회주의 계열에 의해 각각 준비되어 추진되었다. 가장 치밀한 준비를 한것은 사회주의 계열이었고, 일부 민족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하지만 사회주의 계열이 사전에 발각되어 인사들이 검거되고 인쇄격문이 압수되었다. 사회주의계는 이탈했지만 조선 학생 과학 연구회를 비롯한 학생들은 예정대로 만세 시위운동을 추진하였다. 이 운동은 3.1운동의 규모에 비해서는 초라하였으나, 사회주의계와 민족주의계가 함께 항일 운동을 전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민족 유일당 운동으로서 신간회의 결성(1927)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1. 3.1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2. 신간회는 6.10 만세 운동 이후 결성되었다. 4.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에 대한 설명이다. 5. 3.1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자료에서 순종 인산행렬에서 6 10만세운동 임을 알 수 있음. 1번,5번 3 1운동(고종 인산일) 2번,4번 광주학생항일운동(6 10만세운동 이후)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44.
밑줄 그은 ‘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김구에 의해 상하이에서 조직되었다.
2.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하였다.
3.
김상옥, 김익상 등이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4.
복벽주의를 내세우며 의병 전쟁을 준비하였다.
5.
신흥 무관 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이봉창은 한인 애국단. 2번,3번은 의열단 4번 이병창이 만든 독립의군부 5번 신민회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이봉창은 한인애국단(김구, 윤봉길 등). 2.3번은 의열단(1919, 만주길림성 김원봉,윤세주,박재혁,김익상,김지섭): 조선혁명선언-1923 베이징에 있는 신채호 찾아가 부탁 4.고종의 복위지향='복벽주의'는 임병찬 5번 신민회(1907-1911) [해설작성자 : 따자따자1급]
45.
다음 자료가 발표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2점]
1.
(가)
2.
(나)
3.
(다)
4.
(라)
5.
(마)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좌우 합작 7원칙(1946. 10 발표)에 관한 사료이다.
좌우 합작 운동은 김일성이 북한을 장악한 상태에서 남한에서도 단독 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게 되어 남북 분단의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었다. 좌익이 강경파(박헌영)과 온건파(여운형)로 분열되고, 우익도 강경파(이승만,한민당)와 온건파(김규식,안재홍)로 분열되어 중도 좌익과 중도 우익의 연대가 가능해졌다. 여기에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인 '임시정부'수립을 실천하기 위해 미 군정은 좌우 합작 운동을 지원하였다. 좌우 합작 운동은 한국 주둔 사려완 하지의 지지 성명으로 적극화되었고 위원회는 김규식과 안재홍을 대표로 하는 우익 인사 5명과 여운형을 대표로 하는 좌익 인사 5명으로 구성되었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자료는 좌우합작운동(여운형과 김규식 주도) 1차미소공위 결렬 뒤에 일어난 운동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2.이승만 하야 후 제2대 대통령 박은식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으로 활동한 인물 = 이승만' 이라고 확정 지으면 박은식 관련 문제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으로 활동한 인물을 잘못된 보기로 오해할 수 있어서 추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오지랖맨]
47.
밑줄 그은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농광 회사가 주도하여 추진하였다.
2.
추진 과정에서 수리 조합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3.
태평양 전쟁 이후 군량미 조달을 위해 시작되었다.
4.
하와이 노동 이민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배경이 되었다.
5.
함경도와 황해도에서 방곡령이 선포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2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제시된 자료는 산미 증식 계획에 대한 것이다.
산미 증식 계획(1920~1934) 목적 : 공업화로 인한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 해결 위해 조선의 쌀 저렴하게 수입 방법 : 밭 -> 논, 간척 사업, 수리 조합, 토지 개량, 비료 증식 -->쌀 생산량 증대 결과 -수리 조합비 과다 징수(수리 조합 반대 운동 계기), 1인당 쌀 소비량 감소->만주산 잡곡 수입 증가 -증식량 < 수탈량 -> 조선 소작농에게 고율의 소작료 징수 <->소작쟁의, 해외 이주 중단 이유 : 대공황으로 인한 일본 농민 보호 목적 -> 조선 내 쌀값 폭락
1. 1904년 일본의 토지침탈기도에 대응하여 개간사업을 목적으로 설립한 근대적 농업회사로 같은해 해체되었다. 3. 태평양 전쟁(1941~1945) 4. 최초 하와이 이민 (1903) 5. 방곡령 사건(1889) 방곡령은 1883년에 규정되었으며 1889년 농민의 경제난을 계기로 일본에 대한 쌀 반출을 막기 위해 방곡령을 내렸고 이에 대하여 일본은 조·일 통상장정에 있는 1개월 전 통보 항목을 근거 삼아 배상금 지불을 요구 하였다. [해설작성자 : 이코노미스트]
48.
다음 성명을 발표한 정부의 통일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
1.
남북 조절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2.
금강산 관광 사업을 실시하였다.
3.
개성 공단의 설치에 합의하였다.
4.
최초로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였다.
5.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을 채택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자주와 평화, 민족대단결에서 박정희 정부 때 7 4남북공동성명임을 알 수 있음. 이후락 정보국장이 몰래 북으로 갔음. 2,3,4번 김대중 정부 5번 노태우정부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49.
다음 명령을 발동한 정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점]
1.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2.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
3.
미국과 자유 무역 협정(FTA)을 체결하였다.
4.
제2차 석유 파동으로 경제 불황이 심화되었다.
5.
원조 물자를 가공하는 삼백 산업이 발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금융거래 실명은 김영삼 정부. 1,4번 박정희 정부 5번 이승만 정부 [해설작성자 : 1급따고싶다]
미국과 FTA 체결은 2007년 노무현 정부 시기. 한,미 FTA는 이후 재협상을 거쳐 국회 비준을 받은 후 이명박 정부 시기인 2012년 3월 15일 0시를 기점으로 발효. 따라서 체결은 노무현 정부 시기. [해설작성자 : 멜로]
50.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신군부의 비상 계엄 확대가 원인이 되었다.
2.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는 시위에서 시작되었다.
3.
관련 자료가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4.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5.
국민들의 요구에 굴복하여 대통령이 하야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호헌 철폐, 이한열,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 -> 6월 민주 항쟁
4. 전두환 정부의 4.13 호헌 조치는 정부의 장기 집권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받아들여져 큰 반발이 나타났다. 이에 시민과 학생들은 호헌철폐, 독재 타도, 민주헌법쟁취 등의 구호를 내세우고 시위를 전국적으로 벌였다.(6월 민주 항쟁) 이로 인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 기본권 보장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6.29 선언(1987)을 노태우 대표가 발표하였다. 이 선언이 계기가 되어 국회에서는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9차 개헌(1987.10)이 마련되었다. [해설작성자 : 수신확인-안읽음]
1.신군부의 비상계엄확대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2.3.15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위 - >4.19혁명 3.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자랑스러운 광주 5.18민주화 운동!! 4.4.13호헌조치->6월민주항쟁(호헌철폐,독재타도)->6.29 직선제 5.대통령 하야는-> 3.15부정선거로 인한 4.19혁명으로 이승만 하야, 2017년도 박근혜 탄핵 [해설작성자 : 진월동 꿀주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