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 수양대군 2. 고려 태조왕건 3. 조선 류성룡 → 징비록으로도 유명한 인물입니다. 4. 정답 [해설작성자 : 무수무]
19.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2.
대부분 친원적 성향을 보였다.
3.
성리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다.
4.
교정도감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가)는 신진사대부 세력입니다. 1. 묘청을 중심으로 한 서경파 2. 권문세족 3. 신진 사대부 4. 무신 [해설작성자 : 무수무]
20.
(가)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측우기는 강수량을 잴 수 있는 기구로 조선 세종 때 만들어졌습니다. 답은 3번입니다. 1번 거중기 : 화성 축조 때 쓰인 도르래 - 정조 2번 자격루 : 물시계 - 세종 4번 양부일구 : 해시계 - 세종 [해설작성자 : 무수무]
21.
밑줄 그은 ‘이 성’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3점]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병자호란 때 인조가 머물렀던 곳은 남한산성입니다.
1.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피난갔던 곳입니다. 공주에 있음. 2. 정답 3. 병인양요 때 양헌수 장군이 프랑스와 전투를 벌였던 곳. 강화도에 있음. 4. 정조가 세움. [해설작성자 : 무수무]
22.
밑줄 그은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금난전권을 페지하였다.
2.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였다.
3.
군포 부담을 1인당 1필로 줄여 주었다.
4.
특산물 대신 쌀이나 베 등으로 납부하게 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김육은 인조 때의 영의정으로 충청도 대동법 시행의 확대를 주장했습니다. 기념비는 평택에 위치한 대동법 시행 기념비입니다. 대동법은 광해군 때 처음 시행되었습니다. 김육은 확대를 주장. 대동법은 방납의 폐단을 시정하는데에 큰 도움을 줬습니다. 일단 김육이 누군지는 몰라도 대동법은 그 지역의 특산물을 세금으로 내는 걸 쌀로 대신했으니까 토지가 적거나 없는 농민들은 훨씬 부담이 덜 됐겠죠. 3번에서 군포 부담을 1인당 1필은 토지와 전혀 관련이 없는 비단의 개수입니다.
1. 정조가 신해통공을 통해 금난전권을 폐지함. 2. 환곡은 곡식을 빌려줘 갚게하는 제도입니다. 19세기 이후 세도정치가 극심해 폐단이 심각해졌고 흥선대원군이 이를 사창제를 실시해 폐단을 바로 잡았습니다. 3. 영조 균역법 4. 정답 [해설작성자 : 무수무]
23.
다음 가상 인터뷰의 주인공으로 옳은 것은? [2점]
1.
김만덕
2.
유관순
3.
신사임당
4.
허난설헌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김만덕은 제주도 출신의 거상이었습니다. 막대한 부를 축적했고, 제주에 대기근이 심해 백성들이 어려움을 겪었을 때 도왔습니다.
1. 정답 2. 3.1 운동 때 활약했었던 열사. 3. 글, 시, 그림에 다재다능했었죠. 4. 신사임당과 마찬가지로 글, 그림, 시를 잘썼던 문학가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24.
(가)에 들어갈 세시 풍속으로 옳은 것은? [2점]
1.
단오
2.
동지
3.
추석
4.
칠석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음력 7월 7일 칠석에 관한 설명입니다. 답은 4번 1. 단오 - 음력 5월 5일 2. 동지 - 양역 12월 21~22일 경 3. 추걱 - 음력 8월 15일 [해설작성자 : 무수무]
25.
밑줄 그은 ‘이 사람’으로 옳은 것은? [2점]
1.
박제가
2.
박지원
3.
정약전
4.
홍대용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조선 후기에 혼천의를 제작한 사람은 중상학파 실학자 홍대용입니다. 혼천의 외에 홍대용은 임하경륜을 통해 문벌제도를 없애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지전설을 주장하며 화이의 구분을 부정했습니다. 답은 4번입니다.
1. ○ 긴 막대기를 격구채라고 부르며, 마상재라는 것과 더불어 무예훈련에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2. X → 두 사람이 샅바 혹은 허리춤을 붙잡고 힘을 겨루는 놀이 3. X → 일정한 거리에 서서 투호통에 화살을 던져 넣는 놀이. 주로 양반이 즐겼다고 전해집니다. 4. X → 볏짚으로 둥그런 모양의 '고'를 만들어 부딫히며 싸우는 놀이입니다. 줄디리기의 파생으로 안동 차전놀이와 상당히 비슷합니다. 직접 인터넷 검색을 해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27.
밑줄 그은 ‘이곳’으로 옳은 것은? [3점]
1.
서원
2.
향교
3.
성균관
4.
배재 학당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조선 시대 "한양"에 설립된 최고 교육기관 = 성균관 1. 지방에 세워진 사립 교육기관 2. 지방에 게워진 공립 교육기관 3. 정답 4. 개항기 이후 세워진 교육기관입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28.
다음 퀴즈의 정답으로 옳은 것은? [3점]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602년 마테오리치가 중국에서 만든 곤여만국전도를, 조선 후기 숙종 때 1708년 관상감에서 그대로 똑같이 모사하여 제작했습니다.
1. 조선 중종 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실렸던 우리나라 지도. 1530년 2. 김정호가 만든 우리나라 지도. 1861년 3. 정답 4. 조선 태종 때 만들었던 세계지도 1402년 [해설작성자 : 무수무]
1. 영남 만인소 1881년 이만손 외 여러 유생들 2. 나석주 1926 3. 정답 → 일본군과 맞서 싸운 의병입니다. 4. 헤이그 특사 파견 1907 [해설작성자 : 무수무]
30.
다음 학생이 생각하고 있는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
1.
브나로드 운동을 주도하였다.
2.
조선 혁명 선언을 발표하였다.
3.
평양에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4.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안창호, 양기탁 1907년, 교육 강화, 만주에 독립군 기지 건설 = 신민회 입니다.
1. 동아일보 2. 신채호 3. 정답. 신민회인 안창호가 설립 4. 여운형 [해설작성자 : 무수무]
31.
밑줄 그은 ‘이 문화유산’으로 옳은 것은? [2점]
1.
대한문
2.
독립문
3.
숭례문
4.
흥인지문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진은 독립문의 사진입니다. 서재필 ☞ 독립 협회에서 활동하던 분이셨죠. 독립 협회가 나오면 독립문, 관민 공동회, 만민 공동회, 독립 신문. 이 키워드들은 알고 계셔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32.
밑줄 그은 ‘이 정책’으로 옳은 것은? [3점]
1.
방곡령
2.
회사령
3.
산미 증식 계획
4.
토지 조사 사업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920년 쌀 생산을 늘려 일본의 식량 부족 문제 해결 = 산미 증식 계획
1. 1889년에 1883년 맺은 조•일통상장정에 근거(방곡령을 내려도 된다는 조약이 있었음)하여 방곡령을 내렸습니다. 방곡령은 쉽게 말하면 그 지역이 형편이 어려우면, 그 지역의 경제가 원활해질때까지 그 지역의 곡물을 다른 곳으로 나가지 못하게 막는겁니다. 1889년 방곡령을 시행했다가 결국 일본의 상인들에게 큰 타격을 입혀 일본에게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했습니다. 2. 1910년대 회사령은 회사를 설립할 때 일본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제도입니다. 3. 정답 4.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으로 인해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토지 소유권이 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33.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나)-(다)-(가)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강화도 조약은 1876년 동학 농민군 봉기는 1894~1895 안중근 의사 의거는 1909 하얼빈. [해설작성자 : 무수무]
34.
밑줄 그은 ‘이 단체’로 옳은 것은? [2점]
1.
대한 광복회
2.
조선어 학회
3.
한인 애국단
4.
조선 물산 장려회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조선어학회는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 제정에 큰 공을 했던 단체입니다. 이윤재, 최현배가 중심이 되어 활동했습니다. 하지만 1942년에 일제가 독립운동으로 간주하고 조선어학회를 탄압해 우리말큰사전의 편찬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답은 2번입니다.
1. 박상진이 설립. 공화정 지향, 친일 부호 차단, 만주 군관 학교 설립 2. 정답 3. 김구가 설립했던 단체 4. 물산 장려 운동을 추진한 단체 [해설작성자 : 무수무]
35.
밑줄 그은 ‘이 인물’로 옳은 것은? [2점]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답은 2번 방정환. 색동회를 조직하고, 어린이날을 만든 사람은 방정환. 그리고 천도교, 잡지 「어린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36.
(가) 시기에 볼 수 있는 장면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1. 1947년 5월 2. 1953년 7월 → 6.25 전쟁 때입니다. (가)보다 후대에 일어난 사건입니다. 3. 1948.5.10 총선거 4. 1948년 4월 김구, 김규식 일행의 남북협상 답 2번 [해설작성자 : 무수무]
37.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점]
1.
농지 개혁법이 제정되었어.
2.
경부 고속 국도를 개통했어.
3.
한ㆍ일 월드컵 축구 대회를 개최했어.
4.
국제 통화 기금에 구제 금융을 요청했어.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1949년 법 제정 이승만 정부. 2. 1970년 완공. 박정희 정부. 3. 2002년 김대중 정부. 4. 정답 1997년. [해설작성자 : 무수무]
38.
(가)에 들어갈 단체로 옳은 것은? [3점]
1.
신간회
2.
대한 독립군
3.
대한 국민 의회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미국 전략 정보국의 지원, 특수 공작 훈련 = 1945년에 있었던 대한민국 임시 정부 때의 모습입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군사 조직인 한국광복군과 같이 준비했습니다.
답은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무수무]
39.
다음 가상 영화의 소재가 된 사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1.
4ㆍ19 혁명
2.
부ㆍ마 항쟁
3.
6월 민주 항쟁
4.
3선 개헌 반대 운동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1987년. = 6월 민주 항쟁입니다. 4.13 호헌조치에 반발해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내걸며 항쟁을 벌였습니다.
1. 3.15 부정 선거, 이승만 독재 정권 1960년 2. 부산 마산 지역에서 있었던 유신체제 반대 1979년 3. 정답 4. 6차개헌의 내용인 3선 개헌에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 1969년 [해설작성자 : 무수무]
40.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시기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개성 공단 조성 합의
2.
남북 기본 합의서 채택
3.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4.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사진은 김대중 대통령의 모습들 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시드니 올림픽 2000년 입니다. 김대중 대통령의 업적을 고르면 됩니다.
1. 정답 2. 노태우 정부 1991년 12월 3. 박정희 정부 1972년 4. 노태우 정부 1991년 8월 [해설작성자 : 무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