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균형로프 1. 엘리베이터의 고층화로 승강 높이가 높아져 카의 위치에따라 로프 잡중의 무겍 불균형과 이동 케이블 자중의 무게 불균형이 커진다. 2. 이 불균형만큼 체인이나 로프를 반대로 달아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균형체인 또는 균형로프이다. 3. 고속•고층 엘리베이터의 경우 보상체인은 소음의 원인이 되므로 보상로프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경기인력개발원 전기시공실무]
10.
수평보행기의 디딤면이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조일 경우에 경사도는 몇 도 이하이어야 하는가?
1.
8도
2.
10도
3.
12도
4.
15도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기본 12도 미끄러지기 어려운구조 15도 [해설작성자 : 배정우]
11.
과부하 감지장치의 작동에 따른 연계 작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카가 움직이지 않는다.
2.
경보음이 울린다.
3.
통화장치가 작동된다.
4.
문이 닫히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정격 적재하중을 초과하면 문이 닫히지 않고 경보음이 울리며 움직이지 않습니다.
12.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버튼의 설치위치는?
1.
기계실에 설치한다.
2.
상부 승강장 입구에 설치한다.
3.
하부 승강장 입구에 설치한다.
4.
상ㆍ하부 승강장 입구에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버튼은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13.
승강장의 문이 열린 상태에서 모든 제약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닫히게끔 하여 문의 개방상태에서 생기는 2차 재해를 방지하는 문의 안전장치는?
1.
세이프티 레이
2.
도어 인터로크
3.
클로저
4.
도어 세이프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클로저(CLOSURE,closer) 문을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는 장치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2차 나오면 인터록 아닌기요? [해설작성자 : 전문기술자]
14.
승강로 꼭대기 틈새(상부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카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경우 카 바닥과 기계실 바닥간의 거리
2.
카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경우 카 바닥과 카 천정간의 거리
3.
카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경우 카 상부체대와 승강로 천정간의 거리
4.
카가 최상층에 정지하였을 경우 카 상부체대와 기계실 천정까지의 거리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상부공간: 카가최상층에있을 때카와 승강로 천장사이 의 승강로의 부분 [해설작성자 : 승상기 합격]
15.
유압 엘리베이터용 펌프로 소음이 적고 압력맥동이 적은 펌프는?
1.
기어펌프
2.
스크루펌프
3.
외접펌프
4.
피스톤펌프
정답 : [
2
] 정답률 : 77%
2과목 : 안전관리
16.
VVVF제어에서 3상의 교류를 일단 D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은?
1.
인버터
2.
발전기
3.
전동기
4.
컨버터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교류-> 직류 컨버터 직류->교류 인버터 [해설작성자 : 천재혁]
17.
기계실의 바닥면적은 승강로 수평투영면적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기기의 배치 및 관리에 지장이 없는 경우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
2.
2
3.
3
4.
4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걍 2.2배에요 [해설작성자 : 승강기기능사 하루만에 붙은사람]
18.
에스컬레이터에서 스텝체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이 좁고, 충고가 낮을수록 높은 강도의 체인을 필요로 한다.
2.
일종의 롤러체인이다.
3.
좌우 체인의 링크 간격은 스텝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환강으로 연결한다.
4.
클립형과 판넬형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스텝체인은 일종의 롤러체인으로 좌우 체인의 링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롤러가 연결된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sss]
19.
승강기의 자체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기계실의 면적
2.
브레이크 및 제어장치
3.
와이어로프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74%
20.
방호장치 중 과도한 한계를 벗어나 계속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장치는?
1.
크레인
2.
리미트스위치
3.
윈치
4.
호이스트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한=리미트 [해설작성자 : Gongju Meister High School ]
21.
재해의 직접 원인은 인적 원인과 물적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물적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복장, 보호구의 잘못 사용
2.
정서불안
3.
작업환경의 결함
4.
위험물 취급 부주의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하인리히 이론에 따르면 물적원인은 대상물 자체의 결함, 방호조치의 결함, 기계배치 및 작업장의 결함, 보호구 및 복장의 결함, 작업환경의 결함, 생산공정의 결함 이 있습니다. 1, 3번의 복수정답이네요
[오류신고 반론] 추가합니다. 문제의 내용은 복장, 보호구의 잘못 사용이므로 결함과는 다른 의미로 비추어집니다. 그러므로 3번만이 정답이라고 생각됩니다. [해설작성자 : ㅎ]
[오류신고 반론] 1번 보기의 복장, 보호구의 잘못 사용은 노동자의 안전에 관한 무지, 미숙, 미경험 등에 기인함으로 간접원인 중 교육적 원인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2.
높은 곳에서 전기작업을 위한 사다리작업을 할 때 안전을 위하여 절대 사용해서는 안되는 사다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