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대손금 1,000,000원은 대손충당금 잔액 500,000원과 우선 상계하고 나머지 500,000원은 대손상각비로 처리한다.
8.
다음 자료에 의하여 선입선출법과 후입선출법에 따라 상품의 기말재고액을 계산하면 각각 얼마인가?(순서대로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2점]
1.
100,000원, 100,000원
2.
120,000원, 100,000원
3.
100,000원, 120,000원
4.
120,000원, 120,000원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선입선출법 : 10개 × 12,000원 = 120,000원 후입선출법 : 10개 × 10,000원 = 100,000원
9.
부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점]
1.
부채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2.
보고기간종료일부터 만기가 1년 이내인 사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3.
유동성장기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4.
퇴직급여충당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보고기간종료일부터 만기가 1년 이내인 사채는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10.
무형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
1.
무형자산은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만 인식한다.
2.
무형자산의 상각방법은 정액법만 인정된다.
3.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어떠한 경우라도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4.
사용을 중지하고 처분을 위해 보유하는 무형자산도 상각대상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② 무형자산의 상각방법에는 정액법, 체감잔액법(정률법 등),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등이 있다. 다만,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액법을 사용한다. ③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독점적·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④ 사용을 중지하고 처분을 위해 보유하는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않는다.
11.
다음은 (주)한공의 지출결의서 일부이다. 회계처리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1점]
1.
급여
2.
감가상각비
3.
교육훈련비
4.
지급수수료
정답 : [
3
] 정답률 : 98%
<문제 해설> 업무와 관련한 임직원 교육비는 교육훈련비에 해당한다.
12.
다음 (가) ~ (다)의 거래를 분개할 때 차변 계정과목을 해당하는 것으로 옳게 짝지은 것은?(순서대로 가, 나, 다)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