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법인이 거주자에게 다음의 소득을 지급하는 경우 원천징수대상이 아닌 것은? (단, 제시된 소득은 과세최저한이나 비과세대상은 아니라고 가정한다.)
1.
비영업대금의 이익
2.
상표권의 양도소득
3.
강연료
4.
토지의 양도소득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비영업대금의 이익, 상표권의 양도소득, 강연료는 원천징수대상이나, 토지의 양도소득은 원천징수대상이 아니다.
12.
조세특례제한법상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득은 없으나 나이가 20세를 초과하여 기본공제대상이 아닌 직계비속이 사용한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근로자 본인이 공제받을 수 있다.
2.
다른 거주자의 기본공제대상자가 사용한 신용카드 등의 사용금액은 소득공제대상이 아니다.
3.
중학생의 교복을 신용카드로 구입한 경우 교육비세액공제를 받은 금액도 신용카드 공제를 받을 수 있다.
4.
신용카드로 지급한 의료비에 대하여 의료비세액공제를 받은 경우에는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신용카드로 지급한 의료비에 대하여 의료비세액공제를 받은 경우에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
13.
법인세법상 손익의 귀속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동산매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부동산을 판매한 경우 당해 판매손익의 귀속사업연도는 그 부동산을 인도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이다.
2.
계약기간 1년 미만인 건설 ㆍ 제조 기타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인도기준을 적용하여 손익의 귀속사업연도를 인식한다.
3.
자산의 위탁매매로 인한 익금 및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자산을 위탁하는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4.
중소기업인 법인은 장기할부조건으로 자산을 판매하거나 양도한 경우 회수하였거나 회수할 금액을 해당 사업연도의 익금에 산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부동산 판매 손익의 귀속 사업연도는 그 대금을 청산한 날, 소유권 등의 이전등기일・인도일 또는 사용수익일 중 빠른 날로 한다. 건설・제조 기타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익금과 손금은 원칙적으로 작업진행률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수익과 비용을 각각 해당 사업연도의 익금과 손금에 산입한다. 자산의 위탁매매로 인한 익금 및 손금의 귀속사업연도는 수탁자가 그 위탁자산을 매매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로 한다.
14.
법인세법상 익금불산입항목이 아닌 것은?
1.
이월익금
2.
법인세 환급액
3.
국세 ㆍ 지방세의 과오납금 환급금 이자
4.
자산수증이익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자산수증이익은 익금항목이나 그 외의 항목은 익금불산입항목이다.
15.
법인세법상 결손금(또는 이월결손금)은 다음의 사유가 발생하면 소멸되어 그 후에는 공제되지 아니한다. 다음 중 법인세법상 결손금(또는 이월결손금) 소멸사유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