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미수금이나 투자자산에 속하는 매도가능채권 중 1년 이내에 실현되는 부분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4.
재고자산이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더라도 보고기간 종료일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않는다면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재고자산은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실현되지 않더라도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2.
무형자산의 회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자산의 상각대상금액은 그 자산의 추정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비용으로 배분한다.
2.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독점적 ㆍ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 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3.
원칙적으로 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취득원가의 10%로 가정하여 무형자산 상각비를 계산한다.
4.
무형자산의 상각은 무형자산의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경제적 내용연수보다 짧은 상각기간을 정한 경우에 상각기간이 종료될 때 제3자가 자산을 구입하는 약정이 있거나, 그 자산에 대한 활성시장이 존재하여 상각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자산의 잔존가치가 활성시장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 잔존가치를 인식할 수 있다.
3.
다음은 (주)한공의 손익계산서의 주요항목이다. 이 자료로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1,100,000원
2.
10,100,000원
3.
10,000,000원
4.
9,80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주)한공은 결산시 다음과 같은 회계오류를 발견하였다. 이 중에서 회계연도말 유동자산과 자본을 모두 과대 계상하게 되는 것은?
1.
선급비용의 과소 계상
2.
미지급비용의 과소 계상
3.
장기매출채권을 유동자산으로 잘못 분류함
4.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과소 계상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① 선급비용의 과소 계상: 유동자산의 과소 계상, 자본의 과소 계상 ② 미지급비용의 과소 계상: 유동부채의 과소 계상, 자본의 과대 계상 ③ 장기매출채권을 유동자산으로 잘못 분류: 유동자산의 과대 계상, 자본에 영향 없음 ④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과소 계상: 유동자산의 과대 계상, 자본의 과대 계상
5.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이란 회계정보가 유용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주요 속성을 말한다.
2.
회계정보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질적 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효율성이다.
3.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을 비용과 효익, 그리고 중요성의 제약요인 하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4.
목적적합성 있는 정보는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회계정보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질적 특성은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이다.
6.
다음 중 유형자산의 자본적 지출에 해당하는 것은?
1.
가, 나
2.
나, 다
3.
가, 다
4.
나, 라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본래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한 개조와 빌딩의 피난시설 설치는 자본적 지출이고 나머지는 수익적 지출이다.
7.
다음 자료에 따라 (주)한공이 2015년에 인식할 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는 얼마인가?
1.
750원
2.
4,250원
3.
5,000원
4.
10,000원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015년 말 대손상각비: 2015년 말 대손추정액 - (2014년 말 대손충당금 - 2015년 중 대손 확정액) = (200,000원 × 5%) - (14,250원 - 5,000원) = 750원
8.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산출되는 정보가 효과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이 아닌 것은?
1.
정보가 관련 의사결정 목적에 부합하여야 한다.
2.
정보가 적시에 사용 가능하여야 한다.
3.
정보가 공식적이어야 한다.
4.
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정보는 회사의 규모 및 여건에 따라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일 수 있다.
9.
부가가치세법의 일반과세자의 간이과세자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제매입세액공제를 적용하는 경우 일반과세자는 업종의 제한이 없으나 간이과세자는 음식점업과 제조업만 적용대상이다.
2.
일반과세자의 과세기간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을 제1기 과세기간, 7월 1일부터 12월 31일을 제2기 과세기간으로 하나, 간이과세자는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과세기간으로 한다.
3.
거래상대방이 세금계산서의 발급을 요구하는 경우 일반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것이 원칙이나,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
4.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공급대가를 과세표준으로 하나,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지 않은 공급가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일반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지 않은 공급가액을 과세표준으로 하나,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공급대가를 과세표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