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핵심ERP의 [호봉테이블등록] 화면이다. 이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호봉에 표시되는 정보는 [인사기초코드등록]의 2.급여의 PE.호봉에 입력된 데이터가 자동 반영된다.
2.
호봉테이블은 임금의 이력관리를 위해 해당 호봉테이블이 시작되는 적용시작년월과 적용종료년월을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3.
'호봉복사' 기능을 이용하여 기 작성된 '월'을 선택 복사하여 등록할 수 있다.
4.
'일괄인상' 버튼은 호봉구간별로 일괄 인상하는 버튼으로 정액(일정금액) 및 정율(일정비율)중 선택하여 일괄인상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9.
다음은 핵심ERP의 [소득/세액공제환경설정] 화면이다. 이 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원천징수 및 연말정산과 관련된 세법상 과세기준 및 세율 등이 설정된 메뉴이다.
2.
근로 및 퇴직소득세를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들이 자동 생성되며 수정이 가능하다.
3.
해당 귀속연도에 소득세액이 없는 경우 상단의 '세율복사'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전년도의 세율표를 적용받아 사용한다.
4.
하단에 비과세항목을 클릭할 경우 각 비과세 항목에 대한 소득세법법조문 조항 및 공제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연봉으로 48,000,000원을 받던 A사원이 2016년 11월 18일에 퇴사를 하였다. 다음 급여계산기준 및 근태기준설정 화면을 참고하였을 때 A사원이 받을 11월 기본급은 얼마인가?
1.
1,800,000원
2.
2,000,000원
3.
2,400,000원
4.
4,000,000원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1.
A사는 2016년 12월부터 생산직에게만 지급되던 연장근로수당을 사무직에게도 지급하기로 하였다. 급여담당자가 급여계산 전에 조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급/상여지급일자등록]에서 지급일자 수정
2.
[인사정보등록]에서 생산직을 사무직으로 직종변경
3.
[지급공제항목등록]에서 사무직에 대한 계산식 설정
4.
[인사/급여환경설정]에서 사무직에 대한 계산식 설정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다음은 핵심ERP의 [급/상여지급일자등록] 화면이다. '퇴사자상여계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월: 상여지급대상기간동안 퇴사한 사원에 대해서는 재적월수를 상여대상기간으로 나누어 근무한 월수만큼만 지급한다.
2.
일: 상여지급대상기간동안 퇴사한 사원에 대해서는 재적일수를 상여대상기간으로 나누어 근무한 일수만큼만 지급한다.
3.
제외: 상여지급대상기간동안 퇴사한 사원에 대해서는 상여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4.
월일: 상여지급대상기간 동안 퇴사한 사원에 대하여 기준일수 이상으로 근무한 사원은 월 계산방식으로, 기준일수 미만으로 근무한 사원은 일 계산방식으로 상여금을 지급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3.
당 회사는 2016년 11월 25일 인사발령을 실시하고자 한다. '호봉승급' 발령구분 대상자로 등록된 사원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누구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김용수
2.
엄현애
3.
오진형
4.
홍길동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4.
당 회사의 인사 담당자가 새로 부임하였다. 기존 인사/급여 기준설정을 확인하고, 환경설정 내역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단, 환경설정 값은 변경하지 않음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사업장 별로 원천세 신고서를 생성하고 있다.
2.
그룹입사일 기준으로 사원의 근속기간을 적용한다.
3.
실제 당월일 기준으로 한 달 월일수를 산정하여 적용한다.
4.
직종 구분 없이 출결마감기준은 모두 당월 1 일로 동일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당 회사는 입사자에 대해 수습을 적용하고 있다. 2016 년 11 월 07 일 입사자 '이민영' 사원의 인사정보에 대해 수습직 적용 후, 2016 년 11 월 귀속 급여계산 시 '차인지급액' 과 '회사부담금'은 각각 얼마인가? 단, 그 외 급여계산에 필요한 조건은 프로그램 등록된 기준을 따른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차인지급액 1,270,240 원 / 회사부담금 8,340 원
2.
차인지급액 1,283,330 원 / 회사부담금 13,090 원
3.
차인지급액 1,804,120 원 / 회사부담금 11,910 원
4.
차인지급액 1,833,330 원 / 회사부담금 29,210 원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6.
인사 담당자는 2016년 12월 귀속 급여 작업을 위해 급/상여지급일자를 등록하였다. 2016년 12월 귀속 등록 기준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급여> 와 <상여>의 지급일자를 구분하여 지급한다.
2.
회사본사 사무직 직종에 대해서만 <상여>를 지급한다.
3.
<급여> 지급일은 2017년 1월 10일이며, <상여>지급일 보다 빠르다.
4.
<상여> 지급 대상자는 '지급직종및급여형태'에 해당하는 사원들 중 사용자가 직접 선정하여 등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당 회사는 2016년도 하반기(2016.07.01 ~ 2016.12.31.) 사업장 별 '이직률'을 확인하고자 한다. 해당 기간 동안 당 회사의 모든 사업장 통합 평균이직률은 얼마인가? 단, 모든 정보는 프로그램의 계산 기준을 따른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0.00
2.
0.17
3.
0.49
4.
0.98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아래 [보기] 기준으로 2016년 11월 귀속 일용직 대상자의 급여 일괄계산 시 대상자의 총 과세액 과 총 비과세신고제외액은 각각 얼마인가? 단, 그 외 급여계산에 필요한 조건은 프로그램 등록된 기준을 따른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과세 : 510,720원 / 비과세신고분 : 98,000원
2.
과세 : 2,610,720원 / 비과세신고분 : 196,000원
3.
과세 : 2,872,320원 / 비과세신고분 : 154,000원
4.
과세 : 7,937,600원 / 비과세신고분 : 462,000원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9.
아래 [보기]를 기준으로 당 회사 모든 사업장의 통합 급/상여 지급변동현황을 확인하고자 한다. 변동 상태에 대해 알맞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단, 모든 기준은 조회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국민연금' 및 '고용보험'은 변동이 없이 동일하다.
2.
'사업자부담금'은 165,380원 만큼 비교연월보다 감소하였다.
3.
공제액을 제외 한 '실제지급액'은 비교연월보다 감소하였다.
4.
총 지급대상 인원은 변동이 없으나, 비교연월보다 과세금액은 감소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귀속연월 2016년 11월의 근태내역과 책정임금을 바탕으로 아래 [보기]의 '연장근로수당'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 시, '이종현' 사원의 연장근로수당은 얼마인가? 단, 원단위 금액은 절사 표기한다. (본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서 [실기메뉴]의 메뉴를 활용하여 문제에 답하시오.)
1.
165,000원
2.
215,550원
3.
278,430원
4.
330,000원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①
③
②
④
②
②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①
③
④
①
②
③
②
①
④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1월2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ERP, 인사, 2급, 실무, 기,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