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화면은 핵심ERP의 사원등록 화면이다. 다음의 설명 중 회계입력방식과 조회권한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김회계 사원은 전표입력 시 승인상태는 승인으로 발행되며, 각 사업장별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2.
이영업 사원은 전표입력 시 전표의 승인상태는 미결로 발행되며, 다른 부서에서 입력한 정보도 조회할 수 있다.
3.
최부장 사원은 전표입력 시 전표의 승인상태는 미결로 발행되며, 타 부서에서 입력한 정보는 조회할 수 없다.
4.
박관리 사원은 승인된 전표도 수정할 수 있으며, 회사 전체의 조회권한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조회권한 회사 : 회사의 모든 데이터를 입력 및 조회할 수 있다 사업장 : 로그인한 사원이 속해있는 사업장의 하위정보에 대해서만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하다 부서 : 로그인한 사원이 속해있는 부서의 하위정보에 대해서만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하다 사원 : 로그인한 사원 본인에 대한 정보만 입력 및 조회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이제는 이젠이다]
2.
다음은 핵심ERP의 시스템관리 메뉴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거래처등록 : 신규거래처에 대하여 일반거래처와 금융거래처로 구분하여 등록한다.
2.
회계초기이월등록 : 전기분 재무제표와 거래처별 채권 및 채무에 대한 상세내역을 등록한다.
3.
관리내역등록 : 회사의 특성에 맞도록 관리항목을 등록한 후 전표입력 시 선택할 수 있으며, 관리항목원장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다.
4.
마감 및 년도이월 : 장부를 마감하고, 마감자료를 차기로 이월하는 메뉴이다. 이월 이후에도 마감일 이전의 전표는 수정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표 마감 작업을 하시면 마감기수의 전표는 입력 수정이 통제 됩니다. [해설작성자 : ㅇㄷㅇ]
3.
다음 화면은 회사가 1년 만기 정기예금을 가입한 후 회계처리를 수행한 결과이다. 본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를 만기에 수령하기로 약정한 경우, 당해 기말결산분개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무엇인가? (단, 이자율은 2.5%, 월할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