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2. 질량이 동일할 때 열용량이 크면 비열이 크다. 3. 공기의 비열(0.24)이 물(1)보다 작다. 4. 기체의 비열비는 그 종류에 따라 1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존슨]
2과목 : 임의 구분
21.
보일러 부속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압증기 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재과열하는 것을 과열기라 한다.
2.
배기가스의 열로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것을 공기 예열기라 한다.
3.
배기가스의 여열을 이용하여 급수를 예열하는 장치를 절탄기라 한다.
4.
오일 프리히터는 기름을 예열하여 점도를 낮추고, 연소를 원활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고압증기터빈에서 팽창되어 압력이 저하된 증기를 재과열하는것을 재열기라 한다 [해설작성자 : 마킹사]
22.
KS에서 규정하는 보일러의 열정산은 원칙적으로 정격 부하 이상에서 정상 상태(steady state)로 적어도 몇 시간 이상의 운전결과에 따라야 하는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5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79%
23.
전기식 증기압력조절기에서 증기가 벨로즈 내에 직접 침입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신축 이음쇠
2.
균압 관
3.
사이폰 관
4.
안전 밸브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압력계및 벨로즈 등 장치내로 증기가 직접 침입할 경우 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이폰관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Hey준]
24.
외분식 보일러의 특징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소실 개조가 용이하다
2.
노내 온도가 높다
3.
연료의 선택 범위가 넓다
4.
복사열의 흡수가 많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외분식 보일러는 복사열의 흡수가 적다. [해설작성자 : 김용웅]
25.
열사용기자재의 검사 및 검사의 면제에 관한 기준에 따 라 온수 발생 보일러(액상식 열매체 보일러 포함)에서 사용하는 방출밸브와 방출관의 설치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화성 액체를 방출하는 열매체 보일러의 경우 방출밸브 또는 방출관은 밀폐식 구조로 하든가 보일러 밖의 안전한 장소에 방출시킬 수 있는 구조 이어야 한다.
2.
온수발생보일러에는 압력이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에 달하면 즉시 작동하는 방출밸브 또는 안전밸브를 2개 이상 갖추어야 한다.
3.
393K의 온도를 초과하는 온수발생보일러에는 안전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며, 그 크기는 호칭지름 10㎜ 이상이어야 한다.
4.
액상식 열매체 보일러 및 온도 393K 이하의 온수발생 보일러에는 방출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며, 그 지름은 10㎜ 이상으로 하고, 보일러의 압력이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에 그 5%(그 값이 0.035Mpa 미만인 경우에 는 0.035Mpa로 한다.)를 더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지름과 개수를 정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온수 발생 보일러에는 압력이 보일러의 최고사용압력에 달하면 즉시 작동하는 방출 밸브 또는 안전밸브를 1개 이상 갖추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김용웅]
2. 2개가 아니라 1개이며 3. 그 지름은 20mm 이상이어야하며 4. 10mm > 20mm / 5 % ->10%
26.
보일러와 관련한 기초 열역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대압력 : 완전 진공상태를 0으로 기준하여 측정한 압력
2.
비체적 : 단위 체적당 질량으로 단위는 kg/m3 임
3.
현열 : 물질 상태의 변화 없이 온도가 변화하는데 필요한 열량
4.
잠열 : 온도의 변화 없이 물질 상태가 변화하는데 필요한 열량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네이버 비체적 공조냉동건축설비 용어사전 어떤 물체의 단위질량당 체적으로, 가스 밀도의 역수이다. 단위는 [m3/kg], [l/kg]이다.
27.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안전밸브 구조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정압력이 3Mpa를 초과하는 증기 또는 온도가 508K를 초과하는 유체에 사용하는 안전밸브에는 스프링이 분출하는 유체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안전밸브는 그 일부가 파손하여도 충분한 분출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안전밸브는 쉽게 조정이 가능하도록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하고 봉인하지 않도록 한다.
4.
안전밸브의 부착부는 배기에 의한 반동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가 있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밸브는 조정이 끝나면 검사자가 반드시 봉인을 한다. [해설작성자 : chassang]
28.
함진 배기가스를 액방울이나 액막에 충돌시켜 분진 입자를 포집 분리하는 집진장치는?
1.
중력식 집진장치
2.
관성력식 집진창지
3.
원심력식 집진장치
4.
세정식 집진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76%
29.
보일러 가동 중 실화(失火)가 되거나, 압력이 규정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연료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는?
1.
광전관
2.
화염검출기
3.
전자밸브
4.
체크밸브
정답 : [
3
] 정답률 : 72%
30.
보일러 내처리로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에서 pH, 알칼리 조정 작용을 하는 내처리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산화나트륨
2.
히드라진
3.
인산
4.
암모니아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내처리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인산 입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