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pple이 구분한 하천의 자정작용 단계 중 용존 산소의 농도가 아주 낮거나 때로는 거의 없어 부패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지대는?
1.
정수 지대
2.
회복 지대
3.
분해 지대
4.
활발한 분해 지대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하천의 수질은 하류로 유하하면서 일련의 변화과정을 거친다. 희석이 잘 되는 대하천보다는 소하천에서 뚜렷이 나타난다.
1. 분해지대 이 지점에서 여름철 DO포화도는 45%까지 내려간다. 오염에 약한 고등동물 대신 오염에 강한 미생물로 대체된다 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세균수가 증가하고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는 슬러지의 침전이 많아지며, DO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한다. - 분해가 심해지면 녹색 수중식물이나 고등생물 대신 균류(fungi).박테리아가 심하게 번식하고 오염에 강한 실지렁이가 나타난다.
2. 활발한 분해지대 -물이 회색 내지 흑색을 띠며, H2S, CH4 등에 의한 기포발생, 썩은 달걀냄새가 나며 흑색 또는 점성질의 슬러지가 하상에 침전된다. - 혐기성 분해가 진행되어 CO2, NH3-N, CH4, H2S의 농도가 증가한다. -혐기성 미생물이 성장하게 되며 균류(Fungi)도 감소하다 완전히 사라진다. - 세균로가 급증하고, 자유유영성 섬모충류가 번성한다.
3. 회복지대 -분해지대와는 반대현상이 나타나며 보통 장거리에 걸쳐서 일어난다. - 물이 차츰 깨끗해지고 기포발생이 중단된다. - DO가 증가하고, NO2-N. NO3-N의 농도가 증가한다. -혐기성 미생물이 호기성 미생물로 대체되며 Fungi도 조금씩 발생한다. - 세균류가 감소하고 자유유영성 섬모충류 -> 흡관충류 -> 고착성 섬모충류로 우점종이 서서히 변화한다. - 조류가 번식하며 원생동물, 윤충, 갑각류가 번식하기 시작하고 큰 수중식물도 다시 나타난다. - 바닥에서는 조개나 벌레의 유충이 번식하며 오염에 견디는 힘이 강한 생무지, 황어 은빛 담수어 등의 물고기도 서식한다.
4. 정수지대 - 깨끗한 자연수처럼 보이며 DO가 풍부하여 많은 종류의 생물이 크게 번식하고 호기성 미생물이 다시 나타난다. - 착색조류, 윤충류, 무척추동물, 정수성 어류(송어 등)가 서서히 나타난다. - 위의 과정을 거치는 동안 대장균과 병균은 대부분 사멸되나 일부는 계속 남아있기 때문에 깨끗한 하천이라도 한번 오염된 물은 적절한 수처리과정을 거쳐야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Cr2O72-이온에서 크롬(Cr)의 산화수는?
1.
-5
2.
-6
3.
+5
4.
+6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O(산소)는 기본적으로 산화수 -2를 갖고있음 Cr2O7 2- = 분자전체 총 산화수는 2-, 산소는 7개로 산소 총 산화수는 -14 +12가 부족, Cr이 2개 있으므로 각각 +6 [해설작성자 : 트리님]
23.
침전지 또는 농축조에 설치된 스크레이퍼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침전물을 부상시키기 위해서
2.
스컴(scum)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슬러지(sludge)를 혼합하기 위해서
4.
슬러지(sludge)를 끌어 모으기 위해서
정답 : [
4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물질 순환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1.
망간
2.
탄소
3.
수소
4.
산소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탄소,수소,산소는 흙과 ,물,공기를 통해 순환하여 순환속도가 빠르다. 금속 원소 망간은 주로 흙과 물속에서 느리게 순환한다. [해설작성자 : 기미정]
25.
A 공장의 BOD 배출량은 400인의 인구당량에 해당 한다. A 공장의 폐수량이 200m3/day 일 때 이 공장 폐수의 BOD(mg/L) 값은? (단, 1인이 하루에 배출하는 BOD는 50g 이다.)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하루에 1인당 50g이므로 하루에 400인은 20000g 하루 폐수는 200m3
하루 BOD = 20000g/200m3 = 100g/m3 = 100mg/L
[해설작성자 : 트리님]
26.
다음 중 6가크롬(Cr+6) 함유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아말감법
2.
환원침전법
3.
오존산화법
4.
충격법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6가 크롬은 3가 크롬으로 환원해서 처리합니다 [해설작성자 : Fugo]
27.
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 부상이 침전보다 좋은 점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침전속도가 느린 작거나 가벼운 입자를 짧은 시간내에 분리시킬 수 있다.
2.
침전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유해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3.
침전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색도 및 경도 유발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4.
침전속도가 빠르고 큰 입자를 짧은 시간 내에 분리 시킬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28.
다음 폐수처리공법 중 고액분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상분리법
2.
전기투석법
3.
스크리닝
4.
원심분리법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기 투석법은 전기장을 구동력으로 하여 이온성 물질을 분리하는 막분리 공정이다. [해설작성자 : 기미정]
29.
명반(alum)을 폐수에 첨가하여 응집처리를 할 때, 투입조에 약품 주입 후 응집조에서 완속교반을 행하 는 주된 목적은?
1.
명반이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해
2.
floc과 공기와의 접촉을 원활히 하기 위해
3.
형성되는 floc을 가능한 한 뭉쳐 밀도를 키우기 위해
4.
생성된 floc을 가능한 한 미립자로 하여 수량을 증가 시키기 위해
정답 : [
3
] 정답률 : 59%
30.
액체염소의 주입으로 생성된 유리염소, 결합잔류염소의 살균력의 크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HOCl > Chloramines > OCl-
2.
OCI- > HOCl> Chloramines
3.
HOCl > OCl- > Chloramines
4.
OCI- > Chloramines > HOCI
정답 : [
3
] 정답률 : 76%
31.
A 침전지가 6,000m3/day의 하수를 처리한다. 유입수 의 SS농도가 150mg/L, 유출수의 SS농도가 90mg/L 이라면 이 침전지의 SS제거율(%)은?
함수율 98%(중량)의 슬러지를 농축하여 함수율 94%(중량)인 농축 슬러지를 얻었다. 이 때 슬러지의 용적 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단, 슬러지의 비중은 1.0으로 가정한다.)
1.
원래의 1/2
2.
원래의 1/3
3.
원래의 1/6
4.
원래의 1/9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체 100으로 생각하면 함수율 98% → 물 98, 슬러지 2 물 무게를 X라고 두면 (98-X)/(100-X)*100=94 X=66.67, 남은 물의 양:98-66.67=31.33 함수율 94%일 때 전체 슬러지 양=31.33+2=33.33 초기는 100, 나중은 33.33 이므로 슬러지는 1/3로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발열량이 800kcal/kg 인 폐기물을 하루에 6톤씩 소각 한다. 소각로 연소실의 용적이 125m3이고, 1일 운전 시간이 8시간이면 연소실의 열 발생률은?
1.
3,600 kcal/m3·hr
2.
4,000 kcal/m3·hr
3.
4,400 kcal/m3·hr
4.
4,800 kcal/m3·hr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800kcal/kg) X (1000kg/ton) X (6ton/1day) X (1day/8hr) X (1/125m3) (*1ton=1000kg, 1day=8hr) = (800kcal) X (1000) X (1/8hr) X (1/125m3) <---단위 상쇄 = 4,800kcal/hr`m3
[추가 해설] (800) X (1000) X (6) X (1/8) X (1/125) 입니다. [해설작성자 : Ne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