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탱크 : W = 0.9 x d[상용온도에서의 액화가스 비중(kg/L) x V2[내용적(L)] [해설작성자 : 가스기능사 실기 3수째]
4.
배관의 설치방법으로 산소 또는 천연메탄을 수송하기 위한 배관과 이에 접속하는 압축기와의 사이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방파판
2.
솔레노이드
3.
수취기
4.
안전밸브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산소 또는 천연메탄을 수송하기 위한 배관과 이에 접속하는 압축기와의 사이에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것 : 수취기 [해설작성자 : 양산대장]
수취기=배관의 노후 또는 불량에 의한 수분의 침투, 가스포화수분등 배관내에 있는 수분을 수집하여 제거하는 장치
5.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와 비록 위험하지는 않더라도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안전성 평가기법은?
1.
안전성 검토(Safety Review)기법
2.
예비위험성 평가(Preliminary Hazard Analysis)기법
3.
사고예상 질문(What If Analysis)기법
4.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위험과 운전분석(HAZOP ; Hazard & Operability studies) : 공정의 위험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분석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양산대장]
6.
다음 특정설비 재검사 대상인 것은?
1.
역화방지장치
2.
차량에 고정된 탱크
3.
독성가스 배관용 밸브
4.
자동차용가스 자동주입기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특정설비 재검사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2에 따라 신규검사후 해당 경과연수에 따라 재검사 대상 차량에 고정된 탱크, 저장탱크, 안전밸브 및 긴급차단장치, 기화장치, 압력용기 [해설작성자 : 해보자 ]
7.
독성가스외의 고압가스 충전 용기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부착하는 경계표지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적색글씨로 “위험 고압가스”라고 표시
2.
황색글씨로 “위험 고압가스”라고 표시
3.
적색글씨로 “주의 고압가스”라고 표시
4.
황색글씨로 “주의 고압가스”라고 표시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고압가스 운반등의 기준(제50조 관련) [별표30]
나. 독성가스 외 용기 운반 등 기준에 의하면, 독성가스 외의 고압가스충전용기를 운반하는 차량에는 그 차량에 적재된 가스로 인한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차량 앞 뒤의 보기 쉬운 곳에 붉은 글씨로 "위험고압가스"라는 경계표지 및 상호와 전화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친절한용자씨]
8.
LP 가스설비를 수리할 때 내부의 LP가스를 질소 또는 물로 치환하고, 치환에 사용된 가스나 액체를 공기로 재치환하여야 하는데, 이 때 공기에 의한 재치환 결과가 산소농도 측정기로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얼마의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공기로 재치환하여야 하는가?
1.
4~6%
2.
7~11%
3.
12~16%
4.
18~22%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공기중의 산소 농도가 21%이기 때문에 [해설작성자 : 킹규열]
9.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 중 도로 밑에 매설하는 배관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가지의 도로 밑에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호판을 배관의 정상부로부터 30㎝ 이상 떨어진 그 배관의 직상부에 설치한다.
2.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도로의 경계와 수평거리로 1m 이상을 유지한다.
3.
배관은 원칙적으로 자동차 등의 하중의 영향이 적은 곳에 매설한다.
4.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과 60㎝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고압가스 특정 제조의 시설 기준 중 배관의 도로 밑 매설 기준 1)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도로의 경계까지 1m 이상의 수평 거리를 유지한다. 2)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도로 밑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3) 시가지의 도로 노면 밑에 매설하는 배관의 노면과의 거리는 1.5m 이상으로 한다. 4) 포장되어 있는 차도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그 포장 부분의 노반 밑에 매설하고 배관의 외면과 노반의 최하부와의 거리는 0.5 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반화넬]
10.
공기보다 비중이 가벼운 도시가스의 공급시설로서 공급시설이 지하에 설치된 경우의 통풍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통풍구조는 환기구를 2방향 이상 분산하여 설치한다.
2.
배기구는 천장면으로부터 30㎝ 이내에 설치한다.
3.
흡입구 및 배기구의 관경은 500㎜ 이상으로 하되, 통풍이 양호하도록 한다.
4.
배기가스 방출구는 지면에서 3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되, 화기가 없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흡입구 및 배기구의 관경은 100mm 이상으로 하되 통풍이 양호 하도록 해야한다
11.
다음 중 폭발한계의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은?
1.
프로판
2.
암모니아
3.
수소
4.
아세틸렌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폭발 범위 프로판(c3H8) ; 2.1%~9.5% 암모니아(NH3) : 15%~ 28% 수소 (H2) : 4%~75% 아세틸렌 (C2H2) :2.5%~81% [해설작성자 : 마킹사]
12.
도시가스 사용시설에서 정한 액화가스란 상용의 온도 또는 섭씨 35도의 온도에서 압력이 얼마 이상이 되는 것을 말하는가?
1.
0.1MPa
2.
0.2MPa
3.
0.5MPa
4.
1MPa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도시가스 사용시설에서 정한 액화가스란 압력이 0.2MPa이 되는 경우의 온도가 35도 이하인 가스이다. [해설작성자 : 차캔두]
13.
염소가스 저장탱크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가스 충전량이 저장탱크의 내용적의 몇 %를 초과할 때 가스충전이 되지 않도록 동작하는가?
1.
60%
2.
80%
3.
90%
4.
95%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충전량이 내용적의 90%를 초과하면 동작함 [해설작성자 : 김광희]
14.
도시가스사고의 사고 유형이 아닌 것은?
1.
시설부식
2.
시설 부적합
3.
보호포 설치
4.
연결부 이완
정답 : [
3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보호포는 방지유형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잇힝]
15.
가연성가스 저온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져 저장탱크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서 갖추어야 할 설비가 아닌 것은?
일반 도시가스 배관 중 중압 이하의 배관과 고압배관을 매설하는 경우 서로간의 거리를 몇 m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배관의 거리는 2m [해설작성자 : dlfkd]
17.
초저온 용기의 단열 성능시험용 저온액화가스가 아닌 것은?
1.
액화아르곤
2.
액화산소
3.
액화공기
4.
액화질소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한가지 성분의 가스로 해야 정확한 열량 변화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hs100]
18.
고압가스 판매소의 시설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전용기의 보관실은 불연재료를 사용한다.
2.
가연성가스·산소 및 독성가스의 저장실은 각각 구분하여 설치한다.
3.
용기보관실 및 사무실은 부지를 구분하여 설치한다.
4.
산소, 독성가스 또는 가연성가스를 보관하는 용기보관실의 면적은 각 고압가스별로 10m2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9 고압가스 판매 및 고압가스 수입업의 시설 기술 검사기준 1.용기에 의한 고압가스 판매 가.시설기준 2)저장설비기준 나)용기보관실 및 사무실은 한 부지 안에 구분하여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수험생]
국가법령정보센터 별표9 고압가스판매소 및 고압가스수입업소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제8조제1항제6호 및 제8조제2항관련)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치 - 한글파일 (구글 검색 - 검색어 : 용기보관실 및 사무실) 1. 시설 기준 > 가. 용기보관실 > (3) 구조 > (나) 용기보관실 및 사무실은 동일 부지안에 설치하되 여기서 '동일' 부지 부분이 핵심으로 관주 되며 이 부분이 누락된 3번은 문제에 맞는 정답입니다.
또한
국가법령정보센터 별표6 액화석유가스 판매와 액화석유가스 충전사업자의 영업소에 설치하는 용기저장소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제12조제1항제3호. 같은 조 제2항, 제13조제1항제2호, 제51조제4항제3호,제52조제2항제3호 및 제53조제3항제3호 관련)(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치) (구글 검색 > 검색어: 용기보관실 및 사무실은 부지를 ) 용기보관실과 사무실은 동일한 부지에 구분하여 설치할 것
위에 별표는 다르지만 기본 저장설비 기준에서 용기보관실과 사무실은 동일한 부지에 구분하려 설치할 것 명기 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능사준비하는데혼동주지마세요]
19.
운전 중인 액화석유가스 충전설비의 작동상황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점검주기는? (단, 철망 등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1.
1일에 1회 이상
2.
1주일에 1회 이상
3.
3월에 1회 이상
4.
6월에 1회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충전설비, 제조설비, 소비설비 등 '~설비'의 점검 = 1일 1회 [해설작성자 : 트리님]
20.
재검사 용기 및 특정설비의 파기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잔가스를 전부 제거한 후 절단한다.
2.
절단 등의 방법으로 파기하여 원형으로 가공할 수 없도록 한다.
3.
파기 시에는 검사장소에서 검사원 입회하에 사용자가 실시할 수 있다.
4.
파기 물품은 검사 신청인이 인수시한 내에 인수하지 아니한 때도 검사인이 임의로 매각처분하면 안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파기 물품은 검사 신청인이 인수시한 내에 인수하지 않으면 검사인이 임의로 매각처분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21.
도시가스배관이 굴착으로 20m이상이 노출되어 누출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일 때 가스누출경보기는 몇 m 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1.
5
2.
10
3.
20
4.
30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노출된 가스배관길이가 20m이상인 경우에는 기준에 따라 가스누출경보기 등을 설치해야 하며, 가스누출경보기의 경우 매 20m마다 경보기를 설치하고 현장관계자가 상주하는 장소에 경보음이 전달되도록 설치한다(가정용은 제외한다) [해설작성자 : 친절한용자씨]
내용적 47L인 LP가스 용기의 최대 충전량은 몇 kg인가? (단, LP가스 정수는 2.35 이다.)
1.
20
2.
42
3.
50
4.
220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용기의 저장능력 G= V/C 47/2.35= 20 [해설작성자 : 마킹사]
38.
부식성 유체나 고점도 유체 및 소량의 유체 측정에 가장 적합한 유량계는?
1.
차압식 유량계
2.
면적식 유량계
3.
용적식 유량계
4.
유속식 유량계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차압식 유량계 :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교축(조리개)부 전후의 압력차에서 유속을 구하여 유량을 측정 -종류 : 오리피스미터, 벤튜리미터, 플로노즐 -압력손실의 크기 : 오리피스 > 플로우노즐 > 벤츄리미터 2. 면적식 유량계 : 교축면적의 변화에 의해 유량을 측정 -종류 : 로터미터, 피스톤식 3-1. 유속식 유량계(피토우관) : 전압과 정압의 차를 이용하여 한 점에서 동압 즉 유속을 측정하여 유량을 산정 3-2. 유속식 유량계(임펠러식) : 유속변화를 측정하여 유량을 측정 4. 용적식 유량계 : 유체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유출되는 양을 회전자의 회전수로 유량을 측정 -종류 : 루츠형, 오우벌형, 로타리형, 회전원판형, 왕복피스톤형 [해설작성자 : 차캔두]
39.
LP가스 이송설비 중 압축기에 의한 이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베이퍼록 현상이 없다.
2.
잔가스 회수가 용이하다.
3.
펌프에 비해 이송시간이 짧다.
4.
저온에서 부탄가스가 재액화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압축기에 의해 가스가 압축되므로 재액화의 우려가 있다 [해설작성자 : 트리님]
40.
공기, 질소, 산소 및 헬륨 등과 같이 임계온도가 낮은 기체를 액화하는 액화사이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구데 공기액화사이클
2.
린데 공기액화사이클
3.
필립스 공기액화사이클
4.
캐스케이드 공기액화사이클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린데식:고압액화시이클로서, 압축된 공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1차 냉각 후 팽창하며 일부를 열교환기로 되돌려 중간냉각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다시 2차 팽창하여 액화공기를 얻는다. 클라우드식:열교환기에 직접 피스톤ㅅㄱ 팽창기를 사용하여 중간냉각효과를 크게하며, 린데식보다 효율적이다. 필립스식:실린더 중에 피스톤과 보조피스톤이 있고 양 피스톤의 작용으로 상부에 팽창기, 하부에 압축기가 구성 [해설작성자 : 가스따자]
41.
다기능 가스안전계량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테스트차단 기능이 있는 것으로 한다.
2.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빗물, 먼지 등이 침입할 수 없는 구조로 한다.
3.
차단밸브가 작동한 후에는 복원조작을 하지 아니하는 한 열리지 않는 구조로 한다.
4.
복원을 위한 버튼이나 레버 등은 조작을 쉽게 실시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없는 테스트 차단기능(제어부로 부터의 신호를 받아 차단하는것을 말합니다) 이 있는것으로 한다.
[추가 해설] 계량기는 원칙적으로 사용자가 조작불가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사람]
42.
계측기기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설비비 및 유지비가 적게 들 것
2.
원거리 지시 및 기록이 가능할 것
3.
구조가 간단하고 정도가 낮을 것
4.
설치장소 및 주위조건에 대한 내구성이 클 것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계측기기는 정도가 높은것이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마킹사]
43.
압축기에서 두압이란?
1.
흡입 압력이다.
2.
증발기 내의 압력이다.
3.
피스톤 상부의 압력이다.
4.
크랭크 케이스 내의 압력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두압-> 두를 머리두로 생각하시고 머리는 상부이니 피스톤 상부의 압력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 6기 ]
44.
반밀폐식 보일러의 급·배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기통의 끝은 옥외로 뽑아낸다.
2.
배기통의 굴곡수는 5개 이하로 한다.
3.
배기통의 가로 길이는 5m 이하로서 될 수 있는 한 짧게 한다.
4.
배기통의 입상높이는 원칙적으로 10m 이하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배기통 의 굴곡수는 4개 이하로 한다 [해설작성자 : 마킹사]
45.
흡입압력이 대기압과 같으며 최종압력이 15kgf/cm2·g인 4단 공기압축기의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 (단, 대기압은 1kgf/cm2 로 한다.)
1.
2
2.
4
3.
8
4.
16
정답 : [
1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a= 4√16/1 = 2 [해설작성자 : 김제폴리텍]
(토출압력/흡입압력)에 4분에1승 은 맞는데 토출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주어졌으므로 토출압력을 절대압력으로 구하면 게이지압+대기압으로 15+1=16 이 됩니다. (16/1)^(1/4)=2 입니다. [해설작성자 : ..]
46.
순수한 것은 안정하나 소량의 수분이나 알칼리성 물질을 함유하면 중합이 촉진되고 독성이 매우 강한 가스는?
<문제 해설> 1. 융해열: 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 2. 응축열: 기체가 액체로 변할 때 제거해야 할 열 3. 승화열: 고체가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 또는 기체가 고체로 변할 때 제거해야 할 열 4. 기화열: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 5. 응고열: 액체가 고체로 변할 때 제거해야 할 열 [해설작성자 : 발표까지 D-2]
56.
부탄 1Nm3을 완전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약 몇 Nm3 인가? (단,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21v%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