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국 안테나 출력이 W[W]이고 이로부터 진공 중에 r[m] 떨어진 점에서 자계의 세기의 실효치 H 는 몇 [A/m]인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포인팅 벡터 P=w/s=377H^2 s= 전파임으로 구와 같음 4파이r^2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사람]
포인팅 벡터 P = W/S = EH = root(µ/ε)H^2 진공 중에서 root(µ/ε) = 377 이므로 P = W/S = EH = 377H^2 따라서 H = root(W/377S) 여기서 S = 4πr^2 (구의 겉넓이) H = root(W/377π)/2r [해설작성자 : 홀홀홀]
6.
평행판 콘덴서의 극판 사이에 유전율이 각각 ε1, ε2 인 두 유전체를 반씩 채우고 극판 사이에 일정한 전압을 걸어 줄때 매질 (1), (2) 내의 전계의 세기 E1, E2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로 옳은 것은?
x < 0 영역에는 자유공간, x > 0 영역에는 비유전율 εs=2인 유전체가 있다. 자유공간에서 전계 E=10ax가 경계면에 수직으로 입사한 경우 유전체 내의 전속밀도는?
1.
5ε0ax
2.
10ε0ax
3.
15ε0ax
4.
20ε0ax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전속밀도의 법선벡터 ( = 수직으로 입사 했을 때) 는 매질에 관계없이 동일함 [해설작성자 : 펭귄]
13.
평면도체 표면에서 d[m] 거리에 점전하 Q[C] 이 있을때 이 전하를 무한원점까지 운반하는데 필요한 일[J]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점전하와 영상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F = Q1×Q2/(4πεr2) = Q×(-Q)/(4πε(2d)2) = - Q2/(16πεd2) 전하를 운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W = F×d = - Q2/(16πεd2)×d = - Q2/(16πεd) [해설작성자 : 또다시]
제가 이해가 안돼서 찾아보다가 알게 된건데 혹시나 도움이 될 것 같아 남깁니다.
윗분의 두번째 식 W = F×d = - Q2/(16πεd2)×d
여기에서 저는 첨에 F×d를 할 때 r에 2d를 대입 했듯이 2d를 대입해서 틀렸고 왜 정답은 그냥 d를 대입해야할까? 에 대해 찾아봤는데, W = F * d 라 외웠기 때문에 틀렸었습니다.
정확하게는 W = ∫F * dr 입니다. 그래서 무한대부터 2d까지 넣고 적분하면 정확한 값이 나오게 됩니다. 보통은 W = F * d 로 외우셔도 문제 없겠지만, 정확한 식도 알고 있으면 도움 될 것 같아요 그럼 저처럼 틀리시는 분 없을 꺼라 생각합니다.. [해설작성자 :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4.
대지면에 높이 h 로 평행하게 가설된 매우 긴 선전하가 지면으로부터 받는 힘은?
1.
h2에 비례한다.
2.
h2에 반비례한다.
3.
h에 비례한다.
4.
h에 반비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E = λ / 4*pi*ε*h F = λH = λ^2 / 4*pi*ε*h h에 반비례
15.
그림과 같이 균일하게 도선을 감은 권수 N , 단면적 S[m2], 평균길이 l(엘)[m]인 공심의 환상솔레노이드 I [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자기인덕턴스 L[H]의 값은?
<문제 해설> 부하가 증가할 시 -> 슬립이 증가함 -> 2차 유도기전력이 증가한다. 즉 1차 부하전류는 감소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ㄿㄷ]
전동기에 부하를 늘리는 것은 무거운걸 달았다는 겁니다 회전하는데에 무거운걸 달았으니 속도는 느려집니다. 부하가 증가했으니 회전자가 회전자계를 따라가지 못해서 동기속도에 한참 못미치게 됩니다. 즉, 슬립이 증가합니다. (슬립과 속도, 효율은 반대로 작용합니다.) 부하가 증가하면 R 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L이 작아지게 됩니다. 즉 역률을 보상하고 부하전류가 증가합니다. 당연히 슬립이 증가했으니 2차 유도기전력 sE2 가 증가하지요 [해설작성자 : 허언증]
45.
스텝 모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속과 감속이 용이하다.
2.
정역전 및 변속이 용이하다.
3.
위치제어시 각도 오차가 작다.
4.
브러시 등 부품수가 많아 유지보수 필요성이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유지보수 필요성 크지않다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스테핑 모터는 모든게 긍정적!!
46.
단권변압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차권선과 2차권선의 일부가 공통으로 사용된다.
2.
분로권선과 직렬권선으로 구분된다.
3.
누설자속이 없기 때문에 전압변동률이 작다.
4.
3상에는 사용할 수 없고 단상으로만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단권변압기 특징 1차권선과 2차권선을 하나의 권선으로 공유하는 변압기 누설리액턴스가 줄고, 권선을 절약할 수 있다. 배전선로의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보상용 승압기 (배전시엔 채강 사용해서 전압강압) 단상과 3상 모두 사용 -> 4번 [해설작성자 : 럽포ㄱ도]
47.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동시 2차 회로의 저항을 크게 하면 기동시에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2.
기동시 2차회로의 저항을 크게 하면 기동시에 기동 전류를 억제 할 수 있다.
3.
2차 권선 저항을 크게 하면 속도 상승에 따라 외부저항이 증가한다.
4.
2차 권선 저항을 크게 하면 운전 상태의 특성이 나빠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권선형 유도 전동기 - 2차 저항 증가 → 기동 전류 감소 → 기동 토크 증가 → 2차 역률 증가 - 최대 토크 일정
[추가 해설]
2차권선 저항 증대시 외부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맞지만 속도저하로 인해 외부저항이 증가 [해설작성자 : 럽포ㄱ도]
48.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를 여러개 직렬로 연결하면?
1.
고조파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2.
출력 전압의 맥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입력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부하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 증가 전류 감소 [해설작성자 : 피르]
다이오드 직렬로 추가시 전압강하가 개당 0.7v씩 일어나 전보다 입력전압을 키울 수 있습니다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하는 경우 과전압보호가 가능하다는 문제와 연관지어 보면 좋습니당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단락 곡선과 무부하 곡선을 비교하면 에너지 차이는 단락곡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무부하 곡선은 부하가 없는 상태로 비교했을 경우 차이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프 상에서 가운데의 그래프가 내려 앉았는데 그 차이가 매우 크다. 참고로 계자 전류가 높으면 높을 수록 전기자 전류는 어느 한 점으로 가다가 나중에는 계속 상승함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강산이 변했다.]
56.
직류 분권 전동기의 공급 전압이 V[V], 전기자 전류 Ia[A], 전기자 저항 Ra[Ω], 회전수 N[rpm] 일 때 발생토크는 몇 [kg・m]인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T = (60*P) / (2πN*9.8) P = E*Ia , E = V-Ia*Ra 이므로 E에 V-IaRa 대입하면 나옴 (30/9.8) * (VIa - Ia^2Ra) / πN [해설작성자 : 럽포ㄱ도]
Nm 아니고 kg → 9.8로 나누기 괄호 안 분자 전력이니까 단위 맞춰주면 답 나옴!! (꼼수) [해설작성자 : 별짓다한다]
T = P / ω ▶ E * Ia / [ 2π * ( N / 60 ) ] ▶ ( 1 / 9.8 ) * ( 30 * E * Ia / π * N ) ▶ ( 1 / 9.8 ) * ( 30 * [ V - ( Ia * Ra ) ] * Ia / π * N ) ▶ ( 30 / 9.8 ) * ( VIa * Ia^2Ra ) / π * N ) 역기전력) E = V - ( Ia * Ra )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7.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력과 단자 전압의 관계는?
1.
단자 전압과 무관하다
2.
단자 전압에 비례한다
3.
단자 전압의 2승에 비례한다
4.
단자 전압의 2승에 반비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회전력 T = ko*[sE2^2r2/(r2^2+(sx2)^2)][N•m] T ∝ E^2(단자전압의 2승에 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58.
220[V], 10[A], 전기자 저항이 1[Ω], 회전수가 1800[rpm]인 전동기의 역기전력은 몇 [V]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90
2.
140
3.
175
4.
21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E = V-IaRa = 220-10x1 =210 [해설작성자 : ddd]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대부분의 전동기들은 분권전동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제에 직권이라는 용어가 없으면 분권전동기로 생각하셔서 푸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다잘될꺼야]
59.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서 중간 변압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발생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해
2.
역회전 방지를 위해
3.
직권 특성을 얻기 위해
4.
경부하시 급속한 속도상승 억제를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간변압기 : 전압 조정을 통한 경부하시의 급속한 속도 상승 억제 [해설작성자 : 지니정]
중간변압기 사용목적 1. 전원전압 상관없이 회전자전압을 선택하기위해 2. 권수비를 조절해서 변압기 특성을 변경하기위해서 3. 전압 조정을 통해서 경부하시 급속한 속도 상승을 억제하기위해 [해설작성자 : 럽포ㄱ도]
60.
동기 조상기의 계자를 과여자로 해서 운전할 경우 틀린 것은?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위상이 뒤진 전류가 흐른다.
3.
송전선의 역률을 좋게한다.
4.
송전선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기 조상기를 과여자로 해서 운전하면 콘덴서로 작용하여 위상이 앞선 전류가 흐른다. [해설작성자 : ddd]
진상전류 = 전류가 전압보다 앞선다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계통상에 부하가 중부하일 때 과여자로 운전함 중부하 시에는 L성분의 증가로 전류가 지상이 됨 따라서 조상기는 증가한 L성분으로 인한 전류의 뒤짐(지상)을 상쇄해야함 때문에 진상전류를 흘려주게 되는데 이게 전력용 콘덴서랑 같은 역할을 함 반대로 계통상에 부하가 경부하일 때 부족여자로 운전함 경부하 시에는 C성분의 증가로 전류가 진상이 됨 따라서 조상기는 증가한 C성분으로 인한 전류의 앞섬(진상)을 상쇄해야함 때문에 지상전류를 흘려주게 되는데 이게 분로(병렬) 리액터와 같은 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홀홀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단면적이 1.0mm2 이상의 미네럴 인슈레이션 케이블 → 2. 단면적이 2.5 mm2 이상의 연동선 으로 변경되어야함 [해설작성자 : 답이 바뀌어야됨]
[추가 오류 신고] 동일 출판사 전기기사 과년도 - 2. 단면적이 2.5 mm2 이상의 연동선 [해설작성자 : cbt 짱좋음]
[오류신고 반론] 성안당 전기기사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판단기준 제168조)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은 다음 어느 하나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단면적이 2.5[mm^2] 이상의 연동선 -단면적이 1[mm^2] 이상의 미네랄 인슐레이션 케이블 [해설작성자 : 2]
[오류신고 반론] 제189조(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 저압 옥내배선은 지름 1.6mm의 연동선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 또는 단면적이 1mm2 이상의 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이어야 한다. 다만,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특별한 이유에 의하여 시·도지사의 인가를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전광표시장치·출퇴표시등(出退表示燈)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에 사용하는 배선에 지름 1.2mm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고 이를 합성수지관공사·금속관공사·금속몰드공사·금속덕트공사·플로어덕트공사 또는 셀룰러덕트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2. 전광표시장치·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에 단면적 0.75mm2 이상인 다심케이블 또는 다심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에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3. 제225조의 규정에 의하여 단면적 0.75mm2 이상인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4. 제227조의 규정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용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국가법령정보센터 전기설비기술기준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 초보자]
87.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인가?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백열전등 하면 바로 300V!!!! [해설작성자 : 한전녀]
88.
마그네슘 분말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의 저압옥내 전기 설비 공사는?
1.
캡타이어 케이블
2.
합성 수지관 공사
3.
애자사용 공사
4.
금속관 공사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폭발우려 금속관 또는 케이블만 가능 [해설작성자 : 태공]
가연성 - 합, 금, 케 폭발성 - 금, 케 [해설작성자 : 된장민]
89.
소맥분, 전분, 유황 등의 가연성 분진이 존재하는 공장에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의 저압 옥내배선에 적합하지 못한 공사는? (단, 각종 전선관 공사 시 관의 두께는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1.
합성 수지관 공사
2.
금속관 공사
3.
가요 전선관 공사
4.
케이블 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가연성 분진 합 금 케 폭발성 분진 금 케 [해설작성자 : 태공]
90.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사용하는 지선의 시설과 관련하여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선의 안전율은 2.5이상, 허용 인장하중의 최저는 3.31kN으로 할 것
2.
지선에 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것
3.
지선에 연선을 사용하는 경우 소선의 지름이 2.6mm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
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철탑은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시키지 않을 것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사용하는 지선의 시설 중 허용 인장하중의 최저는 4.31kN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강우진 ]
91.
옥내 저압 배선을 가요전선관 공사에 의해 시공하고자 할때 전선을 단선으로 사용한다면 그 단면적은 최대 몇 mm2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5
2.
4
3.
6
4.
10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단선사용;10(알루미늄16) [해설작성자 : 사동혁]
92.
풀용 수중 조명등에서 절연 변압기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30V 이하인 경우 접지공사의 종류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 1종 접지
2.
제 2종 접지
3.
제 3종 접지
4.
특별 제 3종 접지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절연변압기는 2차전압 30볼트 이하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한 혼촉방지판을 설치하고 30볼트가 넘는 경우에는 지기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한다 1차 사용전압 400 볼트 이하 2차측 150 볼트 이하의 절연변압기를 사용한다 또한 2차측 전로는 비접지로 한다 조명등 기구 및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은 특별 제3종접지공사를 하여야한다 ---( 다른시설이랑 접지공사종류가 다르므로 꼭 외워두자 )---- [해설작성자 : 태공]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종별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3.
저압의 옥측 배선을 시설 장소에 따라 시공할 때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버스덕트 공사를 철골조로 된 공장 건물에 시설
2.
합성수지관 공사를 목조로 된 건출물에 시설
3.
금속몰드 공사를 목조로 된 건축물에 시설
4.
애자사용 공사를 전개된 장소에 있는 공장 건물에 시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목조 건축물에는 금속관 금속몰드 안됨 [해설작성자 : 태공]
94.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지선을 사용하여 그 강도를 분담 시켜서는 안되는 것은?
1.
철탑
2.
목주
3.
철주
4.
철근 콘크리트주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지선 - 지지물로 사용하는 철탑은 지선으로 사용하여 강도를 부담시켜서는 안됨 - 지지물로 사용하는 철주 또는 철근 콘크리트주는 지선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1/2 이상의 풍압하중을 견디는 강도는 가지는 경우 이외에는 지선을 사용해서 분담시켜서는 안됨 - 안전율 2.5이상, 인장강도 4.31kN 이상 - 2.6mm 이상인 소선 3가닥 연선 사용 - 지표상 30cm까지는 내식성이 있는 것 -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5m 이상, 교통지장이 없는 경우 4.5m 이상, 보도 2.5m 이상 - 시설목적: 지지물 강도 보강, 전선로 안전성 증가, 불평형 장력이 큰 개소에 시설
95.
고압 지중 케이블로서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콘크리트제, 기타 견고한 관 또는 트라프에 넣지 않고 부설할 수 있는 케이블은?
1.
고무 외장 케이블
2.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
3.
콤바인 덕트 케이블
4.
미네럴 인슈레이션 케이블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1.2[m]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에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6.
특고압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하는 B종 철주, B종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종류에서 전선로 지지물의 양쪽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은?
1.
각도형
2.
인류형
3.
내장형
4.
보강형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 각도형 : 전선로 중 3도를 넘는 수평 각도를 이루는 곳에 사용하는 것 - 인류형 : 전 가섭선을 인류하는 곳에 사용한 것 - 내장형 :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것 - 보강형 : 전선로의 직선 부분에 그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내장형이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
97.
정격전류 20A인 배선용 차단기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 전로에 접속할 수 있는 콘센트 정격전류는 최대 몇 A인가?
1.
15
2.
20
3.
22
4.
25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배선용차단기의 정격전류 = 콘센트정격전류 [해설작성자 : 한전녀]
98.
과전류 차단기로 저압 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를 수평으로 붙인 경우 이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1
2.
1.25
3.
1.6
4.
2
정답 : [
1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를 과전류 차단기로 저압 전로에 사용하는 15A 퓨즈를 수평으로 붙인 경우 이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 답도 1번 1.5로 변경 [해설작성자 : 문제 답이 바뀌어야됨]
[오류신고 반론] 윗사람은 어디서 본건지 모르겠는데 1.1배 그대로임. ①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배선용차단기와 조합하여 하나의 과전류차단기로 사용하는 것 및 제5항에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수평으로 붙인 경우(판상 퓨즈는 판면을 수평으로 붙인 경우)에 다음 각 호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 정격전류의 1.1배의 전류에 견딜 것. 2. 정격전류의 1.6배 및 2배의 전류를 통한 경우에 표 38-1에서 정한 시간 내에 용단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212.3.4 보호장치의 특성 2.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범용의 퓨즈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표 212.2-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4A 이하 1.5배 (불용단전류) 4A 초과 16A 미만 1.5배 16A 이상~ 1.25배 엔트미디어에서는 문제에 15A가 주어지고 답 1번 1.5A라고 나오네요 [해설작성자 : 잠은 충분히]
99.
고압 인입선을 다음과 같이 시설하였다. 기술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
1.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m의 높이에 설치하였다.
2.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 인입선을 시설하였다.
3.
횡단 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면상에서 3.5m의 높이에 시설하였다.
4.
전선은 5mm 경동선과 동등한 세기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저압, 고압인입선 저압( 일반 도로 철도 횡단보도) 고압 높이 4m(위험3m) 5m(3m) 6.5m 3m 5m(위험3.5m) 사용전선 : 15m이하 2mm이상 인입용 비닐전선, 다심형 전선, 케이블 5mm이상 경동선, 케이블 연접인입선 불가 15m이상 2.6mm이상 인인용 비닐전선, 다심형 전선, 케이블 - 인입선에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100m 초과X - 도로 폭 5m 초과 금지 - 옥내 관통 금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