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평판 공기콘덴서의 양 극판에 +σ[C/m2], -σ[C/m2]의 전하가 분포되어 있다. 이 두 전극 사이에 유전율 ε[F/m]인 유전체를 삽입한 경우의 전계[V/m]는? (단, 유전체의 분극전하밀도를 +σ′, -σ′이라 한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하밀도 (r) = 전속밀도 (D) 분극전하밀도 (r') = 분극의 세기 (P) 따라서 P = D - e0 E E = ( D - P ) / e0 = ( r - r' ) / e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자계와 직각으로 놓인 도체에 I[A]의 전류를 흘릴 때 f[N]의 힘이 작용하였다. 이 도체를 v[m/s]의 속도로 자계와 직각으로 운동시킬 때의 기전력 e[V]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f=IlB lB=f/I e=VlB=Vf/I [해설작성자 : 무명인]
---해설 추가 도체가 자계 안에서 받는 힘 f=BILsinx 이다. 문제에서 자계와 도체가 직각이라고 하였으므로 sinx=sin90=1. 그러므로 f=BIL 이 된다.
자계와 x의 각도를 이루면서 v의 속도로 이동할 때 유도기전력은 e=BLvsinx=BLvsin90=BLv 가 된다.
그러므로 e=fv/I. [해설작성자 : Djin]
[어렵게 푸는 방법?] 단위를 잘보자 v[m/sec]즉, 길이/t(초)이다. v=l/t i=q/t 시간으로 나타내면 t=q/i 여기서 속도에 관해 식을 정리하면 v=li/q가 됩니다. 움직이는 도체에서의 기전력은 Blvsin@입니다. 직각이니 sin90이므로 1이 됩니다. Blv에 위 속도 공식을 대입하면 Bll/t가 됩니다. 여기에 q/i를 대입하면 BIll/q이 됩니다. Bil=f이고 q=it이니 대입하면 fl/it가 됩니다. 이 식에서 l/t은 [m/sec]이니 속도입니다. 즉, e=fv/i가 나옵니다. 즉,fi/q
3.
폐회로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도기전력은 권선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2.
렌츠의 법칙은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법칙이다
3.
자계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폐회로가 운동하여도 유도기전력이 유도된다
4.
전계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폐회로가 운동하여도 유도기전력이 유도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유도기전력은 권선수에 비례한다. 2. 렌츠의 법칙은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이다. 4. 자계가 일정한 공간 내에서 폐회로가 운동하여도 유도기전력이 유도된다.
그러므로 옳은 것은 3번. [해설작성자 : Djin]
4.
반지름 a, b인 두 개의 구 형상 도체 전극이 도전율 k인 매질 속에 중심거리 r만큼 떨어져 있다. 양 전극간의 저항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두 개의 구형상 도체는 직렬에 해당한다. R=ρ*ε/C 이므로 R=R1+R2 = ρ*ε/C1 + ρ*ε/C2 이다. C=4πεr 이므로 R= ρ*ε/C1 + ρ*ε/C2 = ρ*ε/4πεa + ρ*ε/4πεb =(1/4πk)*{(1/a)+(1/b)}
(1/ρ=k) [해설작성자 : Dji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 오류 신고: 문제에 (단, r>>a, b 이다.) 이게 빠졌습니다. [해설작성자 : 된장민]
5.
그림과 같이 반지름 a인 무한장 평행도체 A, B가 간격 d 로 놓여 있고,단위 길이당 각각 +λ, -λ의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A, B 도체 간의 전위차 [V] 는? (단, d≫a 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번 맞아요 (d>>a라서 d-a=a로 표기를 많이해서 착각하신듯) [해설작성자 : 무명]
다들 평행도체 공식암기로 람다/파이*앱실론 In d/a 로 외우셨을텐데. 보기에 d/a있는건 분모에 2파이*앱실론 이므로 아니기때문에 굉장히 햇갈리셨을겁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문제를 잘 읽 어 보 시 면 (단, d>>a 이다.) 라는 지문이 있습니다. 이 지문을 달아줬다는건 d가 a보다 엄 청나게 크기때문에 d에 a를 빼봣자 d에 가깝다라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d-a = d 즉 1번이 답이되는것이죠. 이 문제의 핵심은 공식을 단순암기를 어정쩡하게 외운사람에게 어라 ? In 이다음에 a/d였나? d/a였나? 햇갈리네? d-a는 아니니까 a/d겠지? 하고 오답으로 유도하는 양아치 문제입니다. 역시나 저희는 문제를 잘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이 전쟁을 끝내려왔다]
6.
매질1(E1)은 나일론(비유전율 Es=4) 이고, 매질2(E2)는 진공일 때 전속밀도 D가 경계면에서 각각 θ1, θ2의 각을 이룰 때,θ2=30° 라면θ1의 값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입실론1/입실론2 = tan1/tan2 [해설작성자 : S]
7.
자기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자기회로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2.
자기회로의 기자력은 자기저항과 자속의 곱과 같다
3.
자기저항 Rm1과 Rm2을 직렬연결 시 합성 자기저항은 이다.
4.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은 자기회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기저항=L/uS 즉 단면적S에 반비례한다,길이에는 비례 자속=암페어*턴수/자기저항 여기서 암페어*턴수 가 기자력이므로 기자력=자속*자기저항 3번의 경우 병렬계산법이다.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한 변의 길이가 a 꼭짓점에서 중심까지 길이가 a/(root2) 인 사각형에서 한 점의 전위는 V1 = Q/{(2*root2)*pi*epsilon*a} 따라서 중심에서의 전위는 V0=4V1={(root2)*a}/{pi*epsilon*a} 계산하면 35.96[V]=36[V] [해설작성자 : chabeomS]
9x10^9 = 1/(4*pi*epsilon) 똑같은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하기시러ㅓㅓㅓ]
4개 전하에 의한 전위는 1개 전하에 의한 전위의 4배 이므로 V = Q / 4πεr ▶ 9 * 10^9 * (10^-9 / 1) * 4 = 36[V] (여기서 한변의길이가 루트2이므로 중심거리 r=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15.
기계적인 변형력을 가할 때,결정체의 표면에 전위차가 발생되는 현상은?
1.
볼타효과
2.
전계효과
3.
압전효과
4.
파이로 효과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압전효과란 기계적인 압력을 가했을때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가했을때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효과이다.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파이로 효과 - 가열 시 (+), (-) 전기 분극이 일어남
[추가 해설] 1. 볼타전기(마찰전기=접촉전기) : 도체나 유전체를 상호 접촉시키면 전위의 차가 생긴다. 2. 초전효과(파이로전기) : 강 유전체의 결정에 가열을 하거나 냉각을 시키면 분극 현상이 일어나고, 그 크기에 따라 전류가 검출되는 현상(적외선 센서) 3. 압전효과 : 물직에 기계적 변형력(압력)을 가하면 표면에 전기분극이 생기는 현상 --> 종효과 : 응력과 분극 방향이 동일 방향 --> 횡효과 : 응력과 분극 방향이 수직 방향 --> 응용 : 압력계, 고주파 진동자, 수정시계 [해설작성자 : 롸뉘콜먼]
16.
면적이 S[m2] 인 금속판 2매를 간격이 d[m] 되게 공기 중에 나란하게 놓았을 때 두 도체 사이의 정전용량 [F] 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Q A C = ------ = e ---- V t
e(입실론)으로 가정.
Q : 전하 A : 극판의 면적 e : 극판간 물질의 비유전율.
A --> S, t --> d로 대입하면 같은 결과가 나옴. [해설작성자 : 행복한여의도]
17.
면전하 밀도가ps[C/m2] 인 무한히 넓은 도체판에서 R[m] 만큼 떨어져 있는 점의 전계의 세기 [V/m] 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한평면에서의 전계의 세기는 거리에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도체판이라고 했으니까 무한평면이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전속밀도 D=ps/2 와 D=ε0E에 의하여 전계의세기 E=D/ε0=ps/2ε0 [해설작성자 : 피카츄빠직]
<문제 해설> 영상 임피던스는 1 1 1 정상 임피던스는 1 1 2 역상 임피던스는 1 2 1 이며 위와 같은 임피던스는 균형 현상에 의한 것도 불균형에 의한 현상이 있습니다. 중성점 접지가 된 형태의 3상 4선식 형태이며 각 상마다 120도의 위상차이에 의한 전압 분배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답에서는 영상, 정상, 역상의 간단한 변환 형태를 묻는 의미이며 총 임피던스는 몇 이라는 것을 알아야 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위의 임피던스 형태로 보아서 전압과 전류는 묻고 있지 않으며 전형적인 회로상의 임피던스 자체를 묻는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LeeA]
25.
비접지식 송전선로에 있어서 1선 지락고장이 생겼을 경우 지락점에 흐르는 전류는?
1.
직류 전류
2.
고장상의 영상전압과 동상의 전류
3.
고장상의 영상전압보다 90도 빠른 전류
4.
고장상의 영상전압보다 90도 늦은 전류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선 지락 -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이 존재 - 고장상의 영장전압보다 90도 빠른 전류
영상전류: 크기가 같고 같은 위상각을 가진 평형 단상 전류 지락고장 시 접지계전기를 동작시키는 전류 △결선이 있으면 △결선의 내부를 순환 정상전류: 전원과 동일한 상회전 방향, 전동기에 회전 토크 역상전류: 전원의 상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 전동기에 제동력 [해설작성자 : ㅅㅅㅅ]
26.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절연저항
2.
전압강하
3.
허용전류
4.
기계적 강도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전선의 굵기 선정 - 수용율, 역율, 부하율을 고려 - 전압강하 - 허용 전압강하 - 기계적 강도
<문제 해설> = : 전선의 표면 계수, 매끈한 단면 1, 거친 단면 0.98~0.80, 7본 연선 0.87~0.83, 19~61 연선 0.85~0.80, 중공 연선 0.9~0.94 : 날씨 계수, 맑은 날 1.0, 우천 시 0.8 : 상대 공기 밀도 = : 기압 : 기온 [해설작성자 : 현서현우아빠]
코로나 - 코로나 임계전압 E0 = 24.3m0m1δdlog(D/r)[kV] - 코로나 방지 대책: 전선의 지름을 크게 한다. 복도체를 사용한다. 가선 금구를 개량한다. - 코로나 손실 P = 241/δ*(f+25) * (d/D)^(1/2) * (E-E0)^2 * 10^(-5) - m0 전선의 표면계수, m1 일기에 대한 계수, δ 상대공기밀도, d 전선의 지름, D 선간거리 [해설작성자 : ㅅㅅㅅ]
29.
다음 ( ① ), ( ② ), ( ③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① 원자핵융합, ② 융합, ③ 결합
2.
① 핵결합, ② 반응, ③ 융합
3.
① 핵융합, ② 융합, ③ 핵반응
4.
① 핵반응, ② 반응, ③ 결합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핵융합(①): 두 개 이상의 원자핵이 융합하여 하나의 무거운 원자핵으로 변하는 반응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①에는 '핵융합'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합니다.
융합(②):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핵융합에서 두 원자핵이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을 융합이라고 합니다.
핵반응(③): 원자핵이 다른 핵과 반응하거나 붕괴되는 과정을 핵반응이라고 하며, 이는 융합이나 결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경간 200m, 장력 1000 kg, 하중 2kg/m 인 가공전선의 이도 (dip) 는 몇 m 인가?
1.
10
2.
11
3.
12
4.
13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이도 D = WS^2/8T D = 2*200^2/8*1000 [해설작성자 : 이용수]
이도)D[m] = W * S^2 / 8 * T ▶ 2 * 200^2 / 8 * 1000 = 10[m]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4.고장전류를 줄이고 고장구간 신속차단 -적당한 중성점 접지 -고속도 차단기, 고속도 재폐로 차단기 사용 [해설작성자 : 정구현]
직접접지는 오히려 과도 안정도가 나빠짐 [해설작성자 : 보충설명꾼]
33.
증식비가 1보다 큰 원자로는?
1.
경수로
2.
흑연로
3.
중수로
4.
고속증식로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속증식로의 증식비는 1.1~1.4정도로 추정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속증식로(FBR = Fast Breeder Reactor) -> 플루토늄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꿈의 원자로 입니다.그러나 냉각제로 가장 알맞는 물질이 아이러니하게도 나트륨 or 나트륨-칼륨 합금입니다. 이 친구들은 공기나 물에 격렬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시한폭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34.
송전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송전선의 단락 및 지락전류도 증가하여 계통에 여러 가지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들의 경감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계통의 전압을 높인다
2.
고장 시 모선 분리 방식을 채용한다
3.
발전기와 변압기의 임피던스를 작게 한다
4.
송전선 또는 모선 간에 한류리액터를 삽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임피던스와 단락전류는 서로 반비례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임피던스를 작게하면 단락전류가 더욱 커지기 때문에 임피던스는 크게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황동빈]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원전압의 실효치 200[V], 점호각 30°일 때 출력전압은 약 몇 V 인가? (단, 정상상태이다.)
1.
157.8
2.
168.0
3.
177.8
4.
187.8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루트2/파이 × (1+ cosa/2) [해설작성자 : 이패스학생]
루트2/파이×E×(1+cosa)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사람]
단상 정파정류 회로 Ed(직류전압) = 0.9 E(실효값) X ((1+cos세타)/2) 즉, Ed = 0.95 X 200 X (1+cos30/2) * 참고 : (점호각 주어질때) 단상반파 Ed = 0.45E X (1+cos30/2) , 단상정파 Ed = 0.9E X (1+cos30/2) [해설작성자 : 진짜 낼모레 시험]
42.
분권발전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면 일어나는 현상은?
1.
전압이 유기된다
2.
발전기가 소손된다
3.
잔류자기가 소멸된다
4.
높은 전압이 발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분권발전기는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면 잔류자기가 소멸되어 발전불능 상태가 된다 [해설작성자 : 나그네]
분권 발전기의 회전을 반대로 하게 되면 회전 반대 -> 유기기전력, 계자전류(If) 반대 -> 계자권선의 잔류 자기 상쇄 -> 자속 Φ= 0 -> E=PZΦN/60a 에서 Φ=0 이므로 E=0 발전 불능 상태
43.
극수가 24일 때, 전기각 180°에 해당되는 기계각은?
1.
7.5°
2.
15°
3.
22.5°
4.
30°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전기각 = 기계각*극수/2 [해설작성자 : bono12]
기계각= 전기각*2 / 극수 =15 [해설작성자 : 빡 썽]
44.
단락비가 큰 동기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안정도가 떨어진다
2.
전압 변동률이 크다
3.
선로 충전용량이 크다
4.
단자 단락 시 단락 전류가 적게 흐른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락비가 큰 기계의 특징 1. 안정도가 증진한다. 2. 전압 변동률이 작다 3. 효율이 나쁘다. -> 철손이 크다 4. 충전용량이 크다. 5.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6.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7. 대형/고가 [해설작성자 : 피카츄]
45.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서 보상권선과 저항도선의 작용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보상권선은 역률을 좋게 한다
2.
보상권선은 변압기의 기전력을 크게 한다
3.
보상권선은 전기자 반작용을 제거해 준다
4.
저항도선은 변압기 기전력에 의한 단락전류를 작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전기자 기자력 상쇄 [해설작성자 : AR]
46.
5 kVA, 3000/200 V 의 변압기의 단락시험에서 임피던스 전압 120V, 동손 150W 라 하면 %저항강하는 약 몇 %인가?
<문제 해설>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전류가 증가되었을때의 현상은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가 흘렀을때로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이상적일 경우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가 흐르면 다이오드에 0v전압이 걸린다.(이상적이지 않을경우 실리콘=0.7v전압강하) 문제에서 말하는 저지전압은 다이오드의 전압강하와 유사하다. 따라서 게이트 전류가 증가하면 순방향 저지전압이 감소하는게 맞다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55.
60Hz 인 3상 8극 및 2극의 유도전동기를 차동종속으로 접속하여 운전할 때의 무부하속도 [rpm] 는?
<문제 해설> 양은 음으로, or는 and로 그 값과 연산까지 모두 전환시켜야 함. [해설작성자 : 나대로]
64.
다음 단위 궤환 제어계의 미분방정식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G(s) = 2 / s(s+1) 이라 한다면 C(s)/U(s) = G(s) / (1 + G(s)) 다. 이를 풀면 C(s)/U(s) = 2 / (s^2 + s + 2) C(s) * (s^2 + s + 2) = U(s) * 2 이고 이를 라플라스 역변환하면 s^2 -> 두 번 미분, s -> 한 번 미분 꼴로 바꿀 수 있다. 고로 4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mino]
C(s)/U(s) = G(s) / (1 + G(s)) 인걸 안다면 분자에 2가 나오고 u와 곱해져서 우변에 u(t)가 나온다는걸 알 수 있음 마찬가지로 분모에 상수항쪽에 2가 나온다는걸 알 수 있음 따라서 상수항쪽에 2와 우변에 2가 있다는걸로 조합해 4번이 정답이라는 것을 빠르게 알아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woo]
65.
특성방정식이 다음과 같다. 이를 z 변환하여 z 평면도에 도시할 때 단위 원 밖에 놓일 근은 몇 개인가?
1.
0
2.
1
3.
2
4.
3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s=-1,-2,3에서 s평면의 우반면에 하나의 근이 있으므로 z평면 단위원 외부에 하나의 근이 있게 된다 [해설작성자 : 570MS]
S평면의 우반면은 Z평면의 원점을 중심으로 한 단위원의 외부에 사상되므로, 오직 s=3의 경우가 해당됨. [해설작성자 : 나대로]
66.
다음 진리표의 논리소자는?
1.
OR
2.
NOR
3.
NOT
4.
NAND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OR게이트는 모든입력이 0이 될때만 출력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최대값이 10V인 정현파 전압이 있다.t=0에서의 순시값이 5V이고 이 순간에 전압이 증가하고 있다. 주파수가 60Hz 일 때, t=2ms에서의 전압의 순시값 [V]은?
1.
10 sin30°
2.
10 sin43.2°
3.
10 sin73.2°
4.
10 sin103.2°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t=0에서 5V이므로 정현파(Sin)의 경우 위상이 30도(10v * sin30도 = 5v) 임을 알 수 있음. 60Hz -> 초당 60번의 정현파 발생. 2ms -> 0.002초 이므로, 0.12번의 주기 발생. 따라서 1주기당 360도 이므로, 0.12주기는 360*0.12 = 43.2도 맨 처음 30도 만큼 위상을 더해줘야 하므로 43.2+30 = 73.2도 [해설작성자 : 겸스]
<문제 해설> 위 파형의 경우 최댓값과 실효값이 같다 파고율=최댓값/실효값 이므로 1이 된다 파형율=실효값/평균값 [해설작성자 : 마산광견]
파고율 [peak factor, 波高率] : 교류 파형의 최대값을 실효값으로 나눈 값으로, 각종 파형의 날카로움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 이 값은 정현파에서는 1.414이다.
문제에서와 같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크기가 커졌다가 줄어드는 변화가 없이 일정한 구형파로 주어지면, 즉, 정현파 교류가 아닌, 직류로 파형이 주어졌으므로, 최대값도 그리고 실효값도 동일하게 A이므로, 파고율은 1이고, 실효값 대비 높이 튀는 값이 없는 좋은 파형이라는 의미. [해설작성자 : 나대로]
가섭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안테나가 있다 이 안테나 주위 에 경동연선을 사용한 고압가공전선이 지나가고 있다면 수평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0
2.
60
3.
80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저압은 0.6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안테나 일반 저압 0.6 고압 0.8 고압절연전선 저압 0.3 고압 0.8 케이블 저압 0.3 고압 0.4
[추가 해설] 저고압 가공전선과 안테나의 접근 또는 교차(판단기준 제82조) 1. 고압 가공전선로는 고압 보안공사에 의할 것. 2. 가공전선과 안테나 사이의 이격거리(가섭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안테나에 있어서는 수평 이격거리)는 저압은 60cm(전선이 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에는 30cm) 이상, 고압은 80cm(전선이 케이블인 경우에는 40cm)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Jacky]
82.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금속제 수도관로를 각종 접지공사 의 접지극으로 사용하려면 대지와의 전기저항 값이 몇 Ω 이하의 값을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급속제 수도관로 접지공사 저항값 = 3Ω이하 건물의 철골 및 기타 금속 = 2Ω이하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8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으로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이 최소 몇 가닥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지선 안전율 = 2.5이상 2.6mm 이상의 금속선을 3조 이상 꼬아서 사용 지중 및 지표상 30cm 까지의 부근은 아연도금 철봉 등을 사용 최저 인장 하중 = 4.31kN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84.
옥내의 저압전선으로 나전선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는?
1.
금속관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2.
버스덕트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3.
라이팅덕트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4.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전개된 곳에 전기로용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나전선의 사용 제한 금속관공사, 합성수지관공사, 합성수지몰드공사, 금속덕트공사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나전선의 사용제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전선에는 나전선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애자공사에 의해 전개된 곳에 다음 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 전기로용 전선, - 전선의 피복 절연물이 부식하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 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2. 버스덕트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3. 라이팅덕트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4.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 접촉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5. 유희용 전차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2차측 회로의 배선을 제3레일 방식에 의한 접촉전선을 시설하는 경우 (한솔아카데미) [해설작성자 : jwo200987]
85.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 데 사용 하는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는가?
1.
1.2
2.
1.5
3.
1.8
4.
2.0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표상 1.8m 미만에 시설금지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86.
철도ㆍ궤도 또는 자동차도의 전용터널 안의 전선로의 시설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고압전선은 케이블공사로 하였다
2.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3.
저압전선으로 지름 2.0mm의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4.
저압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의 높이로 유지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터널 안 전선로의 시설(판단기준 제143조) 1. 인장강도 2.30kN 이상의 절연전선 또는 지름 2.6mm 이상의 경동선의 절연전선을 사용,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 2.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의 높이로 유지할 것. 3. 합성수지관 공사․ 가요전선관 공사 또는 케이블 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것. 4. 고압 전선은 인장강도 5.26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또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애자사용 공사에 의하여 시설 5.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3m 이상의 높이로 유지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Jacky]
87.
수소냉각식 발전기 등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발전기 안의 수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 할 것
2.
수소를 통하는 관은 수소가 대기압에서 폭발하는 경우에 생기는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가질 것
3.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95%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4.
발전기 안의 수소의 압력을 계측하는 장치 및 그 압력이 현저히 변동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85% 이하일 경우 경보하는 장치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발전기 안의 수소의 순도가 85% 이하로 저하한 경우에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해설작성자 : 정혀니]
88.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80A 퓨즈를 수평 으로 붙이고,정격전류의 1.6배 전류를 통한 경우에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 (단, IEC 표준을 도입한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는 제외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개정사항으로 삭제 요청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보라빛]
[오류신고 반론] 새로 바뀐 저압퓨즈 규정에 따라 80A 1.6배 용단 전류는 120분
정격전류의 구분 시간 정격전류의 배수 불용단 전류 용단 전류 4A 이하 60분 1.5배 2.1배 4A 초과 16A 미만 60분 1.5배 1.9배 16A 이상 63A 이하 60분 1.25배 1.6배 63A 초과 160A 이하 120분 1.25배 1.6배 160A 초과 400A 이하 180분 1.25배 1.6배 400A 초과 240분 1.25배 1.6배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89.
조상기의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로 부터 차단하는 장치는 조상기의 뱅크용량이 몇 kVA 이상 이어야 시설하는가?
1.
5000
2.
10000
3.
15000
4.
20000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뱅크용량의 구분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
전력용커패시터 500kVA 초과, 15000kVA미만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과전류가 생긴 경우 및
분로리액터 15000kVA이상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과전류가 생긴 경우 과전압이 생긴 경우
조상기 15000kVA이상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90.
발열선을 도로, 주차장 또는 조영물의 조영재에 고정 시켜 시설하는 경우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00
2.
15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대지전압 300V 사용전압 400V [해설작성자 : 화이팅기사]
도로 등의 전열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235조) 1. 발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2. 발열선은 미네럴인슈레이션 케이블 등“정격전압 300/500V 이하 보온 및 결빙 방지용 케이블(Heating Cables)”에 규정된 발열선으로서 노출 사용하지 아니하는 것은 B종 발열선을 사용 3. 발열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콘크리트 기타 견고한 내열성이 있는 것 안에 시설할 것. 4. 발열선은 그 온도가 80℃를 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다만, 도로 또는 옥외주차장에 금속피복을 한 발열선을 시설할 경우에는 발열선의 온도를 120℃ 이하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acky]
91.
전로에 400V를 넘는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의 접지저항은 몇 Ω 이상인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전항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조하세요.)
1.
10
2.
30
3.
50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400 v 이상 특별제3종접지공사 10 옴 400 v 미만 제3종접지공사 100 옴 [해설작성자 : 태공]
접지저항 값은 몇 옴 이하인가? 라고 나와야하는 문제입니다. 문제 오류로 전향 정답 처리 됐었다고 합니다.
92.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고압 가공전선과 상부 조영재의 옆쪽에서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 가? 단, 전선은 경동연선이라고 한다.
위쪽 : 2m (케이블1m) 옆, 아래 : 1.2m (절연전선, 케이블 0.4m) [해설작성자 : 심심해서]
93.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사용전압이 60kV를 넘는 경우, 전화선로의 길이 몇 km 마다 유도전류가 3μA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2
2.
40
3.
80
4.
100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도장해의 방지(판단기준 제105조) 1. 사용전압이 60kV 이하인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12㎞ 마다 유도전류가 2㎂ 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사용전압이 60k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 마다 유도전류가 3㎂ 을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Jacky]
94.
고압의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에는 몇 종 접지 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문제 해설> 교류절연귀선 -> 고압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 직류절연귀선 -> 저압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 [해설작성자 : ㅅㅎ]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의 시설(판단기준 제260조)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은 저압 가공 전선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Jac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요거 사라져써염]
[추가 오류 신고] 개정된 사항입니다 삭제해주세요 [해설작성자 : 보라빛]
[추가 오류 신고] 개정사항 삭제요청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삭제 안됐어요.
202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개정 전문 제260조(가공 직류 절연 귀선의 시설)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은 저압 가공 전선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남아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전가자]
[오류신고 반론] 제260조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의 시설) 가공 직류 절연 귀선은 저압 가공 전선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제274조 (가공 교류 절연 귀선의 시설) 가공 교류절연귀선은 고압 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가공 교류 절연 귀선이 교류 전차선과 동일 지지물에 시설되는 경우에는 제75조제3항 또는 제4항의 규정에, 가공 교류 절연 귀선이 교류 전차선 등과 접근하거나 교차되어 시설되는 경우에는 제83조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삭제 안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설비기술기준 홈페이지]
[추가 오류 신고] 2023 에듀윌 삭제
96.
직선형의 철탑을 사용한 특고압 가공전선로가 연속하여 10기 이상 사용하는 부분에는 몇 기 이하마다 내장 애자 장치가 되어 있는 철탑 1기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한 저압가공전선이 횡단 보도교 위에 시설되는 경우에 그 전선의 노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횡단보도교 위 저압의 경우 노면상 3.5m이상 (단, 절연전선의 겨우 3[m]이상) 고압의 경우 노면상 3.5m 이상 [해설작성자 : 송쁘]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판단기준 제72조) 1. 도로[농로 기타 교통이 번잡하지 아니한 도로 및 횡단보도교를 제외한다.]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6m 이상 2.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6.5m 이상 3. 횡단보도교의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저압 가공전선은 그 노면상 3.5m ․다심형 전선․고압 절연전선․ 특고압 절연전 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에는 3m] 이상, 고압 가공전선은 그 노면상 3.5m 이상 4. 제1호부터 제3호까지 이외의 경우에는 지표상 5m 이상. 다만, 저압 가공전선을 도로 이외의 곳에 시설하는 경우 또는 절연전선이나 케이블을 사용한 저압 가공전선으로서 옥외 조명용에 공급하는 것으로 교통에 지장이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지표상 4m 까지로 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acky]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에서 절연전선 언급이 있으므로 3m에 해당합니다. 엔트 [해설작성자 : 전기 쭈아!ㅎ]
98.
애자사용 공사를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사용전압은 440V인 경우이다.
애자사용 공사(판단기준 제181조) 1.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및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다)일 것. 2. 전선 상호 간의 간격은 6cm 이상일 것. 3.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2.5cm 이상, 400V 이상인 경우에는 4.5cm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2.5cm)이상일 것. 4.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윗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일 경우에는 2m 이하일 것. 5.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것은 제4호의 경우 이외에는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6. 저압 옥내배선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7.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을 전선마다 각각 별개의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다만, 사용전압이 150 V 이하인 전선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로서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에 내구성이 있는 절연 테이프를 감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설작성자 : Jacky]
99.
저압 옥내 간선 및 분기회로의 시설 규정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저압 옥내 간선의 전원측 전로에는 간선을 보호하는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2.
간선보호용 과전류차단기는 옥내 간선의 허용전류를 초과하는 정격전류를 가져야 한다.
3.
간선으로 사용하는 전선은 전기사용기계 기구의 정격전류 합계 이상의 허용전류를 가져야 한다.
4.
저압 옥내 간선과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