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결합하고 있는 두 코일 C1과 C2의 자기인덕턴스가 각각 LC1, LC2라고 한다. 이 둘을 직렬로 연결하여 합성인덕턴스 값을 얻은 후 두 코일간 상호인덕턴스의 크기(M)를 얻고자 한다. 직렬로 연결할 때, 두 코일간 자속이 서로 가해져서 보강되는 방향의 합성인덕턴스의 값이 L1 서로 상쇄되는 방향의 합성 인덕턴스의 값이 L2일 때, 다음 중 알맞은 식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자속이 가해져서 보강되는 방향의 합성인덕턴스는 직렬연결의 가동접속이므로 L1=Lc1+Lc2+2M 이며 서로 상쇄되는 방향의 합성인덕턴스는 직렬연결의 차동접속이므로 L2=Lc1+Lc2-2M 이다. 여기서 L1,L2,Lc1,Lc2,M은 모두 음의 값을 가질 수 없으므로 L1>L2 이다. L1과 L2의 차를 M에 관하여 나타내면 |M|=(L1-L2)/4 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답은 4번이다. [해설작성자 : Djin]
15.
정전용량이 C0[F]인 평행판 공기 콘덴서가 있다. 이것의 극판에 평행으로 판간격 d[m]의 1/2 두께인 유리판을 삽입하였을때의 정전용량[F]은? (단, 유리판의 유전율은 ℇ[F/m]이라 한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판의 간격이 1/2로 나뉘었기 때문에 콘덴서는 직렬접속이며 이 때 C0=C1C2/(C1+C2)로 나타낸다. C1은 공기콘덴서이므로 C1=e0*S/(d/2)=2C0 C2는 유전체콘덴서이므로 C2=e0er*2S/(d/2)=2erC0 그러므로 C0=2C0/(1+e0/e) 이다.
(여기서 e0는 공기,진동 중의 유전율이며 er은 비유전율이다.) [해설작성자 : Dji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 1입니다. ℇ=1 대입하면 C0 나와야해요 [해설작성자 : 뇽토리]
[추가 오류 신고]
직렬 콘덴서 연결이니 병렬 저항과 같이 계산하고 정리하면 1번으로 답 나옵니다. 왜 3번으로 찍히는지 모르겠네용 제 계산은 틀리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허언증환자]
철심이 든 환상 솔레노이드의 권수는 500회, 평균 반지름은 10㎝, 철심의 단면적은 10cm2, 비투자율 4000이다. 이 환상 솔레노이드에 2A의 전류를 흘릴 때, 철심 내의 자속[Wb]은?
1.
4×10-3
2.
4×10-4
3.
8×10-3
4.
8×10-4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자속 m[Wb]=BS이다. (여기서 B는 자속밀도, S는 단위면적이다.) 또한 자속밀도 B=(투자율)*H 이다. (여기서 H는 자계이다.) 그렇다면 환상솔레노이드의 자계를 구하면 H=NI/2파이r 이며 N=500[회], I=2[A], r=0.1[m] 이므로 H=1591.55 이다. B=(투자율)*H=4파이*10^-7*4000*1591.55=8 m=BS=8*10*10^-4=8*10^-3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Djin]
자속)Φ[Wb] = B * S ▶ μ0 * μs * H * S ▶ μ0 * μs * ( N * I / 2π * r ) * S ▶ 4π * 10^-7 * 4000 * ( 500 * 2 / 2π * 0.1 ) * 10 * 10^-4 = 8 * 10^-3[Wb]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0.
그림과 같은 정방형관 단면의 격자점 ⑥의 전위를 반복법으로 구하면 약 몇 V 인가?
1.
6.3
2.
9.4
3.
18.8
4.
53.2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개의 같은 거리의 값을 더해서 산술평균을 내면 된다. 100+0+0+0/4 = 25이므로 1번은 25이다. 왼쪽 대각선 위치는 0 + 0/ 2 이므로 0이 된다. 이에 따라 3번도 구해보면 0 + 0 + 0 + 25 /4 = 6.25 가 되고 6번 = 0 + 3번 + 3번 + 1번 /4 = 0 + 6.25 + 6.25 + 25 /4 = 9.375 이므로 약 9.4가 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2.0]
가공 송전선로를 가선할 때에는 하중 조건과 온도 조건을 고려하여 적당한 이도(dip)를 주도록 하여야 한다. 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도의 대소는 지지물의 높이를 좌우한다.
2.
전선을 가선할 때 전선을 팽팽하게 하는 것을 이도가 크다고 한다.
3.
이도가 작으면 전선이 좌우로 크게 흔들려서 다른 상의 전선에 접촉하여 위험하게 된다.
4.
이도가 작으면 이에 비례하여 전선의 장력이 증가되며, 너무 작으면 전선 상호간이 꼬이게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이도는 전선이 일직선일 때를 기준으로 쳐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물의 높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도가 크다 = 많이 쳐짐 [해설작성자 : 롸니콜먼 라잇웻잇]
26.
승압기에 의하여 전압 Ve에서 Vh로 승압할 때, 2차 정격전압 e, 자기용량 W인 단상 승압기가 공급할 수 있는 부하 용량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단권변압기 좌측을 1 , 우측을 2 라고 할때 부하용량 = V1*I1 = V2*I2 입니다. 자기용량은 오른쪽 V2 중에서 V1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나타내므로 (V2-V1)*I2입니다. 여기서 V2-V1 =e 이므로 즉 부하용량은 자기용량(W) * V2 / e 를 하면 같은 값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2.0]
'고'전압(V_h) * '자'기용량(W) = '승'압된 전압(e) * '부'하용량 [해설작성자 : 앞으로 공식 안까먹음]
27.
일반적으로 부하의 역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은?
1.
전등의 과부하
2.
선로의 충전전류
3.
유도 전동기의 경부하 운전
4.
동기 전동기의 중부하 운전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유도전동기를 경부하 운전하게 되면 실제 사용되는 유효전력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역률이 저하된다.
28.
송전단 전압을 VS, 수전단 전압을 Vr, 선로의 리액턴스를 X라 할 때, 정상 시의 최대 송전전력의 개략적인 값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최대 송전전력은 송전단 전압과 수전단 전압의 곱을 선로의 리액턴스로 나눈 값입니다. 즉, 송전단과 수전단 사이의 전압이 클수록, 그리고 선로의 리액턴스가 작을수록 더 많은 전력을 송전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타여자 전동기는 계자전류를 외부에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하변동에 의한 속도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정속도 전동기라고 할 수 있어요. [해설작성자 : 유환용]
48.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법 중 기동 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반발 기동형
2.
분상 기동형
3.
세이딩 코일형
4.
콘덴서 분상 기동형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반 > 콘 > 분 > 셰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49.
부흐홀츠 계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동작의 가능성이 많다.
2.
전기적 신호로 동작한다.
3.
변압기의 보호에 사용된다.
4.
변압기의 주탱크와 콘서베이터를 연결하는 관중에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가스 또는 유류입니다. 기계적 신호에 의해 작동 [해설작성자 : 주암주의]
50.
직류기에서 정류코일의 자기 인덕턴스를 L이라 할 때 정류코일의 전류가 정류주기 TC 사이에 IC에서 -IC로 변한다면 정류 코일의 리액턴스 전압[V]의 평균값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인덕턴스에 걸리는 전압은 V=L(dI/dt) 여기서 평균적값을 요구하므로, 미분을 할 필요 없이 평균적으로 변화하는 양(기울기)를 구하면 됩니다. dI = 2Ic (Ic에서 -Ic로 변하는데의 전류량) dt = Tc (전류가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 따라서 V = L*(2I/Tc) [해설작성자 : 승승이]
51.
일반적인 전동기에 비하여 리니어 전동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여 신뢰성이 높다.
2.
마찰을 거치지 않고 추진력이 얻어진다.
3.
원심력에 의한 가속제한이 없고 고속을 쉽게 얻을 수 있다.
4.
기어, 벨트 등 동력 변환기구가 필요 없고 직접 원운동이 얻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리니어전동기는 고속 회전력을 얻어 기어, 나사, 크랭크 등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서 이용하는 형태. [해설작성자 : 리니어모터]
52.
직류를 다른 전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변환 기기는?
1.
초퍼
2.
인버터
3.
사이클로 컨버터
4.
브리지형 인버터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초퍼 : 직류를 다른 전압의 직류로 변환 사이클로 컨버터 : 교류 전압의 주파수 변환 [해설작성자 : 피카츄]
53.
와전류 손실을 패러데이 법칙으로 설명한 과정 중 틀린 것은?
1.
와전류가 철심으로 흘러 발열
2.
유기전압 발생으로 철심에 와전류가 흐름
3.
시변 자속으로 강자성체 철심에 유기전압 발생
4.
와전류 에너지 손실량은 전류 경로 크기에 반비례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와류손은 파형률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경로 크기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행인]
54.
주파수가 정격보다 3% 감소하고 동시에 전압이 정격보다 3% 상승된 전원에서 운전되는 변압기가 있다. 철손이 에 비례한다면 이 변압기 철손은 정격 상태에 비하여 어떻게 달라지는가? (단, f : 주파수, Bm : 자속밀도 최대치이다.)
1.
약 8.7% 증가
2.
약 8.7% 감소
3.
약 9.4% 증가
4.
약 9.4% 감소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자속밀도는 전압에 비례하고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주파수 감소 0.97 전압상승 1.03이라고 하면 자속밀도는 (1/0.97 *1.03) 주파수는 0.97 철손은 (1/0.97 * 1.03) * 0.97=1.0937 약9.4프로 증가
350kw 만 있을 때 역률 0.85 -> 무효전력 : 216.91 kVar 50kw 추가 -> 유효전력 400kw 되버렸는데 역률 0.95 이라고 함 -> 무효전력 131.47 kVar 그럼 216.91kVar 을 131.47kVar 만들어 줘야되네? 216.91 - 131.47 = 85.44 kVar 답 85 [해설작성자 : 쿠럭키탐흠대]
<문제 해설> 단락비 ks=is/in is = e/Zs = (V/루트3)/Zs = 1058.48 in = p/(루트3xV) = 874.77
따라서 ks=is/in=105.48/874.77=1.2 [해설작성자 : 합격예정지은]
%Z = (P * z) / ( 10V^2 ) 을 이용하여 %Z를 구하고 100/%Z 가 단락비 K이므로 대입하면 K=1.21 [해설작성자 : 내일무조건 합격!]
단락비)K = V^2 / P * Z ▶ 3300^2 / 5 * 10^6 * 1.8 = 1.2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0.
동기기의 회전자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원통형
2.
유도자형
3.
회전 계자형
4.
회전 전기자형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동기기의 회전자는 회전 계자형, 유도자형, 회전 전기자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원통형과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기준 입력과 주궤환량과의 차로서, 제어계의 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신호는?
1.
조작 신호
2.
동작 신호
3.
주궤환 신호
4.
기준 입력 신호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동작신호 : 기준입력과 주궤환량과의 차, 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신호 조작량 : 제어요소에 제어대상으로 가해지는 양
62.
폐루프 전달함수 C(s)/R(s)가 다음과 같은 2차 제어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대 오버슈트는 이다.
2.
이 폐루프계의 특성 방정식은 이다.
3.
이 계는 δ=0.1일 때 부족 제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4.
δ값을 작게 할수록 제동은 많이 걸리게 되니 비교 안정도는 향상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정답은 4번으로 감쇠비가 작아질수록 제동이 많이 걸린다는 말이 틀린말이다. 감쇠비가 1보다 클때가 과제동이다. [해설작성자 : 마틴]
63.
3차인 이산치 시스템의 특성 방정식의 근이 –0.3, -0.2, +0.5로 주어져 있다. 이 시스템의 안정도는?
1.
이 시스템은 안정한 시스템이다.
2.
이 시스템은 불안정한 시스템이다.
3.
이 시스템은 임계 안정한 시스템이다.
4.
위 정보로서는 이 시스템의 안정도를 알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이산치 시스템이므로 z평면에서 반지름이 1인 원 내부에 근 존재시 안정 [해설작성자 : k]
모든 극점의 절대값이 1보다 작아야함. 즉 단위 원 내부에 있어야함/ 극점 ㅣ0.3ㅣ=0.3. ㅣ-0.2ㅣ=0.2, l+0.5l=0.5 모두 절대값이 1보다 작음 (단위원 안에 있음 [해설작성자 : 조팽]
64.
다음의 특성 방정식을 Routh-Hurwitz 방법으로 안정도를 판별하고자 한다. 이때 안정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가장 잘 해석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은 없으나 불안정하다.
2.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1개 존재하여 불안정하다.
3.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2개 존재하여 불안정하다.
4.
s 평면의 우반면에 근이 3개 존재하여 불안정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RH를 해보면 0이 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에 따라서 부호가 2번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3번 [해설작성자 : 화이팅기사]
문제의 s^5 루스표 그리다가 s^3에서 0이 나오므로 한번 미분해서 5s^4+8s^3+6s^2+8s+11 방정식으로 루스표를 다시 작성 해주면 부호가 두번 바뀌기 때문에 우반면 근 2개로 불안정 입니다.
65.
전달함수 일 때 근궤적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극점과 영점의 갯수 중에 더 큰 숫자가 근궤적의 수이다. [해설작성자 : 종훈합격]
근궤적 수 = 페루프 전달함수의 극점 수 = 3
66.
다음의 미분 방정식을 신호 흐름 선도에 옳게 나타낸 것은? (단,로 표시한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식을 라플라스 변환 하면 2sc+5c=1/(sr) 이 된다 여기서 전달함수 c/r=G = 1/{(2s+5)s} 가 된다 G = 1/(2s^2+5s) 가 된다 여기서 s^2을 나눠 주면 해당 신호 흐름 선도의 식이 나온다. [해설작성자 : 실수 있어도 이쁘게 봐주세요..]
67.
다음 블록선도의 전체 전달함수가 1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블록선도 또는 신호흐름선도에서 계산방식은 전달함수 = 전체 루프 / (1 - (피드백 내의 값의 곱의 합) = G / (1 - (-GH1 - GH2) = G / (1+GH1+GH2) = 1 G = 1+GH1+GH2 -> G(1-H1-H2) = 1 이므로 G= 1/(1-H1-H2) 가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2.0]
68.
특성 방정식의 모든 근이 s 복소평면의 좌반면에 있으면 이 계는 어떠한가?
1.
안정
2.
준안정
3.
불안정
4.
조건부 안정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좌반면에 있을때 이 시스템은 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마틴]
69.
그림의 회로는 어느 게이트(gate)에 해당되는가?
1.
OR
2.
AND
3.
NOT
4.
NOR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X점이 접지값과 가까운 0 전위 이므로 A ,B 양쪽 중 어느 한곳에 값이 주어지더라도 동작하므로 OR가 된다. 다이오드 방향이 둘다 역방향이면 AND가 된다. [해설작성자 : 2.0]
70.
전달함수가 로 주어진 시스템의 단위 임펄스 응답은?
1.
y(t)=1-t+e-t
2.
y(t)=1+t+e-t
3.
y(t)=t-1+e-t
4.
y(t)=t-1-e-t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헤비사이드로 풀수있는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입니다. [해설작성자 : 로니콜먼]
G(s) = A/s + B/(s+1) + C/(s^2) = 1/(s^2*(s+1)) A = -1, B = 1, C = 1 역변환 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기시러ㅓㅓㅓ]
71.
다음과 같은 회로망에서 영상파라미터(영상전달정수) θ는?
1.
10
2.
2
3.
1
4.
0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KVL로 방정식 구하고 연립해서 4단자 정수 구하면 -1 :0 -1/300:-1 영상파라미터는 I2가 반대 기준이라 -1 :0 -1/300:1 (세타) = ln(sqrt(AD)+sqrt(BC)) 에 대입하면 세타는 0 [해설작성자 : ㅇㅇ??]
대칭회로 영상 파라미터 = 0 [해설작성자 : 된장민]
72.
△결선된 대칭 3상 부하가 있다. 역률이 0.8(지상)이고 소비전력이 1800W이다. 선로의 저항 0.5Ω에서 발생하는 선로 손실이 50W이면 부하단자 전압[V]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R/L = 1/RC R^2 *C = L R = 루트(L/C) = 300 이므로 답은 3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2.0]
75.
분포정수 회로에서 직렬 임피던스를 Z, 병렬 어드미턴스를 Y라 할 때, 선로의 특성임피던스 Z0는?
1.
ZY
2.
√ZY
3.
4.
정답 : [
4
] 정답률 : 76%
76.
다음과 같은 회로의 공진시 어드미턴스는?
1.
RL/C
2.
RC/L
3.
L/RC
4.
R/LC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분모 유리화 할 때 R이 아니라 R^2이 맞습니다.
LR직렬 회로 어드미턴스 부분의 분모 분자에 (R - jwL)을 곱해 유리화하면
R-jwL Y = ---------- + jwC 에서 공진하려면 허수부가 0이 되어야 하므로 R^2+(wL)^2
-wL j(---------- + wC) = 0 R^2+(wL)^2
wL ---------- = wC R^2+(wL)^2
R^2+(wL)^2 = wL/wC = L/C 가 됩니다.
그 후 허수부를 제외한 Y에 위 값을 대입하면
R R Y = ---------- = --- = RC/L (정답: 2번) R^2+(wL)^2 L/C [해설작성자 : flada]
7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 I[A]는?
1.
0.2
2.
0.5
3.
0.7
4.
0.9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원래 같으면 XL 과 XC 는 반대 관계가 맞지만 단위가 같은 옴 단위이므로 저항과 리액턴스만 있다고 구분지을 수 있다. 저항은 2옴이고 리액턴스의 옴 또한 4//4 이므로 2옴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총 임피던스는 2//2 = 1 이 된다. 전류는 1이므로 2옴과 2옴에게 반씩 들어가므로 답은 0.5 A가 된다. [해설작성자 : 2.0]
XL 값과 XC값이 동일 하므로 공진회로 이며 R만의 회로로 판단하면 0.5A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화이팅]
Y = G + j*B G = 1/R B = (1/Xc)-(1/XL) 즉 Y = 1/2 + j*{(1/4)-(1/4)} = 1/2 I = V/Z = VY (왜냐면 Z와 Y는 역수관계) 따라서 I = 1 * (1/2) = 1/2 = 0.5[A] [해설작성자 : 이걸 틀리네..]
78.
로 주어졌을 때 F(s)의 역변환은?
1.
1/2(1+et)
2.
1/2(1+e-2t)
3.
1/2(1-e-t)
4.
1/2(1-e-2t)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F(s) = A/s + B/(s+2) 일 때, A = 1/2, B=1/2 => F(s) = 1/(2s) + 1/2(s+2)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도로횡단은 6m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ㅇㅇ]
[오류신고 반론] 지선은 5m입니다 [해설작성자 : 신휘]
82.
옥내배선의 사용 전압이 400V 미만일 때 전광표시 장치 · 출퇴 표시등 기타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에 다심 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 배선의 단면적은 몇mm2 이상인가?
1.
0.75
2.
1.5
3.
1
4.
2.5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판단기준 제 168조] 저압 옥내 배선은 2.5[mm2] 이상 연동선 또는 1[mm2]이상의 MI케이블이어야 함. (단, 400[V] 미만인 경우는 다음에 의하여 시설 가능 1) 전광 표시, 출퇴 표시 등 제어 회로용 배선을 합성수지관, 금속수지관, 금속몰드, 금속덕트, 플로어 덕트 공사에 의하는 경우 : 1.5[mm2]이상 연동선 2) 전광 표시 장치 등의 배선에 과전류가 생긴 경우 자동 차단 장치를 시설한 경우 : 0.75[mm2]이상 다심 케이블 or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 3) 진열장 안에는 0.75[mm2] 이상인 코드, 캡타이어 케이블 [해설작성자 : 육삼불고기]
83.
154kV 가공 송전선로를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로 할 때 사용되는 경동연선의 굵기는 몇 mm2 이상인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제 1종 특고압 보안공사는 100kV 미만 55mm^2 100~300kV 150mm^2 300kV 초과시 250mm^2 맞습니다. 2022년 2회 95번 문제와 동일
84.
일반적으로 저압 옥내 간선에서 분기하여 전기사용기계기구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는 저압 옥내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몇 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1.
0.5
2.
1.0
3.
2.0
4.
3.0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분기회로의 시설(판단기준 제176조) 저압 옥내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ㅂㅇㄹ]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 장치의 시설(판단기준 제174조) 1. 전동기를 운전 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2.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로 보아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3. 단상전동기로써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5A (배선용 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해설작성자 : Jacky]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련규정개정, 배선용차단기는 그대로 20A, 과전류차단기는 15→16A 본 문제 정답과는 연관없습니다!참고용으로만 ㅎㅎ... [해설작성자 : 참고용...]
86.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 전선 등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어떤 종류의 보안 공사로 하여야 하는가?
1.
고압 보안공사
2.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 약전류전선 등의 공가(판단기준 제122조) 1.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에 의할 것. 2. 특고압 가공전선은 가공약전류 전선 등의 위로하고 별개의 완금류에 시설할 것. 3. 특고압 가공전선은 케이블인 경우 이외에는 인장강도 21.67kN 이상의 연선 또는 단면적이 55mm^2 이상인 경동연선일 것. 4. 특고압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 전선 등 사이의 이격거리는 2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특고압 가공전선이 케이블인 경우에는 50cm까지로 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Jacky]
87.
사용전압이 고압인 전로의 전선으로 사용할 수 없는 케이블은?
1.
MI 케이블
2.
연피 케이블
3.
비닐외장 케이블
4.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고압케이블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플,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콤바인 덕트 케이블 또는 이들에 보호 피복을 한 것을 사용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3년 11월 23일 개정으로 문제 삭제 [해설작성자 : 기사]
[추가 오류 신고] 20231121 kec 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건창]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1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8.
가로등, 경기장, 공장, 아파트 단지 등의 일반 조명을 위하여 시설하는 고압 방전등은 그 효율이 몇 lm/W 이상의 것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30
2.
50
3.
70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점멸장치와 타임스위치 등의 시설(판단기준 제177조)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을 위하여 가로등, 보안등 등으 회로에 주광센서를 설치하여야 하고, 옥외 일반 조명용 고압 방전등은 고효율(70[lm/W]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ㅂㅇㄹ]
Kec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5월15일]
KEC 2021 전문에 없는 것 확인했습니다 삭제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에듀윌은 삭제 [해설작성자 : 에듀윌문제]
89.
제1종 접지공사의 접지선의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 mm2 이상의 연동선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규정 개정]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개정으로 인하여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는 폐지되었습니다. 본 문제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하시기 바랍니다.
90.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부싱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관의 끝이 터지는 것을 방지
2.
관내 해충 및 이물질 출입 방지
3.
관의 단구에서 조영재의 접촉 방지
4.
관의 단구에서 전선 피복의 손상 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금속관 공사(판단기준 제 184조) 관의 단구에는 전선의 피복이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구조의 부싱을 사용할 것 [해설작성자 : ㅂㅇㄹ]
91.
최대 사용전압이 3.3kV인 차단기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인가?
1.
3036
2.
4125
3.
4950
4.
6600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300 * 1.5 = 4950 [해설작성자 : 종훈합격]
접지방식 최대 사용전압 시험전압 최저시험전압
비접지 7kV 이하 1.5배
7kV 초과 1.25배 10500V
중성점접지 60kV초과 1.1배 75kV
중성점직접접지 60kV초과 0.72배 170kV이하
170kV초과 0.64배
중성점다중접지 25kV이하 0.92배 [해설작성자 : 전기초보]
92.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지중전선-제3종 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코로나기사]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3.
가반형(이동형)의 용접전극을 사용하는 아크 용접장치를 시설할 때 용접 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00
2.
250
3.
300
4.
600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용접 변압기의 1차측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용접 변압기는 절연 변압기일 것 [해설작성자 : 옥궁]
94.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할 경우에는 그 매설 깊이를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적용됨)
1.
0.6
2.
1
3.
1.2
4.
1.5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2021년 변경된 KEC 규정]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공고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54조제1항제7호[공고 제2019-195호(2019. 3. 25.) 포함]의 규정은 2021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95.
사용전압이 22.9kV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그 지지물·완금류·지주 또는 지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