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2.
다음 중 산업재해의 발생 원인에 있어 간접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적 원인
2.
기술적 원인
3.
정신적 원인
4.
교육적 원인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물적원인은 인적원인과 더불어 직접원인에 해당합니다. 물적원인은 불안전한 상태를 의미하며 인적원인은 불안전한 행동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JK_천지]
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 대상 유해ㆍ위험 기계에 해당하는 것은?(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2.
이동식 국소배기장치
3.
밀폐형 롤러기
4.
산업용 원심기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2년 03월 08일 개정된 규정]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 ① 법 제93조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프레스 2. 전단기 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4. 리프트 5. 압력용기 6. 곤돌라 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 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 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 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 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법」 제3조제3호 또는 제4호에 따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에 탑재한 고소작업대로 한정한다) 12. 컨베이어 13. 산업용 로봇 ② 법 제93조제1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세부적인 종류, 규격 및 형식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관리자 입니다. 2012년 실제 출제된 문제의 1번 보기는 "이동식 크레인" 이었지만 관련규정 개정으로 인하여 1번 보기를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 으로 변경하여 중복 답안이 될수 있는 것을 방지 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다음 중 근로자가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여야 하는 안전모의 종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형
2.
AB형
3.
ABE형
4.
AE형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AB-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것 AE-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 ABE-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 [해설작성자 : 부자아빠]
안전보건관리의 조직형태 중 경영자의 지휘와 명령이 위에서 아래로 하나의 계통이 되어 신속히 전달되며 10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에 적합한 유형은?
1.
staff 조직
2.
line 조직
3.
line-staff 조직
4.
round 조직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100명 이하의 소규모 : line 형 - 100명~1000명의 중규모 : Staff 형 - 1000명 이상의 대규모 : Line - Staff [해설작성자 : 혼동하지맙소]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탱크 내 또는 환기가 극히 불량한 좁은 밀폐된 장소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근로자에게 실시하여야하는 특별안전ㆍ보건교육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안전ㆍ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은 제외한다.)
1.
환기설비에 관한 사항
2.
작업환경 점검에 관한 사항
3.
질식 시 응급조치에 관한 사항
4.
안전기 및 보호구 취급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4. 전격 방지 및 보호구 착용에 관한 사항
10.
다음 중 안전교육계획 수립시 포함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교재의 준비
2.
교육기간 및 시간
3.
교육의 종류 및 교육대상
4.
교육담당자 및 강사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안전교육계획 수립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들: 교육의 목표 교육의 종류 및 대상 교육의 과목 및 내용 교육장소 및 방법 교육기간 및 시간 교육담당자 및 강사 소요예산계획 [해설작성자 : 공부중]
11.
다음 중 재해통계에 있어 강도율이 2.0 인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건의 재해로 인해 전제 작업비용의 2.0%에 해당하는 손실이 발생하였다.
2.
근로자 1000명당 2.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3.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4.
근로시간 1000시간당 2.0일의 근로손실이 발생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도수율 = 재해 강도율 = 근로손실 [해설작성자 : 하기]
12.
다음 중 집단에서의 인간관계 메커니즘(Mechanism)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동일화, 일체화
2.
커뮤니케이션, 공감
3.
모방, 암시
4.
분열, 강박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역할학습 [해설작성자 : 하기]
집단에서의 인간관계 매커니즘의 종류에는 모방,암시,커뮤니케이션,동일화,일체화,공감,역할학습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hwk]
13.
교육심리학의 기본이론 중 학습지도의 원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관의 원리
2.
개별화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4.
계속성의 원리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직관의 원리: 구체적 사물을 제시하거나 경험시킴으로써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시청각 교육의원리 자기활동의 원리: 학습지도는 내적 동기가 유발된 학습을 시켜야한다는 원리 개별화의 원리: 학습자 자신의 요구와 능력 등에 알맞은 학습활동의 기회를 마련하여 주어야 한다는 원리 사회화의원리: 공동학습을 통해서 협력적이고 우호적인 학습을 통해 사회화를 돕는 원리 [해설작성자 : 이태원존잘러]
14.
안전교육방법 중 동기유발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책임
2.
참여
3.
성과
4.
회피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인정, 안정, 기회 [해설작성자 : 하기]
15.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에 있어 Touch and call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현장에서 팀 전원이 각자의 왼손을 맞잡아 원을 만들어 팀 행동목표를 지적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2.
현장에서 그때 그 장소의 상황에서 즉응하여 실시하는 위험예지활동으로 즉시즉응법이라고도 한다.
A 사업장에서 사망이 2건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에서 경상 재해는 몇 건이 발생하겠는가? (단,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을 따른다.)
1.
30건
2.
58건
3.
60건
4.
600건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재해구성비율 1:29:300 적용
19.
안전교육 중 프로그램 학습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쉽게 알 수 있다.
2.
지능, 학습속도 등 개인차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3.
매 반응마다 피드백이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다.
4.
여러 가지 수업 매체를 동시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프로그램 학습의 장단점 1. 장점 - 기본개념학습이나 논리적인 학습에 유리 - 개인차를 고려 - 수업의 모든 단계에 적용가능 - 학습이 가능한 시간대의 폭이 넓다 - 피드백 가능 - 학습과정을 쉽게 알 수 있다 2.단점 - 개발된 프로그램 자료는 변경이 어렵다 - 개발비가 많이 들고 제작과정이 어렵다 - 교육 내용이 고정됨 - 학습에 많은 시간이 걸림 - 집단 사고의 기회가 없음 [해설작성자 : ㅇㅇ]
20.
다음 중 시몬즈(Simonds)의 재해손실비용 산정 방식에 있어 비보험코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문제 해설> 개량보전:cm이라하고 기기부품의 수명연장 수리시간단축에 대한 개량대책세우는 방법 사후보전: 유해한 성능저하 이후에 수리하는 보전방식 보전예방:계획 설계하는 단계에서 보전정보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신뢰성 보전성 경제성 조작성 안정성등을 고려하여 보전불요의설비를 목표로함 예방보전: 설비의 건강상태유지 그리고 열화방지위한 정기검사 또는 설비진단
수평 작업대에서의 정상작업영역은 상완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에서 전완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4.
수평 작업대에서의 최대작업영역은 다리를 고정시킨 후 최대한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 인체측정기등으로 측정 2. 최소집단치 4. 전완과 상완을 곧게 펴서 파악할수있는 구역 최대 작업영역 [해설작성자 : 하기]
29.
체계 설계 과정의 주요 단계가 다음과 같을 때 인간ㆍ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 인간성능 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등의 활동을 하는 단계는?
1.
체계의 정의
2.
기본 설계
3.
계면 설계
4.
촉진물 설계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목표 및 성능 명세 결정-목적, 존재이유 체계의 정의-목적달성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수행 기본 설계-인간ㆍ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의 기능 할당, 인간성능 요건 명세, 직무분석, 작업설계 등의 활동 계면 설계-인간과 기계가 만나는 면 촉진물 설계-만족스러운 인간 성능을 증진시킬 보조물설계 시험 및 평가-계획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해설작성자 : 순자첫째언니]
30.
다음 중 path s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 것이다.
2.
Top 사상을 발생시키는 조합이다.
3.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pathset의 정의가 시스템이 고장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조합 1,2,4 의 경우 cutset의 설명 [해설작성자 : ㅇㅌㅇㄷㅈㅈㄹ]
31.
다음 중 휴먼에러(Human Error)의 심리적 요인으로 옳은 것은?
1.
일이 너무 복잡한 경우
2.
일의 생산성이 너무 강조될 경우
3.
동일 형상의 것이 나란히 있을 경우
4.
서두르거나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을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심리적 요인 의욕 결여, 일에 대한 지식부족, 체험이 습관적으로 되어있는 경우 [해설작성자 : 하기]
32.
다음 중 정량적 자료를 정성적 판독의 근거로 사용하는 경우로 볼 수 없는 것은?
1.
미리 정해 놓은 몇 개의 한계범위에 기초하여 변수의 상태나 조건을 판정할 때
2.
목표로 하는 어떤 범위의 값을 유지할 때
3.
변화 경향이나 변화율을 조사하고자 할 때
4.
세부 형태를 확대하여 동일한 시각을 유지해 주어야 할 때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정량적 자료를 정성적 판독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 1. 변수의 상태나 조건이 미리 정해놓은 몇 개의 범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판독할 때 ex) 라디오의 다이알 계기판 2. 바람직한 어떤 범위의 값을 유지하려고 할 때 ex) 자동차의 시속을 50~60으로 유지하려고 할 때 3. 변화추세나 율을 관찰하고자 할 때 ex) 비행고도의 변화율을 볼 때 [해설작성자 : ㅇㅇ]
33.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기호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억제 게이트
2.
부정 게이트
3.
생략사상
4.
전이기호
정답 : [
1
] 정답률 : 68%
34.
다음 중 결함위험분석(FHA, fault hazard analysis)의 적용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PHA 3.FHA [해설작성자 : 하기]
35.
화학설비의 안전성 평가단계 중 “관계 자료의 작성준비”에 있어 관계 자료의 조사항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입지에 관한 도표
2.
온도, 압력
3.
공정기기목록
4.
화학설비 배치도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온도, 압력은 정량적인 평가항목에 해당
<관계자료조사항목> - 입지조건 - 화학설비 배치도 - 건조물의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 - 공정계통도 - 운전 요령 - 요원 배치 계획 - 배관이나 계장 등의 계통도 - 제조 공정상 일어나는 화학반응 - 원재료,중간체,제품 등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정성적 평가항목> 입지조건,공장 내의 배치, 소방설비, 공정기기, 수송저장, 원재료,중간체,제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는 해설과 다르게 mm가아닌 m로 표시되있음 [해설작성자 : 에어컨]
[오류신고 반론] D 의 지름 값은 mm값을 넣어야 RPM의 각속도가 곱해져 원주속도 M/Min이 나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연삭 숫돌의 지름(N)=원주속도(V)*1000/파이*연삭숫돌 지름(D) 로 계산을 진행하게 되면 (250*1000)/(3.14*(20*10) 의 게산식이 나오게 됩니다. 이 계산식으로 계산을 하였을 떄, 397.89가 아닌 398.09 가 나오게 되어서 정답이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오류신고 반론] 1000v 1000X 250 -------- = --------- = 정답 나옵니다 3.14 X D 3.14X 20
기계설비가 이상이 있을 때 기계를 급정지시키거나 방호장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과 전기회로를 개선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거나 별도의 완전한 회로에 의해 정상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1.
구조부분 안전화
2.
기능적 안전화
3.
보전작업 안전화
4.
외관상 안전화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오작동 방지, 정상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기능적 안전화 외관상 안전화 : 덮개 설치 안전색체 사용 등 기능적 안전화 : 전압 강하에 따른 오작동 방지, 정전 및 단락에 따른 오작동 방지, 사용 입력 변동시 등의 오작동 방지 구조부분 안전화 : 설계상의 결함 방지, 재료의 결함 방지, 가공 결함 작업의 안전화 보수유지의 안전화 : 보전성 향상 위한 고려사항 표준화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4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크레인에 전용 탑승설비를 설치하고 근로자를 달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에 종사시킬 경우 근로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해야할 조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승차석 외의 탑승 제한
2.
안전대나 구명줄의 설치
3.
탑승설비의 하강시 동력하강방법을 사용
4.
탑승설비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번이 맞는 이유: 전용 탑승설비 설치로 인한 승차자 이외의 작업자가 탑승설비에 올라타서 작업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조치사항입니다. 3번이 틀린 이유: 전용 탑승설비의 경우 탑승설비위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임으로 하강시 동력하강방법으로 안전하게 내려야 합니다.
[추가 해설] 크레인의 전용 탑승설비는 한전에서 전선 보수하면서 타는 것과 사다리차 같은 형태이거나 간판 설치 하는 작업자들이 타는 네모난 판에 안전 난간있는 형태 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보면 승차석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지정된 승차인원 수 이상으로 태우지 않는다 라거나 지정된 하중 이상의 승차인원을 태우지 않는다가 맞겠네요 [해설작성자 : 노가더]
먼저해주신 해설을보고 이해가 안가 법령 뒤져보고 추가합니다. 문제에 전용 탑승설비를 설치했다라는 가정이 붙었기때문에 승차석이 생긴것으로 이해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크레인의 구조로 보았을때 승차석이라함은 운전석이고 운전석이외에 사람을 태우지 못한다는 규정은 상기 전용탑승설비를 만든것과는 별개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 202조 승차석외 탑승금지에따라 상시 적용되는 부분이므로 위 사항에서는 적합하지않은 답으로 1번이 되는것같습니다.(상시적용되기때문) [해설작성자 : 이문제맨날틀림]
49.
다음 그림과 같은 연삭기 덮개의 용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원통연삭기, 센터리스연삭기
2.
휴대용 연삭기, 스윙연삭기
3.
공구연삭기, 만능연삭기
4.
평면연삭기, 절단연삭기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60도 이내 : 상부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탁상용 연삭기 125도 이내 : 일반연삭작업 등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탁상용 연삭기 150도 이내 : 평면연삭기, 절단 연삭기 180도 이내 : 원통,공구,휴대용,스윙,스라브 연삭기 [해설작성자 : msoh]
50.
재료의 강도시험 중 항복점을 알 수 있는 시험의 종류는?
1.
압축시험
2.
충격시험
3.
인장시험
4.
피로시험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항복점 : 인장시험에서 일정한 크기의 외력에서 그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변형이 커지는 현상(항복)이 일어나고, 재료가 파괴돔 이 과정에서 급격히 변형이 증대되기 시작하는 점을 항복점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51.
SPM(stroke per minute)이 100 인 프레스에서 클러치 맞물림 개소수가 4인 경우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설치거리는 얼마인가?
<문제 해설> *와전류비파괴검사법의 특징 - 자동화 및 고속화가 가능 - 가는선, 얇은 판의 경우도 검사 가능 - 표면 아래 깊은 위치에 있는 결함은 검출이 곤란 - 도체에 교류를 통한 코일을 접근시켰을 때 결함이 존재하면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이나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한 검사. [해설작성자 : 깜까미]
4과목 : 전기위험방지기술
61.
활선 작업시 필요한 보호구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무장갑
2.
안전화
3.
대전방지용 구두
4.
안전모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대전방지용 구두는 정전기방지이다 [해설작성자 : 마이쿠키]
62.
최고표면온도에 의한 폭발성가스의 분류와 방폭전기 기기의 온도등급 기호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인입개폐기(LS)를 개방하지 않고 전등용 변압기 1차측 COS만 개방 후 전등용 변압기 접속용 볼트 작업 중 동력용 COS에 접촉, 사망한 사고에 대한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인입구 개폐기 미개방한 상태에서 작업
2.
동력용 변압기 COS 미개방
3.
안전장구 미사용
4.
전등용 변압기 2차측 COS 미개방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차측 개방시 2차측은 의미없음 [해설작성자 : ㅇㅌㅇㄷㅈㅈㄹ]
75.
정전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전기의 제전 효율은 설치시에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50% 이상
2.
70% 이상
3.
90% 이상
4.
100%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제전기 설치위치> 1. 온도가 150도 이상, 상대습도 80%이상은 피할것 2. 정전기 발생원으로 부터 5cm~20cm 정도 떨어진 거리일것 3. 오물이 묻기 쉬운장소는 피할것 4. 제전효율이 90%되는 위치일것 [해설작성자 : 잇힝맨]
76.
다음 중 전격의 위험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통전 전류가 크고, 주파수가 높고, 장시간 흐를수록 위험하다.
2.
통전 전압이 높고, 주파수가 높고, 인체 저항이 낮을수록 위험하다.
3.
통전 전류가 크고, 장시간 흐르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를수록 위험하다.
4.
통전 전압이 높고, 인체저항이 높고, 인체의 주요한 부분을 흐를수록 위험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차적 감전위험요소 및 영향력 통전전류크기>통전시간>통전경로>전원의 종류 (직류보다 교류가 더 위험) [해설작성자 : 남돌]
통전전류의 크기>통전시간>통전경로>전원의종류(교류>직류)>주파수 및 파행 [해설작성자 : 팬더]
77.
점전하가 절연유 속에 있는 경우 전계의 세기는 어떻게 변하겠는가? (단, ℇo는 진공의 유전율이며, ℇs는 비유전율이다.)
1.
변화가 없다.
2.
1/(ℇs)로 작아진다.
3.
ℇs 배로 커진다.
4.
ℇoℇs 배로 커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F = 1 / (4*pi*ε) * (q1 * q2 /r^2)
[추가 해설] -전하가 자유공간이 아니라 절연유 속에 있는 경우, 전계의 세기는 비유전율에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혼동하지맙소]
78.
변압기의 중성점을 제2종 접지한 수전전압 22.9kV, 사용전압 220V인 공장에서 외함을 제3종 접지공사를 한 전동기가 운전 중에 누전되었을 경우에 작업자가 접촉될 수 있는 최소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1선 지락전류:10A, 제3종 접지저항:30Ω, 인체저항:10000Ω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문제 해설> 복합비료 제조업은 해당 되나 ( 단순혼합 또는 배합에 의한 경우는 제외 ) [해설작성자 : wooyachi]
94.
다음 중 혼합위험성인 혼합에 따른 발화위험성 물질로 구분되는 것은?
1.
에탄올과 가성소다의 혼합
2.
발연질산과 아닐린의 혼합
3.
아세트산과 포름산의 혼합
4.
황산암모늄과 물의 혼합
정답 : [
2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발연질산 : 갈색 연기 내는 질산 6류 / 아닐린 4류 3종 위험물 4류와 6류는 혼합 시 위험하다. [해설작성자 : ㅇㅇ]
95.
고압가스 용기 파열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용기의 내압력(耐壓力) 부족이다. 다음 중 내압력 부족의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용기 내벽의 부식
2.
강재의 피로
3.
과잉 충전
4.
용접 불량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과잉 충전 : 용기 내의 압력상승 [해설작성자 : 하기]
96.
다음 중 부탄의 연소시 산소농도를 일정한 값 이하로 낮추어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때 첨가하는 물질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질소
2.
이산화탄소
3.
헬륨
4.
수증기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헬륨,이산화탄소,질소는 불연성 가스로 산소 농도를 일정 이하로 낮추어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팬더]
97.
다음 중 폭발성 물질로 분류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물질은?
1.
N2H4
2.
CH3COCH3
3.
n-C3H7OH
4.
C2H5OC2H5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위험물질 ->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모두 [별표 1]) 하지만 "폭발물"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만 있음. 1.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가. 질산에스테르류 나. 니트로화합물 다. 니트로소화합물 라. 아조화합물 마. 디아조화합물 바. 하이드라진 유도체 사. 유기과산화물 아. 그 밖에 가목부터 사목까지의 물질과 같은 정도의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 자. 가목부터 아목까지의 물질을 함유한 물질 [해설작성자 : iykim71]
1. 하이드라진 2. 아세톤 3. n-이소프로필알코올 4. 디에틸에테르 [해설작성자 : 지금은 오전 1시 33분]
다음 중 금속의 용접ㆍ용단 또는 가열에 사용되는 가스 등의 용기를 취급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밸브의 개폐는 서서히 할 것
2.
운반할 때에는 환기를 위하여 캡을 씌우지 않을 것
3.
용기의 온도를 섭씨 40℃ 이하로 유지할 것
4.
용기의 부식ㆍ마모 또는 변형상태를 점검한 후 사용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운반할땐 캡 꼭 씌워야함 [해설작성자 : tjsgkr2002]
101.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중에는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 동바리 등을 해체할 것
4.
거푸집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보강조치 없이 즉시 해체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제334조(콘크리트의 타설작업) 사업주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동바리등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2. 작업 중에는 거푸집동바리등의 변형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하여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4.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등을 해체할 것 5.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 것 [해설작성자 : KIIK]
최대제한속도가 시속 10km를 초과하는 차량계 건설 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준수하도록 할 것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 및 버킷 등의 하역 장치를 가장 높은 위치에 둘 것
3.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적재할 것
4.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승차석이 아닌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키지 말 것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 차량계 건설기계의 운전자가 운전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해당 운전자로 하여금 포크 및 버킷 등의 하역 장치를 지면 위치에 둘 것 [해설작성자 : tjsgkr2002]
107.
터널공사시 인화성 가스가 농도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동경보장치의 작업 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계기의 이상유무
2.
발열 여부
3.
검지부의 이상유무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작업시작전이니까 발열발생 X [해설작성자 : 가을안부]
108.
다음은 말비계 조립 시 준수사항이다. ( )에 알맞은 수치는?
1.
① 55, ② 20
2.
① 65, ② 30
3.
① 75, ② 40
4.
① 85, ② 50
정답 : [
3
] 정답률 : 72%
109.
터널 지보공을 조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 조치하여야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재(主材)를 구성하는 1세트의 부재는 동일 평면내에 배치할 것
2.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 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할 것
3.
기둥에는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목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할 것
4.
강(鋼)아치 지보공의 조립은 연결볼트 및 띠장 등을 사용하여 주재 상호간을 튼튼하게 연결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부재의 긴압정도가 균등하게 되도록 [해설작성자 : 대롱이]
. 목재의 터널 지보공은 그 터널 지보공의 각 부재의 긴압 정도가 위치에 따라 차이나도록 할 것 차이가 나게되면 약한부분만 밀도가 약해져 그 부분만 균열이생기기 쉬움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110.
다음 중 터널공사에서 발파작업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과 한곳으로 통합하여 관리
2.
동력선은 발원점으로부터 최소한 15m 이상 후방으로 옮길 것
3.
지질, 암의 절리 등에 따라 화약량 검토 및 시방기준과 대비하여 안전조치 실시
4.
발파전 도화선 연결상태, 저항치 조사 등의 목적으로 도통시험 실시 및 발파기의 작동상태를 사전에 점검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발파용 점화회선은 타동력선 및 조명회선으로부터 분리 한다. [해설작성자 : 악동]
111.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
1.
베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베인 테스트 : 보링 구멍을 이용하여 십자 날개형의 베인 테스터를 지반에 박고 이것을 회전시켜 그 회전력에 의하여 점토의 점착력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남돌]
사질토(모래) = 표준관입시험(SPT) 점토 = 베인 테스트 [해설작성자 : ㅈㅅㅇ바보]
112.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는 권상장치 드럼폭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배
2.
8배
3.
10배
4.
15배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번째 도르래의 축과의 거리를 드럼폭의 15배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참고>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안전조치 1.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때에는 버팀대는 3개이상 2. 버팀줄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대에는 버팀줄을 3줄이상 3.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5이상 4. 권상용 와이어로프는 권상장치의 드럼에 적어도 2회 감기고 남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일 것 5. 도르래는 권상장치의 드럼의 중심을 지나야 하며 축과 수직면상에 있어야 함 [해설작성자 : ㅇㅇ]
113.
화물을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 등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킬로그램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 또는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의 지휘자가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
가설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폭 및 강도와 적당한 경사를 확보할 것
4.
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은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하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제177조(싣거나 내리는 작업) 사업주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에 단위화물의 무게가 100킬로그램 이상인 화물을 싣는 작업(로프 걸이 작업 및 덮개 덮기 작업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또는 내리는 작업(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하는 경우에 해당 작업의 지휘자에게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작업순서 및 그 순서마다의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을 지휘할 것
2. 기구와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할 것
3. 해당 작업을 하는 장소에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할 것
4. 로프 풀기 작업 또는 덮개 벗기기 작업은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멋진 승빈 아빠]
114.
다음은 달비계 또는 높이 5미터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숫자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제57조(비계 등의 조립ㆍ해체 및 변경) ① 사업주는 달비계 또는 높이 5미터 이상의 비계를 조립ㆍ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근로자가 관리감독자의 지휘에 따라 작업하도록 할 것
2. 조립ㆍ해체 또는 변경의 시기ㆍ범위 및 절차를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주지시킬 것
3. 조립ㆍ해체 또는 변경 작업구역에는 해당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할 것
4. 비, 눈,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지시킬 것
5. 비계재료의 연결ㆍ해체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폭 20센티미터 이상의 발판을 설치하고 근로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6. 재료ㆍ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근로자가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하게 할 것
② 사업주는 강관비계 또는 통나무비계를 조립하는 경우 쌍줄로 하여야 한다. 다만, 별도의 작업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경우에는 외줄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115.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방호장치의 이상유무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4.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1.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및 브레이크장치 등 방호장치를 부착하고 유효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미리 조정하여 두어야 한다. 2. 안전밸브를 설치할 것. 3. 해지장치를 사용할 것. 4. 하중시험을 실시한 때 또는 크레인에 정격하중을 초과하는 하중을 걸어서 사용한 때에는 그 결과를 기록하고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snwnd]
116.
발파구간 인접 구조물에 대한 피해 및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물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로 옳은 것은? (단 아파트일 경우임)
1.
0.2 cm/sec
2.
0.3 cm/sec
3.
0.4 cm/sec
4.
0.5 cm/sec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문화재 0.2 아파트 0.5 상가 1.0 철골콘크리트 빌딩 및 상가 1.0-4.0 [해설작성자 : ㅇㅌㅇㄷㅈㅈㄹ]
117.
다음의 토사붕괴 원인 중 외부의 힘이 작용하여 토사 붕괴가 발생되는 외적요인이 아닌 것은?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하중의 증가
3.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
4.
함수비 증가로 인한 점착력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토석붕괴의 외적 원인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3. 공사에 의한 진동 및 반복 하중의 증가 4. 지표수 및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 중량의 증가 5. 지진, 차량, 구조물의 하중작용 6. 토사 및 암석의 혼합층 두께 [해설작성자 : 제발따자]
118.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지점에 설치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1.5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난간대 지름 2.7(cm) 이상 [해설작성자 : hyeon93]
119.
굴착작업 시 굴착깊이가 최소 몇 m 이상인 경우 사다리, 계단 등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m
2.
2.5m
3.
3.5m
4.
4.5m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굴착깊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는 사다리, 계단 등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함 [해설작성자 : ㅇㅇ]
120.
높이 또는 깊이 2m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에 필수적으로 지급되어야 하는 보호구는?
1.
안전대
2.
보안경
3.
보안면
4.
방열복
정답 : [
1
] 정답률 : 8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①
④
③
①
③
①
②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④
④
①
②
②
②
④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①
②
④
④
④
③
②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④
①
③
②
④
①
④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②
③
③
①
③
②
①
④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③
①
②
④
④
②
③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③
①
③
①
④
③
②
②
②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④
②
③
④
③
③
②
②
②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①
④
③
②
①
①
②
①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③
④
②
③
④
①
②
③
②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④
③
①
③
④
②
②
③
②
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①
④
③
②
②
④
④
③
①
①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