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의 교육 내용에 해당 되지 않은 것은? (단,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1.
작업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2.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작업 공정의 유해 위험과 재해 예방 대책 2. 표준안전 작업방법과 지도요령 3.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4. 유해.위험 작업환경 관리 5.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 [해설작성자 : 머기업러버]
2.
다음 중 데이비스(K. Davis)의 동기부여 이론에서 인간의 성과(human performance)를 가장 적합하게 나타낸 것은?
1.
지식(knowledge) × 기능(skill)
2.
기능(skill) × 상황(situation)
3.
상황(situation) × 태도(attitude)
4.
능력(ability) × 동기유발(motivation)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지식X기능=능력 2.상황X태도=동기유발 3.능력X동기유발=인간의 성과 4.인간의성과X물질의 성과=경영의 성과
3.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타인의 의견에 대하여 장, 단점을 표현할 수 있다.
2.
발언은 순서대로 하거나, 균등한 기회를 부여한다.
3.
주제와 관련이 없는 사항이라도 발언을 할 수 있다.
4.
이미 제시된 의견과 유사한 사항은 피하여 발언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 1.비판금지 - 좋다 나쁘다 등의 비평을 하지 않는다. 2.자유분방 - 편안한 마음으로 자유롭게 발언한다. 3.대량발언 - 어떤 내용이든지 많이 발언한다. 4.수정발언 - 타인의 아이디어에 수정하거나 덧붙여 발언해도 좋다. [해설작성자 : 맞대기용접사]
4.
안전관리를 “안전은 ( ① )을(를) 제어하는 기술”이라 정의할 때 다음 중 ①에 들어갈 용어로 예방 관리적 차원과 가장 가까운 용어는?
1.
위험
2.
사고
3.
재해
4.
상해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전에서 제어란 위험이 사고로 바뀔수 있는 경로를 찾이내어 사고로 되지 않도록 하는 과학- 기술, 관리적으로 제거한다.
5.
다음 중 산업재해 통계의 활용 용도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제도의 개선 및 시정
2.
재해의 경향파악
3.
관리자 수준 향상
4.
동종업종과의 비교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산업재해 통계의 활용도 1. 제도의 개선 및 시행 2. 재해의 경향 파악 3. 동종업종과의 비교 [해설작성자 : 어허]
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의무안전인증 대상 기계ㆍ기구 및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연삭기
2.
압력용기
3.
롤러기
4.
고소(高所) 작업대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프레스/절단기 및 절곡기/크레인/리프트/압력용기/롤러기/ 사출성형기/고소 작업대/곤돌라/기계톱
연삭기 - 자율안전확인대상 이다. [해설작성자 : 마이쿠키]
2020년부터 기계톱 삭제 [해설작성자 : 안전손]
7.
다음 중 인간의 행동특성에 관한 레빈(Lewin)의 법칙 “B=f(PㆍE)” 에서 P에 해당되는 것은?
1.
행동
2.
소질
3.
환경
4.
함수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B: Behavior(인간의 행동) P: Person(개인:연령,경험,심신상태,성격,지능,소질) E: environment(심리적 환경-인간관계,작업환경) f: function 함수관계(적성,기타P와E에 영향을 주는 조건)
8.
[표]는 A작업장을 하루 10회 순회하면서 적발된 불안전한 행동건수이다. A작업장의 1일 불안전한 행동률은 약 얼마인가?
1.
0.07%
2.
0.7%
3.
7%
4.
70%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불안전한 행동 적발건수 1+2+1+2+1 불안전한 해동률 = ---------------------------- x100 = ------------x100 = 0.7% 순회횟수 x 근로자수 10x100
9.
다음 중 산업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보기]의 각 단계를 긴급처치의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
① → ④ → ② → ⑤ → ③ → ⑥
2.
② → ① → ④ → ⑤ → ③ → ⑥
3.
④ → ① → ⑤ → ② → ③ → ⑥
4.
⑤ → ① → ④ → ③ → ② → ⑥
정답 : [
3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긴급조치 순서 > 1. 가해기계 정지 2. 피해자 응급조치 3. 관계자에게 통보(인적, 물적 손실 함께 통보) 4. 2차 재해 방지 5. 현장 보존해설 <재해발생 시 조치 순서> 긴급조치 => 지해조사 => 원인분석 => 대책 수립 => 실시 => 평가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초보]
10.
다음 중 리더의 행동스타일 리더십을 연결시킨 것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부하 중심적 리더십 - 치밀한 감독
2.
직무 중심적 리더십 - 생산과업 중시
3.
부하 중심적 리더십 - 부하와의 관계 중시
4.
직무 중심적 리더십 - 공식권한과 권력에 의존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치밀한 감독은 직무 중심적 리더십 [해설작성자 : 이정석]
11.
안전교육의 내용에 있어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안전지식의 교육
2.
안전기능의 교육
3.
문제해결의 교육
4.
안전태도의 교육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안전지식의 교육 : 인간의 감각에 의해 위험성을 직접 감지할 수 없는 특수 위험성이 있는 것. - 언전태도의 교육 : 안전 기능을 체득하고 숙련도가 상승했다고 해도, 이것을 하고 아니하고는 개인의 자유의지에 의해 지배되는 것.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12.
기업 내 정형교육 중 TWI(training within industry)의 교육 내용에 있어 직장 내 부하 직원에 대하여 가르치는 기술과 관련이 가장 깊은 기법은?
고농도는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2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중농도는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1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3.
저농도는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0.5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긴급용이 아닌 것을 말한다.
4.
고농도와 중농도에서 사용하는 방독마스크는 전면형(격리식, 직결식)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고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2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암모니아는 100분의 3) 중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1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암모니아는 100분의 1.5) 저농도 및 최저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0.1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긴급용이 아닌 것 [해설작성자 : 맞대기용접사]
14.
기술교육의 형태 중 존 듀이(J.Dewey)의 사고과정 5단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추론한다.
2.
시사를 받는다.
3.
가설을 설정한다.
4.
가슴으로 생각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단계 :시사를받는다 2단계 :머리로생각한다 3단계 :가설을 설정한다 4단계 :추론한다 5단계 :행동의 의하여 가설을 검토한다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15.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에 있어 안내표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들것
2.
비상용기구
3.
출입구
4.
세안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출입구:X 비상구:○
16.
다음 중 인간의 착각현상에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도운동
2.
잔상운동
3.
자동운동
4.
유선운동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자동운동 : 암실에서 정지된 소광점을 응시하면 광점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해설작성자 : 홀트킹]
1. 라인형 : 100명이하 소규모 기업에 적합 수직적으로 이루어진 조직 장 점 : 안전에 관한 지시 명령계통의 철저한 관리 안전대책의 실시간 신속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로 일원화하여 간단 명료 단 점 : 안전에 대한 기술 축적 난항 안전에대한 정보수집 및 신기술 개발 미흡 라인에 과중한 책임 전가
2. 스테프형 조직 : 100 ~ 1000명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 안전관리 업무 관장하는 스테프를 두고 안전관리 계획 조사 보고등 업무와 현장에 대한 기술 지원 장 점 : 사업장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기술연구 가능 경영자에게 조언과 자문역할 가능 안전 정보의 빠른수집 단 점 : 안전지시나 명령이 작업자에게 까지 신속, 정확하게 전달 어려움 생산부문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음 권한 다툼이나 조정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소모됨
라인-스테프형 : 대규모사업장 적합하고 라인형과 스테프형의 장점만을 채택한 형태 생산라인의 각 계측에서도 각 부서장으로 하여금 안전업무를 수행토록한 조직 장 점 : 안전에 대한 기술 및 경혐축적에 용이 사업장에 맞는 독자적인 안전개선책 강구 안전에 관한 명령과 지시는 생산라인을 통해 신속한 전달 단 점 : 명령계통과 조언의 권고적 참여의 혼동 [해설작성자 : sewoo33]
틈 5mm, 거리 5m로 거리카 매우 크므로 틈새가 실제론 직선이지만 곡선(호)이라고 볼 수 있음.
호의 길이 = 반지름 × 각도[라디안] 5×10^(-3) = 5 × 각도 따라서 각도는 3×10^(-4) [라디안] 이고 [도]로 변환해주기 위해 180/pi=57.3을 곱함. 각도 = 시각 = 3×10^(-4)×57.3=0.01719 [도] [도]를 [분]으로 바꾸기위해 60을 곱함(궁금하신 분은 도분초 검색) = 0.01719×60=1.0314 [분] 시력은 시각[분]의 역수이므로 시력=1/1.0314=약 1.0 [해설작성자 : 뀨뀨]
25.
인간-기계시스템의 설계를 6단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첫 번째 단계에서 시행하는 것은?
1.
기본설계
2.
시스템의 정의
3.
인터페이스 설계
4.
시스템의 목표와 성능명세 결정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체계 설계의 주요과정 순서 1. 목표 및 성능명세 결정 2.체계의 정의 3.기본 설계 4. 계면 설계 5. 촉진물 설계 6. 시험 및 평가 [해설작성자 : 럭래]
인간 - 기계시스템 설계과정 6가지 단계 1. 목표 및 성능명세 결정 : 시스템 설계 전 그 목적이나 존재이유가 있어야 함 2. 시스템 정의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정한 기본기능들이 수행되어야 함 3. 기본설계 : 시스템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는 단계(직무분석, 작업설계, 기능할당) 4. 인터페이스 설계 : 사용자 편의와 시스템 성능에 관여 5. 촉진물 설계 : 인간의 성능을 증진시킬 보조물 설계 6. 시험 및 평가 :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평가와 인간적인 요소 평가 실시 [해설작성자 : 강남대학교]
26.
다음 중 변화감지역(JND: Just noticeable difference)이 가장 작은 음은?
1.
낮은 주파수와 작은 강도를 가진 음
2.
낮은 주파수와 큰 강도를 가진 음
3.
높은 주파수와 작은 강도를 가진 음
4.
높은 주파수와 큰 강도를 가진 음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낮은 주파수 큰 강도 가진음은 검출이 쉬워 변화 감지역이 가장 작다 [해설작성자 : day]
27.
시스템의 수명주기 중 PHA기법이 최초로 사용되는 단계는?
1.
구상단계
2.
정의단계
3.
개발단계
4.
생산단계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단계 : 시스템 구상→시스템 정의→시스템 개발→시스템 생산→시스템 운전
- 예비 위험요인 분석(PHA) : 최초 단계의 분석 방법 - 결함 위험요인 분석(FHA) : 전체 시스템을 몇 개의 서브 시스템으로 분할 제작 할 경우, 서브 시스템이 다른 서브 시스템 및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28.
[그림]과 같은 FT도에 대한 미니멀 컷셋(minimal cut sets)으로 옳은 것은? (단, Fussell의 알고리즘을 따른다.)
<문제 해설> HAZOP에서의 전제조건 1. 동일기능의 2가지 이상 기기고장이나 사고는 일어나지 않는다. 2. 작업자는 위험상황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 3. 안전장치는 필요할 때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4. 작업자는 위험상황 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한다. 5. 장치와 설비는 설계 및 제작사야에 맞게 제작된 것으로 한다. 6. 위험의 확률이 낮지만 고가의 설비를 요구할 때는 운전원 안전교육 및 직무교육으로 대체한다. 7. 사소한 사항이라도 간과하지 않는다.
위 조건에 따르면 안전장치는 필요할 때 정상동장 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레오22]
32.
날개가 2개인 비행기의 양 날개에 엔진이 각각 2개씩 있다. 이 비행기는 양 날개에서 각각 최소한 1개의 엔진은 작동을 해야 추락하지 않고 비행할 수 있다. 각 엔진의 신뢰도가 각각 0.9이며, 각 엔진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고 할 때 이 비행기가 정상적으로 비행할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0.89
2.
0.91
3.
0.94
4.
0.98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엔진2개는 병렬, 날개2개에 엔진은 직렬 연결로 풀수있다 A= 1-(1-0.9)(1-0.9)=0.99 B= 1-(1-0.9)(1-0.9)=0.99
신뢰도 T = A * B = 0.99 * 0.99 = 0.9801 = 0.98 [해설작성자 : 사니조아]
33.
A자동차에서 근무하는 K씨는 지게차로 철강판을 하역 하는 업무를 한다. 지게차 운전으로 K씨에게 노출된 직업성 질환의 위험 요인과 동일한 위험 요인에 노출된 작업자는?
1.
연마기 운전자
2.
착암기 운전자
3.
대형운송차량 운전자
4.
목재용 치퍼(Chippers) 운전자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전신진동 : 지게차 , 대형운송차량 운전자 [해설작성자 : 위례]
34.
다음 중 인간공학에 있어 인체측정의 원칙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안전관리를 위한 자료
2.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자료
3.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료
4.
사고 예방을 위한 자료
정답 : [
2
] 정답률 : 77%
35.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 할 때에는 사업장 별로 관련 서류를 첨부하여 해당 작업 시작 며칠 전까지 해당 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는 제조업의 경우 해당 작업시작 15일전, 건설업은 공사의 착공전날까지 제출한다 [해설작성자 : msoh]
36.
다음 중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는 신체 부위의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외전
2.
외선
3.
내전
4.
내선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중신선으로부터 밖으로(외) 이동(전)하는 신체동작은 외전 외부에서부터 중심선으로 이동하는 신체동작은 내전 중심선으로부터 밖으로(외) 회전(선)하는 신체동작은 외선 외부에서부터 중심선으로 회전하는 신체동작은 내선이다 [해설작성자 : msoh]
37.
FTA에서 사용하는 다음 사상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 분석에서 좀 더 발전시켜야 하는 사상
2.
시스템의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일어날 것이 기대되는 사상
3.
불충분한 자료로 결론을 내릴 수 없어 더 이상 전개할 수 없는 사상
4.
주어진 시스템의 기본사상으로 고장원인이 분석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분석할 필요가 없는 사상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생략사상 : 사고 결과나 관련정보가 미비하여 계속 개발될 수 없는 특정 초기사상 [해설작성자 : 공부싫어함]
38.
다음 중 결함수분석법에서 path s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 것이다.
2.
Top 사상을 발생시키는 조합이다.
3.
시스템이 고장 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2.4 : 미니멀 컷셋 의 특징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39.
다음 중 적정온도에서 추운 환경으로 바뀔 때의 현상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직장의 온도가 내려간다.
2.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3.
몸이 떨리고 소름이 돋는다.
4.
피부를 경유하는 혈액 순환량이 증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피부를 경유하는 혈액 순환량이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강대경]
40.
다음 중 의자 설계의 일반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간판의 압력을 줄인다.
2.
등근육의 정적 부하를 줄인다.
3.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4.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고정된 자세로 오래 유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연상흠]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산업용 로봇의 사용 및 수리 등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로봇의 가동스위치 등에 “작업중“이라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2.
해당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작업종사자 외의 사람이 가동스위치를 조작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로봇을 운전하는 경우에 근로자가 로봇에 부딪칠 위험이 있을 때에는 안전매트 및 높이 1.8m 이상의 방책을 설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로봇의 작동범위에서 해당 로봇의 수리.검사.조정.청소.급유 또는 결과에 대한 확인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로봇의 운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그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로봇의 가동스위치를 열쇠로 잠근 후 열쇠를 별도 관리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작업 종사자만. 스위치작동가능 [해설작성자 : 조로미]
42.
다음 중 프레스 등의 금형을 부착.해체 또는 조정하는 작업을 할 때 급작스런 슬라이드의 작동에 대비한 방호장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회전축이나 베어링 등이 마모 등으로 변형되거나 회전의 불균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단속진동
2.
정상진동
3.
충격진동
4.
우연진동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정상진동은 일정한 시간 반복되는 진동으로서 회전축이나 베어링의 마모로 인한 진동도 정상진동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옥련데드]
44.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레버풀러(lever puller) 또는 체인블록(chain block)을 사용하는 경우 훅의 입구(hook mouth) 간격이 제조사가 제공하는 제품사양서 기준으로 얼마 이상 벌어진 것을 폐기하여야 하는가?
1.
3%
2.
5%
3.
7%
4.
10%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레버풀러(lever puller) 또는 체인블록(chain block)사용시 준수사항 ① 정격하중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말 것 ② 레버풀러 작업 중 훅이 빠져 튕길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훅을 대상물 에 직접 걸지 말고 피벗클램프(pivot clamp)나 러그(lug)를 연결하여 사용할 것 ③ 레버풀러의 레버에 파이프 등을 끼워서 사용하지 말 것 ④ 체인블록의 상부 훅(top hook)은 인양하중에 충분히 견디는 강도를 갖고, 정확히 지탱될 수 있는 곳에 걸어서 사용할 것 ⑤ 훅의 입구(hook mouth) 간격이 제조자가 제공하는 제품사양서 기준 으로 101%] 이상 벌어진 것은 폐기할 것 ⑥ 체인블록은 체인의 꼬임과 헝클어짐에 유의할 것 ⑦ 체인과 훅은 변형, 파손, 부식, 마모(총*E)되거나 균열된 것을 사용하 지 않도록 조치할 것 [해설작성자 : 이도준]
이송장치에서 배출장치 구분 ① 1차 가공용 송급배출장치(롤피터, 그리퍼 피드) ② 2차 가공용 송급배출장치(슈트, 다이얼피더, 푸셔피더, 트랜스피더, 프레스용 로봇) ③ 에어분사장치 ④ 오토핸드 ⑤ 리프터 3,4,5 = 순수이송장치 [해설작성자 : 이도준]
45.
다음 중 재료이송방법의 자동화에 있어 송급배출장치가 아닌 것은?
1.
다이얼피더
2.
슈트
3.
에어분사장치
4.
푸셔피더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자동 송급 배출 장치 1. 다이얼피더 2. 슈트 3. 푸시피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다음 중 아세틸렌 용접장치에서 역화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세틸렌의 공급 과다
2.
토치 성능의 부실
3.
압력조정기의 고장
4.
토치 팁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산소 과다
[추가 해설] 1.아세틸렌 가스압력이 부족할 때 [해설작성자 : 안전손]
역화시 산소 차단 과열시 아세틸렌 차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다음 중 세이퍼와 플레이너(planer)의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방책
2.
칩받이
3.
칸막이
4.
칩 브레이크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칩브레이크 : 선반의 방호장치 [해설작성자 : 불꽃노을]
48.
다음 중 방사선 투과검사에 가장 적합한 활용 분야는?
1.
변형율 측정
2.
완제품의 표면결함 검사
3.
재료 및 기기의 계측 검사
4.
재료 및 용접부의 내부결함 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 크리프 시험 2 : 경도 검사 3 : 비파괴 검사 4 : 방사선 투과 검사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49.
선반으로 작업을 하고자 지름 30mm의 일감을 고정하고, 500rpm으로 회전시켰을 때 일감 표면의 원주 속도는 약 몇 m/s인가?
스파크 화재란 지지직 접촉불량이거나 콘센트 구멍이 헐거워졋을떄 콘센트를 꼽고 뽑을때 발생하는 걸로 접촉 저항이 증가되면 꼽고 뺄때 스파크 일어나기가 쉬움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66.
고장전류와 같은 대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1.
차단기(CB)
2.
유입 개폐기(OS)
3.
단로기(DS)
4.
선로 개폐기(LS)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1. 차단기 : 부하전류, 단락전류, 고장시의 대전류를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회로보호를 주목적으로 한다. 2. 유입개폐기 :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없고, 단지 부하전류만 개폐하는데 사용한다. 3. 단로기 : 무부하 상태의 선로를 개폐하는 역활 4. 선로개폐기 : 보수 점검시 전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단로기와 비슷한 용도)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67.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 및 작동시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15mA 이하, 0.1초 이내
2.
30mA 이하, 0.03초 이내
3.
50mA 이하, 0.5초 이내
4.
100mA 이하, 0.05초 이내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정겨감도전류가 30밀리암페어 이하이고 작동시간은 0.03초이내일것 다만 정격전부하전류가 50암페어 이상인 전기기계,기구에접속되는 누전차단기는 오작동 방지를 위하여 정격감도전류는 200밀리암페어 이하 작동시간 0.1초 이내 [해설작성자 : 멀바오]
68.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 작업시 반드시 작업지휘자를 정하여야 한다. 작업지휘자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설계의 계획에 의한 시공을 관리.감독하기 위해서
2.
활선에 접근 시 즉시 경고를 하기 위해서
3.
필요한 전기 기자재를 보급하기 위해서
4.
작업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서
정답 : [
2
] 정답률 : 70%
69.
부도체의 대전은 도체의 대전과는 달리 복잡해서 폭발, 화재의 발생한계를 추정하는데 충분한 유의가 필요하다. 다음 중 유의가 필요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대전 상태가 매우 불균일한 경우
2.
대전량 또는 대전의 극성이 매우 변화하는 경우
3.
부도체 중에 국부적으로 도전율이 높은 곳이 있고, 이것이 대전한 경우
4.
대전되어 있는 부도체의 뒷면 또는 근방에 비접지 도체가 있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4.대전되어 있는 부도체의 뒷몇 또는 근방에 접지체가 있는 경우 가 옳다. [해설작성자 : 혼동하지맙소]
70.
다음 ( 가 ), ( 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10cm ㉯ 30cm
2.
㉮ 30cm ㉯ 60cm
3.
㉮ 30cm ㉯ 90cm
4.
㉮ 60cm ㉯ 120cm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고압활선 및 활선근접 작업시 조치사항 ① 절연용 보호구 착용 및 절연용 방호구 설치 ② 활선작업용 기구사용 ③ 활선작업용 장치사용 ④ 충전로에서 머리 위로 30cml 이상, 신체 또는 발아래로는 60[cm] 이상 이격시킬 것 [해설작성자 : 이도준]
71.
다음은 어떤 방폭구조에 대한 설명인가?
1.
압력방폭구조
2.
유입방폭구조
3.
안전증방폭구조
4.
본질안전방폭구조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안전증방폭구조 : 폭발 3요소인 산소, 연료, 발화원중 발화원을 제거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방식
72.
인체의 전기적 저항이 5000Ω이고, 전류가 3mA가 흘렀다. 인체의 정전용량이 0.1μF라면 인체에 대전된 정전하는 몇 μC 인가?
[추가 해설] 달지엘의 식에서 정의, 165mA 1초 간 통전 시 심실세동 위험한계를 말함 W=I^2 * R * T 이며 0.165^2 * 500 * 1 = 13.612J 이므로 답은 1번.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준.]
75.
전기기계.기구의 조작시 등의 안전조치에 관하여 사업주가 행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감전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해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은 150lx 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2.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에 대한 점검 또는 보수를 하는 때에는 전기기계.기구로부터 폭 50cm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전기적 불꽃 또는 아크에 의한 화상의 우려가 높은 600V 이상 전압의 충전전로작업에는 방염처리된 작업복 또는 난연성능을 가진 작업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4.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에 대한 점검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곤란한 때에는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작업공간 70cm 이상 확보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동학농민]
76.
다음 그림은 심장맥동주기를 나타낸 것이다. T파는 어떤 경우인가?
1.
심방의 수축에 따른 파형
2.
심실의 수축에 따른 파형
3.
심실의 휴식시 발생하는 파형
4.
심방의 휴식시 발생하는 파형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 심방수축에 따른 파형 Q-R-S: 심실수축에 따른 파형 T: 심실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시 발생하는 파형 R-R: 맥동주기 [해설작성자 : 심장은 방실방실]
77.
내압방폭구조에서 안전간극(safe gap)을 적게 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최소점화에너지를 높게 하기 위해
2.
폭발화염이 외부로 전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3.
폭발압력에 견디고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쥐가 침입해서 전선 등을 갉아먹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안전간극 = MESG(최대안전틈새) = 화염일주한계 폭발성 분위기가 형성된 표준용기의 틈새를 통해 폭발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지 않는 최대틈새로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폭발성 가스분류와 내압방폭구조의 분류와 관련이 있다.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78.
감전사고의 긴급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구출자는 감전자 발견 즉시 보호용구 착용여부에 관계없이 직접 충전부로부터 이탈시킨다.
2.
감전에 의해 넘어진 사람에 대하여 의식의 상태, 호흡의 상태, 맥박의 상태 등을 관찰한다.
3.
감전에 의하여 높은 곳에서 추락한 경우에는 출혈의 상태, 골절의 이상 유무 등을 확인, 관찰한다.
4.
인공호흡과 심장마사지를 2인이 동시에 실시할 경우에는 약 1:5의 비율로 각각 실시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1번처럼 하면 구조자도 감전 [해설작성자 : 지옥구경]
79.
의료용 전기전자(Medical Electronics) 기기의 접지방식은?
1.
금속체 보호 접지
2.
등전위 접지
3.
계통 접지
4.
기능용 접지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계통접지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되었을 때의 감전이나 화재 방지 2. 기기접지 :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되었을 때의 감전 방지 3. 지락검출용 접지 : 누전 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하게 한다. 4. 기능용 접지 : 전기 방식 설비 등의 접지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80.
가스증기위험장소의 금속관(후강)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 풀박스 또는 전기기계기구와는 몇 턱 이상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하여야 하는가?
1.
2턱
2.
3턱
3.
4턱
4.
5턱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가연성 가스가 있는 곳에 저압 옥내전기설비를 금속관 공사에 의해 시설하고 관 상호간 또는 관과 전기기계기구와는 5턱 이상의 나사조임을 접속해야한다. 금속관 공사를 함으로서 폭연성 분진 또는 화학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되어 폭발 우려가 있는곳에 시설 [해설작성자 : 원조로미]
5과목 :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81.
폭발하한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발하한계에서 화염의 온도는 최저치로 된다.
2.
폭발하한계에 있어서 산소는 연소하는데 과잉으로 존재한다.
3.
화염이 하향전파인 경우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폭발하한계는 높아진다.
4.
폭발하한계는 혼합가스의 단위 체적당의 발열량이 일정한 한계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가연성 가스의 농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3 온도상승시 폭발하한계 하강 ,폭발상한계 상승 [해설작성자 : day]
온도 증가시 폭발한계가 넓어지므로 하한계는 낮아지고 상한계는 높아짐 [해설작성자 : 회사에서 짬짬이]
82.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비등
2.
과열.과압
3.
폭발
4.
반응폭주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반응폭주가 일어나기 쉬운 공정 1. 암모니아 2차 개질로 2. 에틸렌 제조시설의 아세틸렌 수첨탑 3. 산화에틸렌 제조시설의 에틸렌과 산소와의 반응기 등 [해설작성자 : 홍어낚시꾼]
83.
메탄, 에탄, 프로판의 폭발하한계가 각각 5vol%, 3vol%, 2.5vol%일 때 다음 중 폭발하한계가 가장 낮은 것은? (단, Le Chatelier의 법칙을 이용한다.)
유독 위험성과 해당물질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중독성 - 포스겐
2.
발암성 - 골타르, 피치
3.
질식성 -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4.
자극성 -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불화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포스겐은 수분 내 사람을 사망시키는 맹독성 가스임 따라서 1번이 옳지 않음 [해설작성자 : Sappirus]
95.
단열반응기에서 100℉, 1atm의 수소가스를 압축하는 반응기를 설계할 때 안전하게 조업할 수 있는 최대압력은 약 몇 atm 인가? (단, 수소의 자동발화온도는 1075℉이고, 수소는 이상 기체로 가정하고, 비열비(r)는 1.4이다.)
1.
14.62
2.
24.23
3.
34.10
4.
44.62
정답 : [
3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T=T'*(P/P')^((r-1)/r) 위 식을 P에 대해 정리하면 P=P'*(T/T')^(r/(r-1)) 이다. T=현재온도(K) T'=초기온도(K) P=현재기압 P'=초기기압 위 문제에서 현재온도 초기온도 초기기압이 주어졌으니 위식에 대입하면 P값을 도출 가능합니다. 하지만 위 문제의 온도는 화씨이므로 이를 화씨에서 섭씨로 섭씨에서 절대온도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F=9/5*C+32 의 화씨 섭씨변환식을 사용하여 섭씨온도를 구한후 그 값에 273을 더하여 구한 캘빈온도를 위 식에 대입하면 P=(852.44/310.78)^(1.4/0.4) = 34.18 atm [해설작성자 : 럭래]
계산기 솔브 기능을 활용한 화씨를 절대온도 K로 바꾸는 방법 100화씨 = (1.8 x X도씨) + 32 => X = 37.78도씨 ---> 37.78도씨 + 절대온도 273 = 310.78K 1,075화씨 = (1.8 x X도씨) + 32 => X = 579.44도씨 ---> 579.44도씨 + 절대온도 273 = 852.44K [해설작성자 : 존스노우]
96.
다음 중 포소화설비 적용대상이 아닌 것은?
1.
유류저장탱크
2.
비행기 격납고
3.
주차장 또는 차고
4.
유압차단기 등의 전기기기 설치장소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 전기화재는 포소화설비 사용 불가 [해설작성자 : day]
전기설비는 C급 소화가 적당함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톡끼]
포 = Form 거품을 이용한 소화설비라 수계에 가까워서 전기화재에 사용하면 감전됩니다. [해설작성자 : :#]
주관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 할 경우 용접장치의 취관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안전보건규칙 제289조 1. 아세틸렌 용접장치의 취관마다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주관 및 취관에 가장 가까운 분기관마다 안전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가스용기가 발생기와 분리되어 있는 아세틸렌 용접장치에 대하여 발생가스와 가스용기 사이에 안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ㄱㅌ]
99.
다음 중 최소발화에너지가 가장 작은 가연성 가스는?
1.
수소
2.
메탄
3.
에탄
4.
프로판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최소발화에너지가 작은것 부터 큰것까지 배열하면 수소 < 프로판 < 메탄 < 에탄 순이다. [해설작성자 : 혼동하지맙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돈이 최고인세상 금속,전기,유류,일반 금 d 전 c 유 b 일 a [해설작성자 : 보라매 오키토키]
101.
와이어로프를 달비계에 사용할 때의 사용금지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이음매가 있는 것
2.
꼬인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5%를 초과하는 것
4.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것 [해설작성자 : 든다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이 두개인것 같네요. 이음매가 있으면 사용하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제 63조 (달비계의 구조)]
[오류신고 반론] 사용 금지 기준이니까 이음매가 있는 것 꼬인것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퍼센트를 초과하는 것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십퍼센트 이상인 것
그래서 답은 3번 한개가 맞음 [해설작성자 : 사탕껌젤리]
102.
물로 포화된 점토의 다지기를 하면 압축하중으로 지반이 침하하는데 이로 인하여 간극수압이 높아져 물이 배출되면서 흙의 간극이 감소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액상화
2.
압밀
3.
예민비
4.
동상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밀 : 물이 배출되면서 흙의 간극이 감소하는 현상 [해설작성자 : 뀨뀨꺄꺆]
103.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도괴를 방지하기 위한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할 경우에는 각부나 가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한다.
2.
평형추를 사용하여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평형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대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3.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3개 이상으로 한다.
4.
버팀줄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정답:4번 - 사업주는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및 항발기의 도괴 및 전도방지를 위하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제12절 건설기계 등)에 의거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ㆍ깔목 등을 사용할 것 2.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3.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4. 궤도 또는 차로 이동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해서는 불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클램프(rail clamp) 및 쐐기 등으로 고정시킬 것 5.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 3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ㆍ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6.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3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7. 평형추를 사용하여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평형추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대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것 - 굴착작업시 운반기계 등이 근로자의 작업장소로 후진하여 근로자에게 접근하거나 전락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유도자를 배치하여 운반기계 등을 유도하여야 하며, 운반기계 등의 운전자는 유도자의 유도에 따라야 한다. [해설작성자 : 왕도토리]
4. 버팀줄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가 아닌 3개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머릿속지우개]
104.
철골 조립작업에서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을 설치하기가 곤란한 경우 안전대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안전벨트 착용
2.
달줄, 달포대의 사용
3.
투하설비 설치
4.
사다리 사용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달줄 달포대 : 재료,공구,기구를 달아 올릴때 투하설비 : 3m 이상인 장소에 물체를 투하할때 철골 작업시엔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벨트 착용 [해설작성자 : MC]
105.
터널공사 시 인화성 가스가 일정 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동경보장치의 작업시작 전 점검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계기의 이상유무
2.
발열 여부
3.
검지부의 이상유무
4.
경보장치의 작동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터널작업 시 자동경부장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1.계기의 이상유무 2.검지부의 이상 유무 3.경보장치의 작동상태 [해설작성자 : MSOH]
106.
건물기초에서 발파허용진동치 규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문화재 : 0.2cm/sec
2.
주택, 아파트 : 0.5cm/sec
3.
상가 : 1.0cm/sec
4.
철골콘크리트 빌딩 : 0.1~0.5cm/sec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건물기초에서 발파허용 진동치 규제 (진동치(cm/cec) * 유적, 문화재, 컴퓨터시설물 : 0.2 * 주택, 아파트 : 0.3~0.5 * 상가 : 1.0 * 철근콘크리트 건물 및 공장 : 1.0~5.0 [해설작성자 : 왕도토리]
107.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절단하중이 200ton일 때 와이어 로프에 걸리는 최대하중의 값을 구하면? (단, 안전계수는 5임)
<문제 해설> 웰 포인트 공법 : 길이70cm외경50mm의 스트레너-여과망을 지중에 박아 펌프로 억지로 지하수를 흡수해 필요한 구역의 지하수를 양수 해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공법입니다. 특징은 수압 & middot ; 토압의 경감, 부력의 감소에 의한 지반 강도의 증가등이 올려집니다. [해설작성자 : 왕도토리]
109.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 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는 권상장치 드럼폭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배
2.
8배
3.
10배
4.
15배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권상장치 드럼폭의 15배 이상 [해설작성자 : 어허]
제216조(도르래의 부착 등) ①사업주는 항타기나 항발기에 도르래나 도르래 뭉치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부착부가 받는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는 브라켓·샤클 및 와이어로프 등으로 견고하게 부착하여야 한다. ②사업주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 간의 거리를 권상장치 드럼폭의 1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③제2항의 도르래는 권상장치의 드럼 중심을 지나야 하며 축과 수직면상에 있어야 한다. ④항타기나 항발기의 구조상 권상용 와이어로프가 꼬일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제2항과 제3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김툴툴]
110.
다음은 달비계 또는 높이 5m 이상의 비계를 조립.해체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에 대한 준수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숫자는?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 후 건설공사 중 6개월 이내마다 안전보건공단의 확인사항을 받아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유해.위험방지 계획서의 내용과 실제공사 내용이 부합 하는지 여부
2.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변경 내용의 적정성
3.
자율안전관리 업체 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제출.심사 면제
4.
추가적인 유해.위험요인의 존재 여부
정답 : [
3
] 정답률 : 73%
112.
가설통로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2.
경사는 20도 이하로 할 것
3.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4.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설통로의 구조) 사업주는 가설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다만, 계단을 설치하거나 높이 2미터 미만의 가설통로로서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다만, 작업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필요한 부분만 임시로 해체할 수 있다. 5.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6.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8미터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7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왕도토리]
113.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거푸집 모양과 형상
2.
양생 온도와 습도
3.
타설 및 다지기
4.
콘크리트 재령 및 배합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거푸집의 모양과 형상은 콘트리트의 모양에 영향을 준다. [해설작성자 : 남돌]
<문제 해설> 사다리식 통로의 설치 1) 견고한 구조로 할 것. 2) 심한 손상, 부식이 없는 재료를 사용할 것. 3) 발판의 간격은 일정하게 할 것. 4) 발판과 벽과의 사이는 15 c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할 것 5) 발판 폭은 30cm 이상으로 할 것. 6) 사다리가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7) 사다리 상단 걸처놓은 지점으로부터 60 센티미터 이상 올라가도록 할 것. 8)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 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5 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9)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할 것. 10) 다만, 고정식 사다리 통로의 기울기는 90도 이하로 하고, 그 높이가 7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바닥면으로부터 2.5 미터 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할 것. 11) 접이식 사다리 기둥은 사용시 접혀지거나 펼쳐지지 않도록 철물 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조치 할 것. [해설작성자 : 왕도토리]
116.
미리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속도 기준은?
1.
최대 제한 속도가 10km/h 이하
2.
최대 제한 속도가 20km/h 이하
3.
최대 제한 속도가 30km/h 이하
4.
최대 제한 속도가 40km/h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78%
117.
이동식 비계를 조립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승강용사다리는 견고하게 설치할 것
2.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은 250k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3.
비계의 최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4.
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도록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작업발판은 항상 수평을 유지하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난간을 딛고 작업을 하거나 받침대 또는 사다리를 사용하여 작업하도록 할 것 --> 사다리 사용X [해설작성자 : lwj]
4. 안전 난간 딛으면 안됨 [해설작성자 : 보라매끼얏호우]
118.
로드(rod).유압잭(jack)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silo공사 등에 적합한 거푸집은?
1.
메탈폼
2.
슬라이딩폼
3.
워플폼
4.
페코빔
정답 : [
2
] 정답률 : 80%
119.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크레인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은 순간 풍속이 매 초당 몇 미터를 초과할 경우인가?
1.
30m
2.
35m
3.
40m
4.
45m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순간 풍속 초당 10미터 초과 : 타워크레인의 설치 수리 점검 또는 해체작업의 중지 순간 풍속 초당 15미터 초과 : 타워크레인의 운전작업 중지 순간 풍속 초당 30미터 초과 : 옥외에 설치되어있는 주행 크레인 이탈방지 조치 순간 풍속 초당 30미터 초과하는 바람이 불거나 중진이상의 지진이 있은 후 : 옥외 양중기 각 부위 이상 점검 순간 풍속 초당 35미터 초과 : 옥외 승강기 및 건설 작업용 리프트 (지하설치 제외)에 대하여 받침의 수를 증가시키는 등 도괴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 [해설작성자 : 우직]
120.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근로자가 굴착작업을 할 경우에 바닥으로부터 천장 또는 보까지의 이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2 미터
2.
1.5 미터
3.
1.8 미터
4.
2.1 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굴착작업 시 급격한 침하로 인한 위험방지 조치 1. 침하 관계도에 따라 굴착방법 및 재하량등을 정할 것 2. 바닥으로부터 천장 또는 보까지의 높이는 1.8미터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③
①
③
①
②
②
③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③
④
③
①
④
②
④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①
③
④
④
②
①
②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④
③
②
②
①
③
③
①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④
②
④
③
①
④
④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①
②
④
③
①
①
①
②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④
③
④
④
①
②
②
④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③
②
①
②
③
②
①
②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③
④
①
④
②
④
③
①
④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②
④
①
③
④
②
②
①
①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③
②
④
①
②
④
④
②
④
②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③
②
①
③
③
①
④
②
①
③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기사,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