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쉽 : [좁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 헤드쉽 : [넓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 [해설작성자 : 핑구루구]
3.
"인체에 상해, 사망 또는 질병을 유발시키거나 장비와 시설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전혀 예상치 못한 사건 또는 일련의 사건"은 어느 것의 정의인가?
1.
재해
2.
사고
3.
직업병
4.
부주의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재해 - 안전 사고의 결과로 일어난 인명과 재산의 손실 [해설작성자 : 쏭알쏭알]
4.
A공장의 도수율이 10 이고 강도율이 1.5라고 하면 이공장의 종합재해지수는?
1.
2.74
2.
3.74
3.
3.87
4.
5.74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종합재해지수 = √(FR도수율×SR강도율
5.
50인의 상시 근로자를 가지고 있는 어느 사업장에 1년간 3건의 부상자를 내고 그 휴업 총일수가 200일이라면 강도율은 ?(단, 소수점 세째자리에서 반올림 할 것)
1.
1.01
2.
1.37
3.
2.61
4.
3.24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00X300/360 강도율= ------------ X 1000 50X2400
6.
다음 인사선발의 방법 가운데 사무직에 적용하는 것으로 "자료제시검사" 나 "리더없는 집단토의" 등의 예로서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은?
1.
면접
2.
상황연습
3.
심리검사
4.
작업표본
정답 : [
2
] 정답률 : 62%
7.
다음 중 안전교육자의 자세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1.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서 가르칠 것
2.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가르칠 것
3.
되도록 전문용어를 사용할 것
4.
중요한 것은 반복해서 가르칠 것
정답 : [
3
] 정답률 : 89%
8.
리더쉽의 유효성(有效性)을 증대시키는 1차적 요소와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리더자신
2.
추종자 집단
3.
상황적 변수
4.
조직의 규모
정답 : [
4
] 정답률 : 48%
9.
교육의 3요소 중에서 교육의 주체는?
1.
교육방법
2.
교재
3.
수강자
4.
강사
정답 : [
4
] 정답률 : 77%
10.
"피로현상은 작업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 이것은 다음 중 어떤 피로의 표식(標識)에 해당되는가?
1.
주관적 피로
2.
객관적 피로
3.
생리적 피로
4.
정신적 피로
정답 : [
3
] 정답률 : 48%
11.
하인리히의 사고 방지 대책 제3단계(분석)에서 하여야 할 내용과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안전회의 및 토론회 개최
2.
인적,물적,환경조건의 분석
3.
교육훈련및 배치 사항 파악
4.
사고기록 및 관계자료 대조확인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대책 3단계(분석) -사고원인 및 경향성 분석 -작업공정 분석 -사고기록 및 관계자료 분석 -인적,물적 환경 조건 분석 [해설작성자 : Y.nami]
12.
취급하는 기계, 설비의 구조, 기능, 성능의 개념형성을 위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교육은?
1.
문제해결교육
2.
기능교육
3.
지능교육
4.
태도교육
정답 : [
3
] 정답률 : 29%
13.
인간의 의식을 강화하고 오류를 감소하며 신속 정확한 판단과 조치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다음 어느 것인가?
1.
확인 철저
2.
환호 응답
3.
지적 환호
4.
작업표준의 교육과 훈련
정답 : [
3
] 정답률 : 36%
14.
기업내 정형교육 가운데 작업의 개선방법 및 사람을 다루는 방법, 작업을 가르치는 방법 등을 교육내용으로 하는 것은?
1.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TWI(training within industry)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twi 현장감독자 훈련법의 하나. 직책에 관한 지식, 작업에 관한 지식, 지도하는 기능, 개선하는기능, 사람을 다루는 기능 인데 지도, 개선, 사람다루는 기능을 중시하여 훈련시킨다. [해설작성자 : 김개리]
15.
다음 그림 중에서 금지표지는 어느 것인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그림을 보면 딱 답이 나오지요? 1번은 손을 대지 말라고 표시되어 있으니 정답은 1번
추가로 2번은 감전 주의, 3번은 보안경 착용 표시로 보이네요. [해설작성자 : 수험생]
16.
위험예지훈련의 진행방법에서 3R(라운드)에 해당하는 것은?
1.
목표설정
2.
본질추구
3.
현상파악
4.
대책수립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라운드 현 상파악 2라운드 본 질추구 3라운드 대 책수립 4라운드 목 표설정 (앞글자) 현-본-대-목
17.
산업안전 보건법 상 중대 재해의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가 1인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10명이상 발생한 재해
4.
식중독 및 전염성 질환이 다발로 일어난 재해
정답 : [
4
] 정답률 : 69%
18.
옛날부터 유리공 백내장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안구의 수정체에 특이한 변화를 일으켜 시력의 감퇴를 유발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시력을 잃게 된다는 유해광선의 종류는?
1.
적외선
2.
가시광선
3.
자외선
4.
X선
정답 : [
3
] 정답률 : 50%
19.
방진마스크의 선정기준 중 옳은 것은?
1.
유효공간(사용적)이 클 것
2.
분진포집(여과) 효율이 좋을 것
3.
사방시야는 50° 이상 일 것
4.
흡기저항은 낮고 배기저항은 높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64%
20.
Herzberg의 2요인 이론에 대한 설명중 올바른 것은?
1.
동기요인은 직무에 만족을 느끼는 주요인이다.
2.
동기요인은 직무 만족과 관계가 없다.
3.
위생요인은 직무에 만족을 느끼는 주요인이다.
4.
위생요인은 직무내용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system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장의 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오동작
2.
노후 고장
3.
개로 또는 개방의 고장
4.
폐로 또는 폐쇄의 고장
정답 : [
2
] 정답률 : 41%
22.
통제 표시비를 설계할 때 고려하는 여러 요소들 중 잘못 설명한 것은?
1.
계기의 조절시간이 짧게 소요되도록 계기의 크기(size)는 항상 작게 설계한다.
2.
짧은 주행 시간내에 공차의 인정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계기를 마련한다.
3.
목시거리(目示距離)가 길면 길수록 조절의 정확도는 떨어진다.
4.
통제 기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조작시간의 지연은 직접적으로 통제 표시비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통제표시비 설계시 고려사항 1) 계기의 크기 : 조절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크기, 너무 작으면 오차가 커짐. 2) 목 시 거 리 : 길수록 조절의 정확도가 떨어짐, 시간이 걸림 3) 조 작 시 간 : 조작시간이 지연되면 통제비가 커짐. 4) 방 향 성 : 계기의 방향성은 안전과 능률에 영향을 미침 3) 공 차 : 공차의 인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23.
인간이 서로 마주하는 거리는 양자간의 관계성의 정도를 표현해 준다. 다음중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사회적 거리로 적당한 것은?
1.
120-360cm
2.
360-750cm
3.
45-75cm
4.
15-45cm
정답 : [
1
] 정답률 : 54%
24.
예비위험분석에서 위험강도의 범주와 명칭이 맞게 연결된 것은?
1.
범주Ⅰ - 무시
2.
범주Ⅱ - 파국적
3.
범주Ⅲ - 한계적
4.
범주Ⅳ - 위기적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I~IV 의 순서와 내용을 정확히 암기하지 않으면 혼동하기 쉬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시스템 위험성의 심각도 분류는 I 파국(Catastropic) ~ IV 무시가능(Negligible) 순서로 범주가 클수록 약해지며 따라서 오류신고 반론이 옳고, 그 앞에 정답이 1번인 것 같다는 오류신고내용은 틀립니다.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25.
인간의 실수 중 개인능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긴장수준
2.
피로상태
3.
교육훈련
4.
자질
정답 : [
4
] 정답률 : 35%
26.
인간의 신뢰성 요인 중 경험, 지식, 기술에 의존하는 요인은?
1.
주의력
2.
긴장수준
3.
의식수준
4.
지식수준
정답 : [
3
] 정답률 : 35%
27.
고장은 기계의 신뢰를 결정한다. 불량제조나 생산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비로 생기는 고장으로 점검작업이나 시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는 고장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컷셋 : 정상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으로 그 안에 포함되는 모든 기본사상이 발생할 때 정상사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본사상의 집합 패스셋: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처음으로 정상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고장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집합)
>>정답 1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Success tree에서 정상사상이니 고장나지 않는 사상이라는 거니까 고장나지 않는 패스셋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문제 오류인듯 컷셋 : 정상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집합 모든 기본사상이 발생할 때 정상사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본사상의 집합 패스셋 : 시스템의 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기본사상들의 집합 포함된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처음으로 정상 사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 사상들의 집합 미니멀 컷셋 : 정상사상을 일으키키 위한 기본사상의 최소집합 시스템의 위험성을 나타낸다
내압방폭구조 : 전폐구조로 용기내부에서 폭발시 그 압력에 견디고 외부로부터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구조
2.
압력 방폭구조 : 용기내부에 불연성 보호체를 압입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하므로서 폭발성 가스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
3.
유입 방폭구조 : 전기기기의 불꽃, 아크 또는 고온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속에 넣어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구조
4.
안전증 방폭구조 : 정상시 및 사고시 (단선, 단락, 지락 등)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에 의하여 폭발성 가스에 점화되지 않는 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번은 본질안전방폭구조입니다. [해설작성자 : 구폴뚜벅이]
내압 방폭구조 (Ex d): 용기 내부에서 폭발성 가스나 증기가 폭발하면 용기가 압력을 견디며, 접합면과 개구부 등을 통해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주로 스위치기어, 모터, 펌프류에 사용됩니다. 압력 방폭구조 (Ex p):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신선한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의 압력을 외부 환경보다 높게 유지하여 폭발성 가스나 증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조정실, 판넬, 모터, 분석기 등에 사용됩니다. 본질안전 방폭구조 (Ex ia, Ex ib): 폭발 분위기에 노출된 기계, 기구 내의 전기에너지 권섭 상호작용에 의한 전기 불꽃이나 열 영향을 점화에너지 이하의 수준까지 제한하여 폭발성 가스에 안전한 구조입니다. 비점화 방폭구조 (Ex n): 정상 작동 및 특정 이상 상태에서 주변의 폭발성 가스나 증기에 점화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모터, 등기구, 외향류에 사용됩니다. 몰드 방폭구조 (Ex m): 폭발성 가스나 증기에 점화될 수 있는 전기 불꽃이나 고온 발생 부분을 컴파운드로 밀폐시킨 구조입니다. 기계류, 제어기, 기어류에 사용됩니다. 특수 방폭구조 (Ex s): 위에 언급한 구조 이외의 방폭구조로 폭발성 가스나 증기에 점화되지 않도록 하는 특수한 구조입니다. Gas Detector류에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가보자]
69.
차동식 분포형 열전기식 감지기의 작동원리는 2종의 금속을 양단에 결합하여 양단에 온도차를 주었을 때 기전력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원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톰슨효과(Thomson effect)
2.
제백효과(Seebeck effect)
3.
홀효과(Hall effect)
4.
핀치효과(Pinch effect)
정답 : [
2
] 정답률 : 46%
70.
전자, 통신기기 등의 전자파장해(EMI)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써 부적절한 것은?
1.
접지실시
2.
차폐, 흡수, 대책실시
3.
필터설치
4.
절연보강
정답 : [
4
] 정답률 : 37%
71.
다음중 B급 화재에 해당되는 것은?
1.
인화물질(유류)에 의한 화재
2.
전기장치에 의한 화재
3.
마그네슘등에 의한 금속화재
4.
일반 가열물에 의한 화재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A : 일반화재 B : 유류화재 C : 전기화재 D : 금속화재 [해설작성자 : ㄱㄱㄱ]
72.
정전작업시의 작업전 조치사항중 잘못된 것은?
1.
개폐기에 시건장치
2.
잔류전하의 방전
3.
절연용 방호장치의 설치
4.
단락접지 시행
정답 : [
3
] 정답률 : 19%
73.
폭발범위에 있는 가연성가스 혼합물에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전기불꽃을 주었더니 1000볼트가 되는 순간 폭발이 일어났다. 이때 사용한 전기불꽃의 콘덴서 용량은 0.1μ F을 사용하였다. 이 가스에 대한 최소발화에너지는 얼마인가?
1.
5mJ
2.
10mJ
3.
50mJ
4.
100mJ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