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소화기는 호스를 잡으면 동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손잡이를 잡고 방출시킨다.
2.
액화탄산가스가 공기중에서 이산화탄소로 기화하면 체적이 급격하게 팽창하므로 질식에 주의한다.
3.
이산화탄소는 반도체설비와 반응을 일으키므로 통신기기나 컴퓨터설비에는 사용을 해서는 안된다.
4.
이산화탄소의 주된 소화작용은 질식작용이므로 산소의 농도가 15%이하가 되도록 약제를 살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71.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스톱 밸브
2.
안전 밸브
3.
블로우 밸브
4.
긴급차단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20%
72.
자기반응성물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성물질이면서 그 자체 산소를 함유하므로 자기 연소를 일으킨다.
2.
연소속도가 대단히 빨라서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3.
가열· 마찰· 충격에 의해 폭발하기 쉽다.
4.
다량의 주수에 의한 냉각소화 또는 건조한 모래를 이용한 피복소화가 효과적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73.
화학설비에서 단위 공정 시설 및 설비간의 적당한 안전 거리는 설비의 외면으로 부터 몆 m 이상 인가?
1.
10m
2.
8m
3.
5m
4.
2m
정답 : [
1
] 정답률 : 45%
74.
교류아크 용접기의 재해방지를 위해 쓰이는 것은?
1.
자동전격방지 장치
2.
정전압 장치
3.
정전류 장치
4.
리미트 스위치
정답 : [
1
] 정답률 : 65%
75.
아세틸렌 용기의 취급시 주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용기는 충격을 가하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2.
용기는 높은 온도의 장소에 놓는 것을 피해야 한다.
3.
용기의 이동시 눕혀서 안전하게 이동한다.
4.
압력조정기와 호스등의 접속부에서 가스가 누설되는지 주의하며, 비눗물로 누출여부를 조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세틸란 용기의 이동은 세워서 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보랏]
76.
어떤 물질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를 찾아 보았더니 아래와 같았다. 아래 자료에 의하면 이 물질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이 물질은 독성물질이다.
2.
이 물질은 발암성물질이다.
3.
이 물질은 독성물질이 아니다.
4.
급성 흡입 독성에 대한 자료가 없으므로 알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35%
77.
프로판(C3H8) 가스의 공기중 완전연소 조성농도는 몇 vol%인가?
1.
4.02
2.
5.02
3.
6.02
4.
7.02
정답 : [
1
] 정답률 : 41%
78.
정전 작업시의 안전조치라 할 수 없는 것은?
1.
개방된 개폐기의 표시나 시건을 한다.
2.
검전기로 정전유무를 확인한다.
3.
잔류전하는 그대로 보존한다.
4.
단락 접지를 실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79.
소화방법에 따른 소화원리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물을 뿌린다. - 냉각소화
2.
모래를 뿌린다. - 질식소화
3.
촛불을 불어서 끈다. - 억제소화
4.
담요를 덮는다. - 질식소화
정답 : [
3
] 정답률 : 68%
80.
다음 중 폭발성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유기과산화물
2.
칼슘
3.
황
4.
알킬알루미늄
정답 : [
1
] 정답률 : 44%
81.
암반사면의 파괴 형태가 아닌 것은?
1.
평면파괴
2.
압축파괴
3.
쐐기파괴
4.
전도파괴
정답 : [
2
] 정답률 : 34%
82.
달비계 설치시 달기체인의 사용 금지 기준이 아닌 것은?
1.
체인의 길이가 제조 당시보다 5% 이상 늘어난 것
2.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 된 것
3.
공칭지름이 7% 이상 감소한 것
4.
링의 단면지름의 감소가 제조 당시 보다 10%를 초과 한 것
정답 : [
3
] 정답률 : 37%
83.
파이프 서포트를 동바리로 사용할 때 준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파이프 서포트의 연결은 3본까지만 허용된다.
2.
지주의 고정등 지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높이가 3.5m를 초과하는 때에는 2m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방향으로 설치한다.
4.
깔목의 사용, 콘크리트 타설, 말뚝박기 등 지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84.
비계의 높이가 2m이상인 작업장소에 설치하는 작업발판의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판재료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작업발판의 폭은 30㎝ 이상이어야 한다.
3.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작업발판재료는 2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 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작업 발판의 폭은 40cm 이상으로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산안산기100문제?!]
85.
피뢰침 설치시 준수해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피뢰침의 보호각은 45° 이하로 할 것
2.
피뢰침을 접지하기 위한 접지극과 대지간의 접지저항은 10Ω 이하로 할 것
3.
피뢰침과 접지극을 연결하는 피뢰도선은 단면적이 30mm2 이상인 동선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접속할 것
4.
피뢰침은 가연성 가스 등의 누설될 우려가 있는 밸브ㆍ게이지 및 배기구 등의 시설물로부터 1m 이상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피뢰침의 보호각은 45˚이하로 할 것(위험물 저장소), 일반건물은 60˚이하 피뢰침의 접지극가 대지간의 접지저항은 10옴 이하일것 피뢰도선은 단면적이 30mm2이상의 동선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접속할 것 가연성 가스의 누설위험이 있는 시설물로부터 1.5m이상 이격시킬 것 [해설작성자 : 하다보이재밌다]
86.
흙막이지보공의 조립도에 명시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부재의 배치
2.
부재의 치수
3.
버팀대 긴압의 정도
4.
설치 방법과 순서
정답 : [
3
] 정답률 : 46%
87.
공정계획 중 PERT/CPM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책수립이 가능하다.
2.
작업전.후 관계가 파악이 용이하다.
3.
네트워크에 의한 종합관리의 형태를 갖는다.
4.
주공정과 여유공정에 의한 공사 통제가 불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88.
옹벽이 외력에 대하여 안정하기 위한 검토 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도
2.
활동
3.
좌굴
4.
지반 지지력(침하)
정답 : [
3
] 정답률 : 44%
89.
해체공사의 시공계획에 포함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해체물 재활용계획
2.
해체 순서
3.
공정 계획
4.
공법의 선정
정답 : [
1
] 정답률 : 65%
90.
강관비계에 있어서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몇 kg 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1.
200kg
2.
300kg
3.
400kg
4.
500kg
정답 : [
3
] 정답률 : 56%
91.
지면보다 휠씬 높은 곳을 정확히 굴착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굴착장비는?
1.
파워쇼벨
2.
백호
3.
드래그라인
4.
크램셀
정답 : [
1
] 정답률 : 58%
92.
양끝이 힌지(Hinge)인 기둥에 하중을 가하면 기둥이 수평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 때의 복원한계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로한계
2.
파괴한계
3.
좌굴
4.
부재의 안전도
정답 : [
3
] 정답률 : 44%
93.
유해· 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할 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굴착 깊이가 12m인 굴착하는 공사
2.
최대지간이 15m인 교량건설 공사
3.
지상높이가 35m인 건축물 공사
4.
터널길이가 1km인 터널건설 공사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유해위험방지 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사업 ①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공작물 ②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③ 연면적 5천제곱 미터 이상의 문화 및 집회시설 등 ④ 최대지간 길이가 50미터 이상인 교량건설 등 공사 ⑤ 터널건설 등의 공사 ④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전용 댐, ⑥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해설작성자 : 예아배붸]
94.
다음 중 양중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승강기
2.
이동식 크레인
3.
간이리프트
4.
스크레이퍼
정답 : [
4
] 정답률 : 63%
95.
가설자재의 안전율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재료의 파괴응력도와 허용응력도의 비이다.
2.
재료가 받을 수 있는 허용응력도이다.
3.
재료의 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도이다.
4.
재료가 받을 수 있는 허용하중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6%
96.
작업장의 계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을 설치할 때는 그 폭을 50cm 이상으로 한다.
2.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너비 1.2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계단 및 계단참의 강도는 안전율 4 이상으로 한다.
4.
바닥면으로부터 2m 이내의 공간에 장애물이 없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97.
콘크리트 타설시 붕괴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전에 거푸집동바리 구조계산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때 연직 하중은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에 알맞은 것은? (단, γ:콘크리트 단위중량(kgf/m3), t:슬래브 두께(m))
1.
①충격하중, ②풍하중
2.
①고정하중, ②적설하중
3.
①고정하중, ②충격하중
4.
①적설하중, ②풍하중
정답 : [
3
] 정답률 : 53%
98.
추락방지용 방망의 그물코 크기가 10cm인 신품 매듭방망의 인장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kg
2.
120kg
3.
180kg
4.
200kg
정답 : [
4
] 정답률 : 43%
99.
차량계 건설기계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불도저
2.
항타기
3.
파워셔블
4.
타워크레인
정답 : [
4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차량계 - 흔히 생각하는 자동차처럼 차륜이 달린 것 타워크레인은 X [해설작성자 : 생각보다 단순하네...]
100.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에 대한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발판의 간격은 동일하게 한다.
2.
사다리의 상단은 걸쳐놓은 지점으로부터 60cm 이상 올라가도록 한다.
3.
통로의 길이가 8m 이상인 때에는 7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4.
통로의 기울기는 80° 이내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통로의기울기는 75입니다 정답 4번입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①
①
③
④
②
③
④
②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①
①
①
①
③
③
②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①
②
①
④
④
④
③
①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④
②
②
①
③
①
③
④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④
③
①
③
①
③
③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③
④
④
④
①
①
③
①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②
④
②
②
①
②
①
①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④
①
①
③
③
①
③
③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③
①
②
④
③
④
③
①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③
②
④
①
①
③
④
④
④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9월0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