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빈발자에대한 분류 중 작업이 어렵거나 설비의 결함 때문에 발생되는재해자는 다음 중 어느 유형에 해당되는가?
1.
소실성 빈발자
2.
상황성 빈발자
3.
습관성 빈발자
4.
미숙성 빈발자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상황성 누발자 : 작업이 어렵거나 기계, 설비에 결함이 있거나 주의력의 집중이 혼란된 경우 및 심신에 근심이 있는 경우에 재해를 일으키는 자 2. 미숙성 누발자 : 기능의 미숙,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여 재해를 유발하는 자 3. 습관성 누발자 : 재해의 경험에 의해 겁쟁이가 되거나 신경과민인 경우와 일종의 슬럼프 상태에 빠진 경우에 재해를 일으키는 자 4. 소질성 누발자 : 개인적인 소질 가운데 재해요인의 소질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개인의 특수한 성격에 의해 재해를 일으키는 자 [해설작성자 : 셤이곧]
7.
다음 중 안전관리 조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라인 조직
2.
참모식 조직
3.
수평조직
4.
라인,참모식조직
정답 : [
3
] 정답률 : 87%
8.
Off.J.T(Off Job Train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문가를 초빙하여 강사로 활용이 가능하다
2.
많은 지식,경험을 교류할 수 있다.
3.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4.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Off.J.T는 사내 및 사외 전문가를 초빙하여 직무현장이 아닌 교실에서 강의식으로 교육하는 방법. 조직적으로 전문강사를 통한 교육은 가능하나, 직장 실정에 맞는 실제적 훈련은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Kim]
9.
하베이(Harvey)의 안전 시정책 3E와 관계가 먼것은?
1.
시설 및 장비의 개선(Engineerimg)
2.
교육 및 훈련(Education & Training)
3.
경비절감(Economic)
4.
감독철저(Enforcement)
정답 : [
3
] 정답률 : 77%
10.
75명의 근로자가 공장에서 1일 8시간, 연간 320일을 작업하는 동안에 6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이공장의 도수율은 얼마인가?
어느 사업장의 재해도수율이 10.83이고 재해강도율이 7.92일때 종합재해지수(FSI)는 얼마인가?
1.
4.63
2.
6.342
3.
9.26
4.
12.84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루트(도수율X강도율)=종합재해지수
20.
리더쉽의 권한 중 목표 달성을 위하여 부하 직원들이 상사를 존경하여 상사와 함께 일하고자 할 때 상사에게 부여되는 권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위임된 권한
정답 : [
4
] 정답률 : 65%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수평작업대 설계에 있어서 최대작업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완만으로 편하게 뻗어 파악할 수 있는 구역
2.
전완과 상완을 곧게 펴서 파악할 수 있는 구역
3.
상완만을 뻗어 파악할 수 있는 구역
4.
사지를 최대한으로 움직여 파악할 수 있는 구역
정답 : [
2
] 정답률 : 63%
22.
다음 중 인간 실수확률에 대한 추정기법이 아닌 것은?
1.
계층분석모델
2.
위급사건기법
3.
직무 위급도 분석
4.
조작자 행동나무
정답 : [
1
] 정답률 : 34%
23.
다음 중 통제비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C/D비 라고도 한다.
2.
최적통계비는 이동시간과 조정시간의 교차점이다
3.
Maslow와 관련이 깊다.
4.
통제기기와 시각표시 관계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24.
다음 중 골격(뼈)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신체를 지지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
2.
주요한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
3.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역할
4.
유기질을 저장하는 역할
정답 : [
4
] 정답률 : 72%
25.
다음 중 시스템(제품)의 고유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1.
설계 개선
2.
작업자에 대한 교육
3.
철저한 최종 검사
4.
사용자에 대한 교육훈련
정답 : [
1
] 정답률 : 44%
26.
근골격계질환의 인간공학적 주요 위험요인이 아닌 것은?
1.
부적절한 자세
2.
다습한 환경
3.
과도한 힘
4.
단시간의 많은 반복
정답 : [
2
] 정답률 : 79%
27.
FT(Fault Tree)도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최하단에 사용되지 않는 사상은?
1.
결함사상
2.
통상사상
3.
기본사상
4.
생략사상
정답 : [
1
] 정답률 : 32%
28.
인간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중 피로,교통,권태 등의자각에 의해서 자신의 상태를 알고 행동하는 감시방법은?
1.
Self-monitoring 방법
2.
생리학적 monitoring 방법
3.
Visual monitoring 방법
4.
반응에 대한 monitoring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해설 Self-Monitoring 자기감시 인간은 감각으로 자기자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자극,고통,피로,권태 등의 지각을 통하여 자기의 상태를 파악하고 행동하는 감시방법이다. 결과를 종합하여 자신 또는 Monitoring Center에 전달하게 된다.
생리적 Monitoring 인간의 맥박수,혈압,호흡속도,체온,뇌파 등 인간자체의 생리적인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인간자체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Visual Monitoring ; 관찰감시 동작자의 태도를 보고 동작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생리적으로 졸리운 상태, 화학물질에 의한 정신혼미등 생리적으로 즉각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 대하여는 인간의 행동모양을 보고 파악하는 것이 생리적 분석보다 쉽고 정확하다.
반응에 대한 Monitoring 인간에게 어떤종류의 자극을 가하여 이에대한 반응을 보고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자극의 종류로는 청각이나 시각을 이용하는데 최근에는 자극 없이 동작자체를 반응으로 보고, 판별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60fL의 광도를 요하는 시각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75% 일때 소요조명은 몇 fc인가?
1.
75
2.
80
3.
85
4.
90
정답 : [
2
] 정답률 : 49%
3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간의 실수는 우발적으로 재발하는 유형이다.
2.
기계나 설비(hardware)의 고장조건은 저절로 복구되지 않는 것이다.
3.
인간은 기계와 달리 학습에 의해 계속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4.
인간의 성능과 압박(stress)은 선형 관계를 가져 압박이 중간 정도일 때 성능수준이 가장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51%
31.
기계의 통제를 위한 통제기기의 선택조건이 아닌 것은?
1.
계기의 지침은 일치성이 있어야 한다.
2.
식별이 어려운 통제기기를 선택해야 한다.
3.
특정 목적에 사용되는 통제기기는 여러 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통제기기가 복잡하고 정밀한 조절이 필요한 때에는 멀티로테이션 컨트롤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32.
어떤 작업의 평균 에너지값이 5kcal/min라고 했을때 1시간 작업시 휴식시간은 약 몇분이 필요한가? (단, 기초대사를 포함한 작업에 대한 평균에너지 값의 상한은 4kcal/min, 휴식시간에 대한 평균에너지 값은 1.5kcal/min이다)
1.
15
2.
18
3.
21
4.
24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60분 (실작업시 소모에너지- 작업에 대한 평균 소모에너지) 휴식시간(min)= --------------------------------------------------------- 실작업시 소모에너지 - 휴식 시의 소모에너지
검사공정의 작업자가 제품의 완성도에 대한 검사를 하고 있다. 어느 날 10000개의 제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200개의 부적합품(불량품)을 발견하였으나, 이 Lot 에는 실제로 500개의 부적합품(불량품)이 있었다. 이 때 인간과오확률(,Human Error Probability)은 얼마인가?
1.
0.02
2.
0.03
3.
0.04
4.
0.05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500-300)/10000 [해설작성자 : ???]
35.
안전표지에 사용되는 색채 중“노랑”의 용도는?
1.
지시
2.
안내
3.
경고
4.
금지
정답 : [
3
] 정답률 : 71%
36.
일반적으로 인체에 가해지는 온,습도 및 기류 등의 외적변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불쾌지수”라는 지표가 이용된다. 식이 다음과 같은 경우 건구온도와 습도온도의 단위로 옳은 것은?(불쾌지수 = 0.72*(건구온도+습구온도)+40.6)
1.
섭씨온도
2.
화씨온도
3.
절대온도
4.
실효온도
정답 : [
1
] 정답률 : 64%
37.
일반적으로 인체 계측 자료를 설계에 응용할 때의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선반 높이의 설계를 위하여 5%의 하위 백분위 수를 사용하였다.
2.
조종 자치까지의 거리 설계를 위하여 5%의 하위 백분위 수를 사용하였다.
3.
출입문의 설계를 위하여 5%의 하위 백분위 수를 사용하였다.
4.
비상벨의 위치 설계를 위하여 5%의 하위 백분위 수를 사용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문은 사람의 크기가 어떻든 누구나 출입을 해야하기 때문에 하위가 아닌 상위 [해설작성자 : 으미으미]
38.
인간 - 기계 체계의 기본 기능 중 내려진 의사결정의 결과로 발생하는 조작 행위를 일컫는 기능은?
1.
정보감지 기능
2.
정보보관 기능
3.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기능
4.
행동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정보입력 → 감지(정보수용) →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 행동기능 (신체제어 및 통신) → 출력 [해설작성자 : 오윤]
39.
다음 중 결함수 분석기법(FT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초 Watson이 군용으로 고안하였다.
2.
미니멀 패스(Minimal path sete)를 구하기 위해서는 미니멀 컷(minimal cut sets)의 상대성을 이용한다
3.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을 구한 다음 FT를 작성한다
4.
AND게이트의 확률 계산은 입력사상의 곱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40.
다음 FT도에서 사상 A가 발생할 확률은? (단, 각 사상의 발생할 확률은 B1은 0.1, B2는 0.2, B3는 0.3 으로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