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단계 : 유전적 요인 및 사회적 환경 2단계 : 개인적 결함 3단계 : 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 4단계 : 사고 5단계 : 재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기초 4라운드(4R)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라운드: 본질추구
2.
2라운드: 위험요인결정
3.
3라운드: 대책수립
4.
4라운드: 목표설정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라운드 현상파악 [해설작성자 : Na지니리야]
[추가 해설] 위험예지훈련의 4단계 1단계(현상 파악): 위험 요인이 어디에 있는지 위험 요인을 발견하고 파악하는 것 2단계(본질 추구): 현상 파악된 위험 요인 중 실제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을 결정하는 것 3단계(대책 수립): 중요한 위험 요인에 대한 예방 대책을 수립하는 것 4단계(목표 설정): 예방 대책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 목표를 설정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연간 근로시간이 240000시간인 A공장에서 지난 해 5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총 330일의 휴업일수가 발생하였다면 이 공장의 강도율은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책에는 2번 뇌격범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짱짱맨]
[추가 오류 신고]
교재에 있는 보기랑 2번 보기가 다릅니다. 교재는 2번 뇌격범위로 나와있습니다. 답은 2번 뇌격범위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박희원]
[관리자 입니다. 시험지 사진 원본 확인결과 보기는 이상 없습니다.(45도 맞음) 관련 규정이 바뀌어서 출판사 등에서 문제 보기를 바꾼것인지 확인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보통: 60도 화약·가연성 액체·가연성 가스를 보호: 45도
45도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먼지풀풀]
72.
다음 중 정전기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아닌 것은?
1.
접촉면적 및 압력
2.
분리속도
3.
물체의 표면상태
4.
외부공기의 풍속
정답 : [
4
] 정답률 : 69%
73.
접지공사시 접지공사의 종류와 접지선의 굵기가 서로 잘못 연결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 지름 2.6mm 이상의 연동선
2.
제2종 - 지름 4mm 이상의 연동선
3.
제3종 - 지름 1.6mm 이상의 연동선
4.
특별 제3종 - 지름 2.6mm 이상의 연동선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다잘못되잇어요 [해설작성자 : 짱짱맨]
[관리자 입니다. 2008년 당시 시험지 원본 확인결과 보기 내용은 이상이 없습니다. 추측컨데 관련 규정이 개정된게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해 봅니다. 자세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1. 제1종 - 공칭단면적 6mm(스퀘어) 이상의 연동선 2. 제2종 - 공칭단면적 16mm(스퀘어) 이상의 연동성 3. 제3종 - 공칭단면적 2.5mm(스퀘어) 이상의 연동선 4. 특별 제3종 - 공칭단면적 2.6mm(스퀘어) 이상의 연동선
이라고 책에 써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쟁이]
[관리자 입니다. 아마도 관련 규정이 개정되서 문제 자체를 바꾼거 같습니다. 참고들 하세요.]
74.
다음 중 방폭구조의 종류와 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유입방폭구조 – o
2.
압력방폭구조 - p
3.
내압방폭구조 – d
4.
본질안전방폭구조 - e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 본질안전방폭구조 - ia 또는 ib • 안전증방폭구조 = e [해설작성자 : 집중해서원트가요]
75.
다음 통전 경로 중 위험도가 가장 작은 것은?
1.
왼손 – 가슴
2.
오른손 - 가슴
3.
왼손 – 오른손
4.
왼손 - 한발 또는 양발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심장과 가까운 순서대로입니다 즉 가슴이 포함되면 제일위험합니다. 심장이 왼편에 치우쳐있으므로 왼손 - 가슴 오른손 - 가슴 ..... 순서대로 갑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
다 위험하긴 하지만 그래도 위험도가 가장 낮은것은 오른손 - 등 입니다 [해설작성자 : 갓도영]
위험도 높은 순 입니다. 왼손 - 가슴 ==> 가장 높은 위험 오른손 - 가슴 왼손 - 발 오른손 - 발 왼손 - 등 (순서 주의) 왼손 - 오른손 (순서 주의) 오른손 - 등 ==> 가장 낮은 위험 [해설작성자 : RS최원용]
7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교류 전압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저압 - 600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2.
고압 - 600볼트 초과 7천볼트 이하의 교류전압
3.
특별고압 - 7천볼트를 초과하는 교류전압
4.
초고압 - 1만볼트를 초과하는 교류전압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제304조(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전기 기계ㆍ기구에 대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전류 등에 반응하는 정도)가 양호하며 확실하게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개정 2021. 11. 19.>
1.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ㆍ기구
2.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서 사용하는 저압(1.5천볼트 이하 직류전압이나 1천볼트 이하의 교류전압을 말한다)용 전기기계ㆍ기구
해당내용 개정으로 3번 이외 복수정답 입니다. [해설작성자 : 쌈]
77.
다음 중 정전기 방전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면방전
2.
불꽃방전
3.
뇌상방전
4.
마찰방전
정답 : [
4
] 정답률 : 22%
78.
다음 중 전기화재의 발생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누전
2.
접지
3.
단락
4.
정전기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전기화재 발생원인으로는 단락(합선), 전기스파크, 과전류, 접속부 과열, 지락, 낙뢰, 누전, 열적경과, 절연불량이 있습니다. 접지는 도체로 땅과 연결하여 이상전압으로 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인체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는 역할입니다 [해설작성자 : 피카츄]
79.
폭발범위가 1.8~8.5vol% 인 가스의 위험도는 얼마인가?
1.
0.8
2.
3.7
3.
5.7
4.
6.7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폭발 범위 최대값 - 최소값 / 최소값 = 위험도
8.5 - 1.8 / 1.8 = 3.722222 = 3.7 [해설작성자 : 홍춘자]
80.
다음 중 폭발한계가 가장 넓은 가스는?
1.
수소
2.
메탄
3.
프로판
4.
아세틸렌
정답 : [
4
] 정답률 : 64%
81.
건물 외부에 설치하는 안전방망의 수평면과의 설치 각도로 옳은 것은?
1.
20 ̊ ~ 30 ̊
2.
40 ̊ ~ 50 ̊
3.
60 ̊ ~ 70 ̊
4.
80 ̊ 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60%
82.
암반 굴착공사에서 굴착높이가 5m, 굴착기초면의 폭이 5m인 경우 양단면 굴착을 할 때 상부단면의 폭은? (단, 굴착기울기는 1 : 0.5로 한다.)
1.
5m
2.
10m
3.
15m
4.
20m
정답 : [
2
] 정답률 : 49%
83.
고소작업을 할 때 재료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낙하물 방지망
2.
수직보호망
3.
안전난간
4.
방호선반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안전난간은 운지 방지설비입니다.
84.
크레인의 조립 또는 해체작업시 취해야 할 조치로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순서를 정하고 그 순서에 의해 작업을 한다.
2.
악천후시에는 작업을 중지시킨다.
3.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장애물이 없도록 한다.
4.
작업구역에는 자격증을 보유한 자만 출입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85.
현장에서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때에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을 얼마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
200kg
2.
300kg
3.
400kg
4.
500kg
정답 : [
3
] 정답률 : 60%
86.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경우에 공사용 가설도로의 최고 허용 경사도는 얼마인가?
1.
5%
2.
10%
3.
20%
4.
30%
정답 : [
2
] 정답률 : 45%
87.
유해ㆍ위험 방지계획서의 제출시 첨부서류의 항목이 아닌 것은?
1.
공사개요
2.
안전보건관리계획
3.
작업환경 조성계획
4.
보호장비 폐기계획
정답 : [
4
] 정답률 : 66%
88.
안전대의 등급을 5개로 분류할 때 작업장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곤란할 때 착용하는 1개걸이 전용 안전대의 등급은?
1.
1종
2.
2종
3.
3종
4.
4종
정답 : [
2
] 정답률 : 38%
89.
화물을 차량계 하역운반 기계ㆍ기구에 싣고 내리는 작업시 작업 지휘자를 지정하여야 하는 것은 단위화물 중량이 얼마 이상일 때를 기준으로 하는가?
1.
100kg
2.
200kg
3.
300kg
4.
400kg
정답 : [
1
] 정답률 : 41%
90.
기초의 안전상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이 아닌 것은?
1.
구조물의 전체 하중이 기초에 균등하게 분포되록 한다.
2.
기초 상호간을 지중보로 연결한다.
3.
한 구조물의 기초는 2종류 이상의 복합적인 기초형식으로 한다.
4.
기초 지반 아래의 토질이 연약할 경우는 연약지반 처리공법으로 보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91.
가설통로의 구조로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2.
높이가 2m 미만인 경우 튼튼한 손잡이를 설치할 때 경사는 30도를 초과할 수 있다.
3.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때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4.
높이 10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8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높이 8미터 이상인 비계다리:7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구폴뚜벅이]
92.
콘크리트 타설시 안전에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타설 속도는 계획에 의하여 실시한다.
2.
타설 속도는 하계 1.0m/h, 동계 1.5m/h를 표준으로 한다.
3.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거푸집, 동바리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타설시 공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부어 넣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93.
지반의 굴착작업에 있어 지반의 붕괴 또는 매설물 등의 손괴 등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위험이 미칠 우려가 있을 때 미리 작업장소 및 주변에 대하여 조사하여 굴착시기와 작업순서를 정하여야 한다. 이 때의 조사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형상, 지질 및 지층의 상태
2.
균열, 함수, 용수의 유무 및 동결의 유무 또는 상태
3.
매설물 등의 유무 또는 상태
4.
흙막이 지보공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43%
94.
크레인을 사용하여 양중작업을 하는 때에 안전한 작업을 위해 준수하여야 할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인양할 하물을 바닥에서 끌어당기거나 밀어 정위치 작업을 할 것
2.
가스통 등 운반 도중에 떨어져 폭발 가능성이 있는 위험물용기는 보관함에 담아 매달아 운반할 것
3.
인양 중인 하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로 통과하게 하지 아니할 것
4.
인양할 하물이 보이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아니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8%
95.
사질토 지반 굴착시 모래의 보일링 현상에 의한 흙막이공의 붕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흙막이벽의 근입장 증가
2.
주변의 지하수위 저하
3.
투수거리를 길게 하기 위한 지수벽 설치
4.
굴착 주변의 상재 하중 증가
정답 : [
4
] 정답률 : 54%
96.
2m 이상의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에서 작업할 때 작업발판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3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3cm 이하
2.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4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3cm 이하
3.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3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5cm 이하
4.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4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5cm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작업발판 필요한 비계 최소높이, 비계 폭, 발판재료 틈 등은 빈출문제로 한꺼번에 묶어서 암기하면 편리함.
2002년05월26일 기출문제 비계의 폭과 발판재료 간의 틈으로 적합한 것은? 비계폭 40cm이상, 발판재료간의 틈 3cm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2m 이상의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에서 작업할 때 작업발판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4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3cm 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기준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가 필요한 비계의 최소 높이는? - 2m
2010년05월09일 기출문제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 )cm 이상으로 할 것 - 40
2016년03월06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위 (중략) 폭 ( ) 이상의 발판 - 30cm 2019년04월27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 위에서 작업을 할 때 발이 빠지는 등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발판의 폭 기준은? - 30cm 이상
※ 달비계, 5m 이상 비계 조립/해체 작업 시(즉 비계에서 직접 작업이 아닌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임) - 20cm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97.
건설공사에서 발코니 단부, 엘리베이터 입구, 재료 반입구등과 같이 벽면 혹은 바닥에 추락의 위험이 우려되는 장소를 가르키는 용어는?
1.
비계
2.
개구부
3.
가설구조물
4.
연결통로
정답 : [
2
] 정답률 : 63%
98.
거푸집 동바리 설치 기준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파이프서포트는 3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2.
강관을 지주로 사용할 때에 수평연결재를 2m 이내마다 2개 방향으로 설치한다.
3.
조립강주를 지주로 사용할 때는 높이 5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방향으로 설치한다.
4.
강관틀을 지주로 사용할 때는 강관틀과 강관틀의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99.
교류아크 용접기에 부착해야 할 방호장치는?
1.
권과방지장치
2.
과부하방지장치
3.
자동전격방지장치
4.
양수조작식방호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62%
100.
기준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가 필요한 비계의 최소 높이는?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작업발판 필요한 비계 최소높이, 비계 폭, 발판재료 틈 등은 빈출문제로 한꺼번에 묶어서 암기하면 편리함.
2002년05월26일 기출문제 비계의 폭과 발판재료 간의 틈으로 적합한 것은? 비계폭 40cm이상, 발판재료간의 틈 3cm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2m 이상의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에서 작업할 때 작업발판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4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3cm 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기준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가 필요한 비계의 최소 높이는? - 2m
2010년05월09일 기출문제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 )cm 이상으로 할 것 - 40
2016년03월06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위 (중략) 폭 ( ) 이상의 발판 - 30cm 2019년04월27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 위에서 작업을 할 때 발이 빠지는 등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발판의 폭 기준은? - 30cm 이상
※ 달비계, 5m 이상 비계 조립/해체 작업 시(즉 비계에서 직접 작업이 아닌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임) - 20cm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③
③
②
①
③
③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④
①
①
②
④
②
④
③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③
③
④
①
②
③
③
③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①
③
②
③
④
③
④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②
①
④
②
③
④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①
④
④
③
③
③
③
③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③
②
④
①
②
②
④
②
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④
④
④
③
④
④
②
②
④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②
③
④
③
②
④
②
①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④
②
④
①
④
②
②
③
③
②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