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의 부적응 유형 중 자기 주장이 강하고 빈약한 대인관계를 가지고 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사소한 일에 있어서도 타인이 자신을 제외했다고 여겨 악의를 나타내는 인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망상인격
2.
분열인격
3.
무력인격
4.
강박인격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주로 회사에 1명씩은 꼭 있는 꼰대유형이라고 하는 망상인격입니다. [해설작성자 : 퇴사하고싶다]
17.
안전검사 대상 유해∙위험기계 중 크레인의 경우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몇 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4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6개월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강변]
[추가 오류 신고]
6개월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백수]
[추가 오류 신고] 6개월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단디합시다 으잉?]
[오류신고 반론]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것만 6개월이지 최초로 실시하는건 3년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바보들]
[오류신고 반론] 문제자체가 설치 후 최초안전검사 시행시기이기에 3년 맞습니다. 일반건설-최초 시행안전검사 3년 그 이후 2년마다 건설현장-최초 시행안전검사 3년 그 이후 6개월마다 이기때문에 답은 3년 [해설작성자 : 찌니]
[오류신고 반론] 크레인,리프트 및 곤돌라: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 그 이후부터 2년마다(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해설작성자 : 연막그만쳐라]
[오류신고 반론] 건설현장에서 6개월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 그 이후부터 2년마다 [해설작성자 : 생각하고 말해]
[오류신고 반론] 유해,위험 기계,기구 종합정보시스템에 나와있는걸로는 크레인: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실시 다만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 마다 실시 라고 적혀있네요. [해설작성자 : 화이팅합시다]
18.
다음 중 적성검사할 때 포함되어야 할 주요 요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IQ 검사
2.
형태식별 능력
3.
운동속도 및 손작업 능력
4.
플리커(flicker) 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플리커(flicker) 검사 : TV나 스마트폰 등의 화면과, 형광등이나 LED 같은 조명을 비롯한 모든 발광장치에서 나오는 빛의 깜빡임을 검사하는것 ※ 깜빡임이 적어야 눈에 피로 덜함 - 인적성검사와 무관 [해설작성자 : 대구맑음]
플리커 검사 - 피로검사 [해설작성자 : 탱이]
19.
동기부여(motivation)에 있어 동기가 가지는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행동을 촉발시키는 개인의 힘을 뜻하는 활성화
2.
일정한 강도와 방향을 지닌 행동을 유지시키는 지속성
3.
개인에게 부여된 목표달성의 정도를 평가하는 합리성
4.
노력의 투입을 선택적으로 한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하는 통로화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동기 - 행동유발, 방향제시, 지속가능 [해설작성자 : 탱이]
20.
산업재해에 있어 인명이나 물적 등 일체의 피해가 없는 사고를 무엇이라 하는가?
1.
Near Accident
2.
Good Accident
3.
True Accident
4.
Original Accident
정답 : [
1
] 정답률 : 75%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다음 중 교체 주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보전방식은?
1.
보전예방
2.
생산보전
3.
품질보전
4.
예방보전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예방보전 : 설비의 최적 상태를 유지하고 지속적 개선을 요약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보만다]
22.
다음 중 누적손상장애(CTDs)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장시간 진동공구의 사용
2.
과도한 힘의 사용
3.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
4.
부적절한 자세에서의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직업적 원인으로는 반복적 작업 , 과도한 힘, 부자연스러운 자세, 정적인 근육부하, 기계적 스트레스, 진동, 냉기 등을 들 수 있다 Ayoub 과 Jasskelainen은 CTDs의 원인으로 특정부위의 반복적인 사용, 무리한 힘의 사용, 부자연스러운 자세, 부적절한 휴식, 진동, 날카로운면과의 접촉, 저온에서의 노출 등의 복합적인 요소를 요인으로 구분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현장에서 고산병 올 만큼 높은 작업이 있을까요..?]
23.
다음 중 FT도에서 컷셋(cut se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 것이다.
2.
정상 사상(Top event)을 발생시키는 조합이다.
3.
시스템이 고장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조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컷 셋 : 정상사상이 일어나기 위한 기본사상의 집합 -미니멀 컷셋의 특징 ㅇ정상사상을 일으키기 위한 최소한의 컷셋 ㅇ시스템의 약점(위험성)을 표시하는 것 ㅇFussell algorithm 을 이용 [해설작성자 : 대구맑음]
24.
시스템안전프로그램계획(SSPP)을 이행하는 과정 중 최종 분석단계에서 위험의 결정 인자가 아닌 것은?
1.
가능 효율성
2.
위험감축
3.
피해가능성
4.
폭발빈도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위험감축은 위험처리기술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준싸미]
25.
시스템안전의 수명주기에서 생산물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단계는?
1.
구성단계
2.
정의단계
3.
생산단계
4.
개발단계
정답 : [
2
] 정답률 : 42%
26.
광원의 밝기가 100cd 이고, 10m 떨어진 곡면을 비출 때의 조도는 몇 Lux 인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Lux : 100/ 10^2 [해설작성자 : ms5806]
27.
다음 중 아날로그(analog) 표시장치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로 구성되어야 하며, 특히 토치 입구에 사용하는 것은 방출장치도 구성되어야 한다.
2.
역화방지기는 그 다듬질 면이 매끈하고 사용상 지장이 있는 부식, 흠, 균열 등이 없어야 한다.
3.
가스의 흐름 방향은 지워지지 않도록 돌출 또는 각인하여 표시해야 한다.
4.
소염소자는 금망, 소결금속, 스틸울(steel wool), 다공성 금속물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소염성능을 갖는 것 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역화방지기의 구조 : 소염소자, 역류방지장치 및 방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1) 본체는 금속제로서 내식성과 폭발․화재로 인한 압력과 온도에 견디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소염소자의 재료는 백금망, 철망, 소결금속 및 물(수봉식의 경우) 등을 사용한다. 3) 역화방지장치는 역화를 방지한 후 즉시 복원되어 계속 사용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4) 역류방지장치는 규정압력(0.1 ㎏/cm2)에서 민감하게 작동되어 역류하는 가스를 저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5) 방출장치는 3 ㎏/cm2 이상 43 ㎏/cm2 이하에서 작동되어야 하며, 정지압력은 작동압력의 2/3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대구맑음이]
[별표1] 역화방지기의 성능기준(제3조 관련) 역화방지기의 일반구조는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 가. 역화방지기의 구조는 소염소자, 역화방지장치 및 방출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만, 토치 입구에 사용하는 것은 방출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반복반복무한반복]
49.
근로자의 추락 등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난간을 설치하고자 할 때 이에 관한 요구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상부난간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 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증으로부터 5cm 이상의 높이를 유지 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문제 해설> 통전 경로별 위험도 1. 왼손 --> 가슴 1.5 2. 오른손 --> 가슴 1.3 3. 왼손 --> 한발 또는 양발 1.0 4. 양손 --> 양발 1.0 5. 오른손 --> 한발 또는 양발 0.8 6. 왼손 --> 등 0.7 7. 한손 또는 양손 --> 앉아있는 자리 0.7 8. 왼손 --> 오른손 0.4 9. 오른손 --> [해설작성자 : 김행복]
65.
가스 또는 분진폭발위험장소에는 변전실∙배전반실∙제어실을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실내기압이 항상 양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별도의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는데 이때 요구되는 조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항상 유지해야 하는 실내기압의 양압은 15Pa 이상으로 유지
2.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환기설비의 고장 등으로 양압이 유지되지 아니한 때 경보를 할 수 있는 조치
3.
환기설비에 의하여 변전실 등에 공급되는 공기는 가스 또는 분진폭발위험장소 외의 장소로부터 공급되도록 하는 조치
4.
환기설비가 정지된 후 재가동할 때 변전실 등내의 가스 등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검지기 등 장비의 비치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실내양압 25Pa 이상으로 유지
66.
다음 중 방폭기기의 종류와 기호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비점화반폭구조 : n
2.
압력방폭구조 : q
3.
유입장폭구조 : m
4.
본질안전방폭구조 : e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비점화 방폭 구조 : n 압력 방폭 구조 : p 유입 방폭 구조 : o 본질안전 방폭 구조 : ia, ib 내압 방폭 구조 : d 몰드 방폭 구조 : m 충전 방폭 구조 : q 특수 방폭 구조 : s 특수 방진 방폭 구조 : SDP 보통 방진 방폭 구조 : DP 방진 특수 방폭 구조 : XDP [해설작성자 : 적당히 외우고 운에 맡기자...]
[추가 해설] 안전증방폭구조 : e [해설작성자 : ...]
67.
다음의 주의사항에 해당하는 물질은?
1.
마그네슘
2.
과염소산나트륨
3.
황인
4.
과산화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56%
68.
다음 [표]는 공기 중 표준상태에서 가연성 물질의 연소 한계를 나타낸 것이다.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프로판
2.
메탄
3.
헥산
4.
톨루엔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한계-하한계 ------------- = H(위험도) : 높을 수록 위험한 것이다 하한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혼합가스 용기에 전체 압력이 10기압, 0℃에서 몰비로 수소 10%, 산소 20%, 질소 70%가 채워져 있을 때, 산소가 차지하는 부피는 몇 L 인가? (단, 표준상태는 0℃, 1기압이다.)
1.
0.224
2.
0.448
3.
0.672
4.
1.568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PV=nRT V= (산소 몰비)0.2 X 0.082(기체상수) X 273(절대온도) ------------------------------------------------ (대기압압력atm) 10
70.
전선 간에 가해지는 전압이 어떤 값 이상으로 되면 전선 주위의 전장이 강하게 되어 전선 표면의 공기가 국부적으로 절연이 파괴가 되어 빛과 소리를 내는데 이와 같은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피 작용
2.
페란티 효과
3.
코로나 현상
4.
근접 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80%
71.
건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안의 사용전압이 400V미만인 저압 옥내 배선 케이블의 최소 단면적은 얼마인가?
1.
0.5mm2
2.
0.75mm2
3.
1.0mm2
4.
1.25mm2
정답 : [
2
] 정답률 : 52%
72.
20℃, 1기압의 공기를 압축비 3으로 단열 압축하였을 때 온도는 약 몇 ℃가 되겠는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 이다.)
1.
84
2.
128
3.
182
4.
1091
정답 : [
2
] 정답률 : 54%
73.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는?
1.
포소화기
2.
분말소화기
3.
이산화탄소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제5류 위험물 = 냉각소화 포소화기 :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을때 사용되며 물+소화약제를 발포하는 소화기. [해설작성자 : 준싸미]
7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소화의 종류는?
1.
냉각소화
2.
질식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 : [
2
] 정답률 : 46%
75.
다음 중 정전기의 제거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습
2.
자외선 조사
3.
금속부분의 접지
4.
제전기 활용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자외선은 정전기 발생원인 중 하나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76.
다음 중 물에 보관이 가능한 것은?
1.
K
2.
P4
3.
NaH
4.
Li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황린(P4)은 공기중에서 자연발화하기 때문에 물에 넣어 보관한다 [해설작성자 : 전지민]
77.
다음 중 분진 폭발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변의 점화원을 제거한다.
2.
분진이 날리지 않도록 한다.
3.
분진과 급 주변의 온도를 낮춘다.
4.
분진 입자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표면적이 커지면 접촉면적이 커져 위험하다
78.
고압가스 용기에 사용되며 화재 등으로 용기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 금속의 일부분을 녹여 가스의 배출구를 만들어 압력을 분출시켜 용기의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