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교육의 3요소는 교수자(강사), 학습자(대상), 교육과정(내용) [해설작성자 : 김기동]
2.
안전대에 관한 용어 중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안전블럭
2.
죔줄
3.
신축조절기
4.
충격흡수장치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안전블록 : 고소 작업 등에서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안전그네와 연결하여 사용하며, 추락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잠김 장치가 작동하여 추락을 억제하고, 죔줄이 자동으로 수축되어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출처 : 구글]
3.
하인리히의 “재해발생의 연쇄성 이론”과 관련하여 부적절한 조명, 부적당한 환기 등으로 인한 재해 발생은 다음 중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가?
1.
사고
2.
개인적 결함
3.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4.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단계 선천적 결함 2단계 개인적 결함 3단계 불안전 행동(인적결함), 불안전한 상태(물적결함) 4단계 사고 5단계 재해(상해) [해설작성자 : 3단계]
4.
다음 [그림]의 착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Herling의 착시
2.
Köhler의 착시
3.
Poggendorf의 착시
4.
Zöller의 착시
정답 : [
4
] 정답률 : 55%
5.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기초 4라운드법의 진행에서 전원이 도의를 통하여 위험요인을 발견하는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라운드 : 현상파악
2.
제2라운드 : 본질추구
3.
제3라운드 : 대책수립
4.
제4라운드 : 목표설정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제1라운드 : 현상파악 - 발견 제2라운드 : 본질추구 - 결정 제3라운드 : 대책수립 - 선정 제4라운드 : 목표설정 - 설정
위험요인을 발견하는거니까 현상파악입니다.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6.
다음 중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
1.
대립
2.
모방
3.
도피
4.
협력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대립,협력,도피,융합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과대]
7.
의식수준 5단계 중 의식수준이 가장 적극적인 상태이며 신뢰성이 가장 높은 상태로 주의집중이 가장 활성화되는 단계는?
1.
Phase 0
2.
Phase Ⅰ
3.
PhaseⅡ
4.
Phase Ⅲ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phase 0:무의식, 실신 -정지 상태 - 수면, 뇌발작 phase 1:의식이 둔한 상태 -활발하지 않음 - 피로, 졸림 phase 2:편안한 상태 -수동적임 -안정상태며 휴식, 정상작업 시 phase 3:명석,명료한 상태 -활발, 적극적 -적극적인 활동 시 phase 4:흥분, 과긴장 상태 -일점에 집중, 판단 정지 -긴급방위반응, 당황-패닉 [해설작성자 : OutlawSG]
토의식 교육방법 중 몇 사람의 전문가에 의하여 과제에 관한 경해가 발표된 뒤 참가자로 하여금 의견이나 질문을 하게 하여 토의하는 방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패널 디스커션(pane discussion)
2.
심포지엄(symposium)
3.
포럼(forum)
4.
버즈 세션(buzz session)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심포지엄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 3~6명이 나와 발표를 하고, 청중의 질문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토의
패널 토의 : 사건이나 전문적인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배심원 4~6명이 모여서 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을 나누고 청중으로부터 질문을 받는 형식의 토의 포럼 : 공개된 공공의 장소에서 공공의 문제를 가지고 토의하는 방식 버즈 세션 : 6명이 한 그룹이 되어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6분간 토의한 다음 전체가 모여 토의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김기동]
해당 문제 해설에서 약간 헷갈릴수 있을거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 심포지엄 : 논제의 각 입장을 가진 전문가 2명 이상의 사람이 모여 발표후 참가한 전문가들이 서로 의견, 질문을 하여 토의 하는 방식
패널 디스커션 : 논제의 각 입장을 가진 전문가 2명 이상의 사람이 모여 발표 후 청중(논객이 아닌 다수의 참가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답변하는 방식.
둘 다 청중이라는 표현을 써서 헷갈릴수 있을거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안전 안전]
9.
다음 중 재해 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예방가능의 원칙
2.
대책선정의 원칙
3.
손실우연의 원칙
4.
원인추정의 원칙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 원인추정 -> 원인계기 [해설작성자 : 蔚山科学大学生]
재해 예방의 4원칙 예방가능의 원칙 손실우연의 원칙 원인계기의 원칙 대책선정의 원칙
10.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교육 중 특별안전보건교육의 대상 작업이 아닌 것은?
1.
화학설비의 탱크 내 작업
2.
건설용 리프트∙곤돌라를 이용한 작업
3.
인화성 가스 또는 폭발성 물질 중 가스의 발생장치 취급 작업
4.
전압이 30V인 정전 및 활선작업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75V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차병]
11.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기구 및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원심기
2.
공기압축기
3.
롤러기
4.
곤돌라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관리자의 말 : 시험지 원본 사진 확인 결과 이상은 없었습니다. 관련 규정 개정인으로 인하여 출판사 등에서 보기 내용을 바꾸어서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오류 신고들을 참고하세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좀 다른거 같아요 1.산업용로봇 2.인쇄기 3.롤러기 4.혼합기 아닌가요?
<문제 해설> 재해의 간접원인 1. 기술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신체적 원인 4. 정신적 원인 5. 작업관리상 원인 [해설작성자 : 탱구]
15.
다음 중 조직이 리더에게 부여하는 권한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보상적 권한
2.
강압적 권한
3.
합법적 권한
4.
위임된 권한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위임된 권한은 리더가 부하에게 주는 것 [해설작성자 : 시험까지 이틀…….]
16.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조직을 구성할 때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직 구성원의 책임과 권한을 명확하게 한다.
2.
회사의 특성과 규모에 부합되게 조직되어야 한다.
3.
생산조직과는 동떨어진 독특한 조직이 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4.
조직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도적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생산조직이 아닌 독특한 조직이 되면 사업장에 이득이 될 수가 없죠. 가뜩이나 효율성 높이고 사고를 줄여야 되는데 독특한 조직을 왜 만들어야 될까요? [해설작성자 : 김행복]
17.
다음 중 주로 일선 관리감독자를 대상으로 하며, 작업지도기법. 작업개선기법, 인간관계 관리기법 등을 교육하는 방법은?
1.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TWI(Trainig Within Industry)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TWI(일선 관리감독자 교육프로그램) 1. JIT(작업지도 교육 프로그램) - Industry 지도 2. JRT(작업 인간관계 교육프로그램) - Relation 관계 3. JMT(작업 방법 프로그램) - Method 방법 4. JST(작업안전 프로그램) - Safety 안전 [해설작성자 : 김행복]
18.
매슬로우(Maslow)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인간이 갖고자 하는 최고의 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인간의 오류를 독립적 행동과 원인에 의한 오류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원인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Primary Error
2.
Command Error
3.
Sequence Error
4.
Secondar Error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원인에 의한 분류 1. 1차에러(Primary Error): 작업자 자신으로 부터 발생한 에러 2. 2차에러(Secondary Error): 어떤 결함으로부터 파생하여 발생 3. 지시에러(Command Error): 작업자가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발생하는 에러 [해설작성자 : 손지희]
22.
다음 중 글자의 설계 요소에 있어 검은 바탕에 쓰여진 흰 글자가 번지어 보이는 현상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은?
1.
글자체
2.
획폭비
3.
종이 크기
4.
글자 두께
정답 : [
2
] 정답률 : 82%
23.
다음 중 인간공학의 연구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도구, 기구 등의 설계에 있어서 인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2.
인간의 능력, 한계, 특성 등을 고려하면서 전체 인간-기계 시스템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3.
시스템의 생산성 극대화를 위하여 인간의 특성을 연구 하고, 이를 제한, 통제한다.
4.
시스템이나 절차를 설계할 때 인간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응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간공학 인간을 위한것인데 인간의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제한하고 통제한다? 누구를 위한 연구인지 [해설작성자 : 넵]
24.
다음 중 일반적인 의자의 설계 원칙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체중 분포
2.
좌판의 높이
3.
작업자의 복장
4.
좌판의 깊이와 폭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애초에 의자를 만드는데 자세라든가 체중이라든가 좌판 높이나 깊이 폭을 고려해서 만들지 복장은 관련이 없죠 [해설작성자 : 김행복]
25.
신체 동작의 유형 중 팔을 수평으로 편 위치에서 수직으로 몸에 붙이는 동작과 같이 사지를 체간으로 가깝게 하는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외전(abduction)
2.
내전(adduction)
3.
신전(extension)
4.
회전(rotation)
정답 : [
2
] 정답률 : 69%
26.
다음 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1.
소음원의 격리
2.
소음원의 제거
3.
귀마개 등 보호구의 착용
4.
덮개 등 방호장치의 설치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소음에 의한 대책에는 적극적인 방법과 소극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1. 적극적인 대책: 소음원의 격리, 덮개 등의 방호장치의 설치, 소음원의 제거 2. 소극적인 대책 : 귀마개 등의 보호구 착용 [해설작성자 : 김행복]
27.
음량 수준이 50phon일 때 sone 값은 얼마인가?
1.
2
2.
5
3.
10
4.
100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phon-40)/10) [해설작성자 : 수식똑바로씁시다]
40:1 50:2 60:4 지수적 증가 [해설작성자 : 걍 외우자]
28.
[그림]과 같이 신뢰도 R인 n 개의 요소가 병렬로 구성된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59%
29.
연속제어 조종장치에서 정확도보다 속도가 중요하다면 조종반응(C/R)의 비율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C/R, 비율을 1 로 조절하여야 한다.
2.
C/R, 비율을 1 보다 낮게 조절하여야 한다.
3.
C/R, 비율을 1 보다 높게 조절하여야 한다.
4.
C/R, 비율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조종장치/표시장치이니 조종장치거리를 작게, 표시장치거리를 길게(대충 마우스 감도 높이는 느낌) 해야 속도가 늘겠죠? [해설작성자 : 내일이네]
다음 중 높은 고장 등급을 갖고 고장모드가 기기 전체의 고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를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해석 방법은?
1.
FTA
2.
FMEA
3.
HAZOP
4.
FHA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I. 시스템위험분석 - CA 위험도분석 : 고장이 직접 시스템의 피해와 고장에 연결되는 높은 위험도를 가진 요소나 사상의 형태를 분석한다. - FHA 결함사고분석 : 서브시스템의 분석에 사용되는 시스템분석기법이다. - FMEA 고장의 유형과 영향분석 :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요소의 고장을 유형별로 분석해서 그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 THERP 인간과오확률 예측기법 : 인간-기계 시스템에서 인간의 실수에 기인된 원인 확률을 분석해서 위험성 예측 및 개선을 위한 평가기법이다. - HAZOP 위험과 운전성 기법 : 화학공정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 ETA :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한 시스템의 안전도를 나타내는 시스템의 모델, 귀납적, 정량적 분석방법 - PHA 예비위험분석 : 최초단계의 분석으로 시스템 내의 위험한 요소가 얼마나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기법 - FTA 결함수분석법 : 분석대상 작업이나 공정에서 발생가능한 최악의 사고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그 발생확률과 중요원인을 규명하는 분석기법 [해설작성자 : 김행복]
34.
휘도(luminance)가 10cd/m2 이고 조도 (illuminance)가 100lux일 때 반사율(reflectance)은 몇 % 인가?
다음 중 자동차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간의 간격 브레이크 폭 등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인간 공학 이론은?
1.
Miller의 법칙
2.
Fitts의 법칙
3.
Weber의 법칙
4.
Wickens의 모델
정답 : [
2
] 정답률 : 50%
36.
다음 중 인체 측정자료의 응용원칙에서 자동차의 좌석이나 사무실 의자 등의 설계에 가장 적합한 원칙은?
1.
조절식 설계원칙
2.
평균값을 이용한 설계원칙
3.
최소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4.
최대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 인체측정자료의 원칙 1.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 최대치, 최소치 설계 2. 조절식 설계 : 인간공학적 설계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 - 자동차 좌석 조절이나 사무실 의자 조절에 사용됨 3. 평균치 설계 : 은행 계산대나 식당의 식탁 및 의자에 사용됨
문제에 힌트가 있네요, 자동차의 좌석이나 사무실 의자 등의 설계라는 말이 나오면 무조건 조절식 설계가 답이죠 [해설작성자 : 김행복]
37.
[그림]의 FT도에서 Fussell의 알고리즘에 의해 구한 컷셋으로 옳은 것은?
1.
(1,2),(1,3),(2,3),(2,4)
2.
(1,3),(1,4),(2,3),(2,4)
3.
(1,2),(1,3),(1,4),(2,4)
4.
(1,3),(1,4),(2,3),(3,4)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OR부분을 세로로 나열하여 쓴 후 AND부분을 가로로 쓴 후 분배하면 컷셋의 결과값이 나온다. (1,3)(1,4) (2,3)(2,4)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38.
다음 중 인간-기계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보의 수용
2.
정보의 저장
3.
행동 기능
4.
정보의 설계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감지기능 정보 보관기능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행동 [해설작성자 : 합격합시다~~]
39.
FTA(Fault Tree Analysis)에 사용되는 논리 중에서 입력사상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발생하게 되면 출력사상이 발생하는 것은?
1.
AND GATE
2.
OR GATE
3.
기본사상
4.
통상사상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AND 게이트 : 입력사상이 전부 발생한 경우엔 출력사상이 발생하는 논리게이트 2. OR 게이트 : 한개 이상의 입력사상이 발생하면 출력사상이 발생하는 논리게이트 3. 기본사상 : 더이상 전제할 수 없는 사건이 원인 4. 통상사상(오타) : 유동계통 층 변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발생이 예상되는 사상
PS : 이 문제 역시 문제에 힌트가 있습니다, 점수 거저 먹는 거죠~ 하나라도 발생하면 출력이 발생하는 것이면 OR 게이트죠. [해설작성자 : 김행복]
40.
위험관리와 안전관리와의 경계 구분에 있어 다음 중 안전관리의 영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해의방지
2.
안전공학적 연구
3.
안전과 건강관리
4.
손해에 대한 자금융통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안전관리는 무엇보다도 재해가 일어나더라도 재해를 재발하고 또 방지하고 안전공학적 연구로 작업자들이 안전한 작업장 환경에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사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고를 막고 사고예방교육이나 환경개선 등을 실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주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손해에 대한 자금융통은 그저 안전관리가 아닌 위험관리 중 하나입니다. [해설작성자 : 콘트넘]
<문제 해설> O3: 오존 코로나 방전 시 오존=산화질소 발생함 [해설작성자 : 외울게 너무 많아 ]
62.
다음 중 가스누설검지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지원리는 반도체식, 접촉연소식 등이 있다.
2.
경보방식에서 가스농도가 경보설정치에 달했을 직후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을 반한시경보험이라 한다.
3.
경보방식에서 가스농도가 경보설정치에 달한 후 일정시간 그 농도 이상의 상태를 지속했을 때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을 경보지연형이라 한다,
4.
가스경보기는 방폭성과 견고성이 요구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직후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은 '고속형'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부동산학원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직후에 경보를 발하는 방식을 '즉시경보형'이라 함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6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실한 접지를 하여야 하는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기기계∙ 기구의 금속제 외피 및 철대
2.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전동식 양중기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금속체
3.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코드 및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
4.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가계∙기구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동등 이상으로 보호되는 기구들인데 굳이 접지를 할 필요는 없겠죠? [해설작성자 : 문제를 잘 읽어보면 풀 수 있는 문제]
64.
산업안전보건법상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의 전기기계∙기구로 정격전부하전류가 25A 인 것에 접속 하여야 하는 누전차단기의 작동시간으로 옳은 것은?
1.
0.01초 이내
2.
0.03초 이내
3.
0.05초 이내
4.
0.1초 이내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누전차단기의 성능 -전기기계, 기구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30mA이하이고 작동시간은 0.03초 일 것.다만, 정격 전부하전류가50A이상인 전기기계, 기구에 접속되는 누전차단기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격감도전류는 200mA이하로 작동시간은 0.1초 이내로 할수 있다. [해설작성자 : 허광선(신소재화공계열 하이팅!)]
고용노동부장관은 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상태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를 다시 제출하도록 명할 수있다.
4.
고용노동부장관은 공정안전보고서를 심사한 후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유에는 그 고정안전보고서의 변경을 명할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1. 공정안전자료 : 유해물질의 종류 및 수량, 물질안전보건자료, 공정도면 2. 공정위험성평가서 : HAZOP 기법, 체크리스트 기법, 작업자 실수분석기법, PHA 기법, ETA기법, CCA 기법 등 3. 안전운전계획 : 안전운전 지침서, 근로자 교육계획, 가동전 점검지침,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등 4. 비상조치 계획 : 비상조치를 위한 장비 및 인력 보유현황, 비상연락체계
사업주가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한 후에는 반드시 고용노동부 장관을 확인을 받아야 하며 고용노동부 장관은 공정안전보고서에 따라 이행상태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정안전보고서를 다시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장관은 공정안전보고서를 ㅍ검사한 후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그 공정안전보고서를 변경하라고 명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74.
60Hz 정현파 교류에 의해 인체가 감전되었을 때 다른 손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감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대전류(가수전류 또는 마비한계전류)의 크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0 ~ 15mA
2.
20 ~ 35mA
3.
30 ~ 35mA
4.
40 ~ 45mA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다른사람의 도움없이" 가 포인트 제일 적은 10~15정도여야 혼자 벗어 나겠죠? [해설작성자 : 피카츄]
B급 화재의 소화에 있어 첫 단계는 가능하다면 불을 일으키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4.
소화제로서의 물은 제5류 위험물에 대한 소화 적응성이 떨어지므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B급화재 - 유류화재 B급(유류화재)시 원료가 되면 기름을 차단하면 좋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0.
가연성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의 경우 방폭구조의 전기 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방폭구조의 전기 기기 선정 시 고려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화도
2.
위험장소의 종류
3.
폭발성 가스의 폭발 등급
4.
부하용량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부하용량은 현장마다 상황마다 달라질수 있는데 미리정하고 사용하긴 그릏쵸 [해설작성자 : 넌 내 부하]
81.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주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 방지장치를 한다.
2.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여야 한다.
3.
지주부재와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75˚ 이하로 한다.
4.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이상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면 추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말비계 조립하여 사용시 준수사항 1. 지주 부재의 하단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장치를 설치할 것 2. 근로자가 양측 끝부분에 올라서서 작업하지 않도록 할 것 3. 지주 부재와 수평면의 기울기는 75도 이하로 할 것 4. 지주부재와 지주부재 사이를 고정시키는 보조부재를 설치할 것 5.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40cm 이상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82.
근로자의 추락 등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할 때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2.
난간대는 지름 1.5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3.
난간기둥은 상부난간대 와 중간난간대를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도록 작장간격을 유지할 것
4.
상부난간대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120cm 이하에 설치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난간대는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해설작성자 : 빡세]
83.
다음 중 콘크리트측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슬럼프
2.
타설속도
3.
대기의 온도 및 습도
4.
거푸집의 종류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슬럼프: 슬럼프카 크고 배합이 좋을수록 크다. 2. 타설속도 :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이 크다. 3. 대기의 온도 및 습도 : 습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분홍토리 ]
<문제 해설> 가설통로 설치 시 준수사항 1. 경사는 30도 이하로 할 것 2. 경사가 15도를 초과할 때는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할 것 3. 추락할 위험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한다. 4. 수직갱이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경우 10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김행복]
89.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11월 14일부터 개정된 규정 적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