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재해운동 추진기법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지적확인
2.
T.B.M
3.
터치 앤드 콜
4.
삼각 위험 예지훈련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위험요인이나 중요 포인트에 대해 체크하면서 큰 소리로 제창하는 것 작업 시작 전 눈,손,입, 귀를 이용하여 뇌를 자극시켜 안전을 확보 하기 위한 것 [해설작성자 : ㅇ2ㅇ2]
작업의 정확성이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해 오관의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작업시작 전에 뇌를 자극시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으로 작업을 안전하게 오조작 없이 실시하기 위해 작업공정의 요소요소에서 자신의 행동을 [...,좋아!]하고 대상을 지적하여 큰 소리로 확인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중동남궁민]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 유해/위험기계가 아닌 것은?
1.
선반
2.
리프트
3.
압력용기
4.
곤돌라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전검사 유해/위험기계 : 프레스, 전단기, 크레인, 리프트, 압력용기, 곤돌라, 국소배기장치, 원심기,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건조설비 및 그 부속설비, 롤러기, 사출성형기
따라서 선반은 안전검사 유해/위험기계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손지희]
3.
50인의 상시 근로자를 가지고 있는 어느 사업장에 1년간 3건의 부상자를 내고 그 휴업일수가 219일 이라면 강도율은?
<문제 해설> 리더십 3가지 유형 1. 민주형: 집단토론, 집단결정. 2. 권위(전제,독재)형: 모든 정책을 지도자 단독 결정. 3. 자유 방임형: 구성원들에게 자유를 주며 지도자는 자리만 지키는 것. [해설작성자 : 전주사스케]
1번 : 자유방임형 2번 : 권위(전제)형 3번 : 민주형 4번 : 자유방임형 [해설작성자 : 합격!]
6.
하인리히의 사고발생의 연쇄성 5단계중 2단계에 해당되는 것은?
1.
유전과 환경
2.
개인적인 결함
3.
불안전한 행동
4.
사고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사회적환경과 유전적요소 2. 개인적 결함 3. 불안전한 행동,상태 4. 사고 5. 재해 [해설작성자 : 지혜야같이놀자]
7.
착시현상 중 그림과 같이 우선평행의 호를 보고 이어 직선을 본 경우에 직선은 호와의 반대방향에 보이는 현상은?
1.
동화착오
2.
분할착오
3.
윤곽착오
4.
방향착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이 현상은 두 곡선(호) 사이에 짧은 직선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짧은 직선은 실제로는 곡선(호) 위에 있는 것이지만, 우리 뇌는 곡선들을 훨씬 더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해석하기 때문에 직선이 호와의 연장선으로 인식됩니다. 우리 뇌는 경험과 관습에 기반하여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런 처리 방식은 현실에서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착시와 같은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우리 뇌가 특정한 규칙이나 패턴을 찾으려는 경향 때문에 잘못된 해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설명하신 착오는 우리 뇌가 곡선(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직선을 호의 반대 방향으로 인식하는 결과로 생기는 현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귀염둥이두꺼비]
8.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
1.
대립
2.
도피
3.
모방
4.
협력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의 기본형태 협력 / 대립 / 도피 / 융합 [해설작성자 : 봄이오면]
9.
안전보건관리조직의 형태 중 라인형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소규모 사업장(100명이하)에 적합하다.
2.
라인에 과중한 책임을 지우기 쉽다.
3.
안전관리 전담요원을 별도로 지정한다.
4.
모든 명령은 생산계통을 따라 이루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라인 조직형 (직계식조직) ①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에서 실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권한이 포괄적이고 직선적으로 행사되며, 안전을 전문으로 분담하는 부분이 없다.(생산조직 전체에 안전관리 기능을 부여한다.) ②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100명 이하에 적합) ③ 라인형의 장점 - 안전지사나 개선조치가 각 부분의 직제를 통하여 생산업무와 같이 흘러가므로 지시나 조치가 철저할 뿐만 아니라 그 실시도 빠르다. -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 뿐이므로 간단 명료하다. ④ 라인형의 단점 - 안전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며 안전전문 입안이 되어 있지 않아 내용이 빈약하다 , . - 생산업무와 같이 안전대책이 실시되므로 불충분하다. - 라인에 과중한 책임을 지우기가 쉽다. [해설작성자 : 보람차구나]
10.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이 3대원칙이 아닌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파레토도: 사고유형, 기인물 등 데이터를 분류하여 그 항목값이 큰 순서대로 정리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낸다. 2. 특성요인도: 재해와 그 요인의 관계를 어골상으로 세분화하여 나타낸다. 3. 크로스분석: 2가지 또는 2개 항목 이상의 요인이 상호관계를 유지할 때 문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4. 관리도: 시간경과에 따른 재해발생 건수 등 대략적인 추이 파악에 사용된다
MIL-STD-882B에서 시스템 안전 필요사항을 충족시키고 확인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우선권을 정하는 순서로 맞는 것은?
1.
4, 2, 1, 3
2.
4, 1, 2, 3
3.
3, 4, 1, 2
4.
3, 4, 2, 1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소 리스크 설계 >> 안전장치 설계 >> 경보장치 설계 >> 절차 및 교육훈련개발 [해설작성자 : 여누찡]
첫번째는 무조건 설계 다음은 경보장치보다 안전장치가 우선이니 ㄴ - ㄱ ㄹ-ㄴ-ㄱ [해설작성자 : 진명이]
설계[를할때] 안[전]경[보]를끼고 개발[훈련] [해설작성자 : 쉽게..]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위해 (안전)한 (경보장치)를 (개발)한다 [해설작성자 : 꼬롱]
22.
반복되는 사건이 많이 있는 경우 FTA의 최소 컷셋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Fussel Algorithm
2.
Boolean Algorithm
3.
Monte Carlo Algorithm
4.
Limnios & Ziani Algorithm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최소컷셋과 관련없다는 문제의 답은 무조건 몬테카를로 알고리즘 자주나옴 [해설작성자 : 몬테 윌리엄스가 몬테 카를로 형인가?]
23.
계수형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한 것은?
1.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하는 경우
2.
짧은 판독 시간을 필요로 할 경우
3.
판독 오차가 적은 것을 필요로 할 경우
4.
표시장치에 나타나는 값들이 계속 변하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계수형은 전자저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번에 수치를 정확히 읽어야 하는데 4번에 값이 계속 변화면 안되겠죠?!! 2.3은 상식적으로 이해감 [해설작성자 : 상식있으면 1/3은 푼다]
24.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시설배치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기계배치는 작업의 흐름을 따른다.
2.
작업자가 통로 쪽으로 등을 향하여 일하도록 한다.
3.
기계설비 주위에 운전공간, 보수점검 공간을 확보한다.
4.
통로는 선을 그어 명확히 구별하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통로 쪽에 등이 향하면 사람들이 들락날락하다 부딧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하유아빠]
25.
기계의 고장율이 일정한 지수분포를 가지며, 고장율이 0.04/시간 일 때, 이 기계가 10시간 동안 고장이 나지 않고 작동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1.
0.40
2.
0.67
3.
0.84
4.
0.96
정답 : [
2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고장이 나지 않고 작동할 확률 = 신뢰도 신뢰도 R(t)=e^(-0.04x10) = e^(-0.4)=0.67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나그네..총총]
26.
청각적 표시의 원리로 조작자에 대한 입력신호는 꼭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한다는 원리는?
1.
양립성
2.
분리성
3.
근사성
4.
검약성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청각 표시장치 설계시 지침 양립성: 사용자가 알고 있거나 자연스러운 신호 차원과 코드를 사용하는 것 근사성: 주의를 끄는 주의 신호와, 주의 신호 후 식별된 신호에 정확한 정보를 지정하는 지정신호로 이루어진 것 분리성: 두 가지가 동시에 울릴 때 식별할 수 있는 것 검약성: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 불변성: 동일 신호는 항상 동일한 정보를 지정하도록 하는 것 [해설작성자 : 개맛살]
양립성 : 긴급신호는 높은 주파수 근사성 : 복잡한 정보는 2단계 신호를 고려한다 분리성 : 두 가지 이상의 채널은 각각 분리되어야 한다 검약성 : 조작자 입력신호는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 불변성 : 동일한 신호는 항상 동일한 정보를 지정 [해설작성자 : ㅎㅎ]
27.
불대수의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1.
A(A·B)=B
2.
A+B=A·B
3.
A+A·B=A·B
4.
A+B·C= (A+B)(A+C)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불대수의 관계식은 집합의 관계식으로 보고 계산한다. 집합에서는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이 성립하므로 4번이 답이다. [해설작성자 : main]
어려우면 하나하나 계산해 봅시다. 1. A(A*B)=B > A B 0 1 0(0*1)=0 , B = 1 1 0 1(1*0)=0 , B = 0 1 1 1(1*1)=1 , B = 1 B가 1이어도 0이라는 답이 나왔으니 A(A*B)=B가 성립되지 않네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두번째 해설자님 동하중 공식 정하중/중력가속도*가속도가 아니라, 정하중×가속도/중력가속도 입니다. 적어주신 공식 계산하면 4000/245인데 답이 16,3----으로 나옵니다 수험자분들 헷갈리실 수 있으니 한번 계산보신 후에 검토하고 해설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기파이팅]
<문제 해설> [오류신고 반론] 제22조(통로의 설치) ① 사업주는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 또는 작업장 내에 근로자가 사용할 안전한 통로를 설치하고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통로의 주요 부분에 통로표시를 하고,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6. 7. 11.>
③ 사업주는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에는 장애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에 장애물을 설치할 수밖에 없거나 통로면으로부터 높이 2미터 이내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고용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에는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6. 7. 11.>
<문제 해설> 외우기 쉽게 지게차x지게차 곱한게 화물x화물 곱한것 보다 커야됨. [해설작성자 : 공부중]
시소를 생각합시다. 무거운쪽으로 기우는것처럼 화물 * 화물이 지게차*지게차보다 무거우면 앞으로 화물쪽으로 지게차가 꼬꾸라지겠죠? [해설작성자 : ms5806]
55.
선반 등으로부터 돌출하여 회전하고 있는 가공물에 설치할 방호장치는?
1.
클러치
2.
울
3.
슬리브
4.
베드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회전체에는 덮개 울 이렇게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펭하]
56.
작업자의 신체움직임을 감지하여 프레스의 작동을 급정지시키는 광전자식 안전장치를 부착한 프레스가 있다. 안전거리가 48cm인 경우 급정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최대 몇 초 이내일 때 안전한가? (단, 급정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손이 광선을 차단한 순간부터 급정지기구가 작동하여 슬라이드가 정지할 때 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정상동작표시등은 녹색, 위험표시등은 붉은색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수 있는 곳에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버튼 매립형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 남구 전어회무침]
58.
프레스기에 사용되는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1/4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한다.
2.
방호판의 폭은 금형폭의 1/2 이상이어야 하고, 행정길이가 300mm 이상의 프레스기계에는 방호판 폭을 300mm로 해야 한다.
3.
부착볼트 등의 고정금속부분은 예리하게 돌출되지 않아야 한다.
4.
손쳐내기봉의 행정(Stroke) 길이를 금형의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진동폭은 금형폭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슬라이드 하행정거리 3/4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상현 신]
59.
연삭숫돌의 상부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탁상용 연삭기 덮개의 노출각도는?
1.
60도 이내
2.
65도 이내
3.
80도 이내
4.
125도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탁상용 연삭기의 덮개 1 덮개의 최대 노출각도 90도 이내 (원주의 1/4 이내) 2 숫돌 주축에서 수평면 위로 이루는 원주각도 60도 이내 3 수평면 이하의 부문에서 연삭할 경우 125도 이내 4 숫돌의 상부사용을 목적으로 할 경우 60도 이내 [해설작성자 : 포기하지않는4수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온형이 아니라 방사선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민서는곤듀야~~]
69.
전기기기의 과도한 온도상승, 아크 또는 불꽃발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통한 안전도를 증가시킨 방폭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충전방폭구조
2.
안전증방폭구조
3.
비점화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충전방폭구조 : 점화원을 주위 충전물질로 충전하여 격리시킨 방폭구조 2. 안전증방폭구조 : 위험분위기가 형성된 장소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전성을 인증받아 사용가능한 방폭구조 3.비점화 방폭구조 : 스파크 방지용 방폭구조 4. 본질안전 방폭구조 : 정상상태 또는 인증된 위험분위기에서 전기회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너지가 최소점화에너지 이하로 통제되어 외부 가연성 혼합기의 폭발성 가스가 점화될 우려가 없는 구조 [해설작성자 : 김행복]
70.
다음 중 정전기의 발생요인을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도전성 재료에 의한 발생
2.
박리에 의한 발생
3.
유동에 의한 발생
4.
마찰에 의한 발생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마빡유분가득으로 외웁시다. [해설작성자 : 기술사 까지 이쿠]
71.
다음 중 독성이 강한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일산화 탄소 > 염소 > 아세톤
2.
일산화 탄소 > 아세톤 > 염소
3.
염소 > 일산화 탄소 > 아세톤
4.
염소 > 아세톤 >일산화 탄소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조건 아세톤이 제일 낮다는거 기억하시면 됩니다. (매니큐어 지울 때도 사용) [해설작성자 : 점진적 과부하]
굴착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에 따른 인력굴착 작업 시 굴착면이 높아 계단식 굴착을 할 때 소단의 폭은 수평거리로 얼마 정도하여야 하는가?
1.
1m
2.
1.5m
3.
2m
4.
2.5m
정답 : [
3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굴착면이 높은 경우에는 계단식 굴착 소단의 폭은 수평거리 2(M) 정도를 유지하여야함 [해설작성자 : 이예찬]
83.
다음 빈칸에 알맞은 숫자를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2022년 10월 18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2, 2
2.
2.5, 3
3.
1.5, 2
4.
1,3
정답 : [
1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2. 10. 18.] [고용노동부령 제367호, 2022. 10. 18., 일부개정] 제60조(강관비계의 구조) 사업주는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5. 31., 2019. 10. 15., 2019. 12. 26.>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 방향에서는 1.85미터 이하, 장선(長線) 방향에서는 1.5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선박 및 보트 건조작업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구조검토를 실시하고 조립도를 작성하면 띠장 방향 및 장선 방향으로 각각 2.7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2. 띠장 간격은 2.0미터 이하로 할 것. 다만, 작업의 성질상 이를 준수하기가 곤란하여 쌍기둥틀 등에 의하여 해당 부분을 보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비계기둥의 제일 윗부분으로부터 31미터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개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다만, 브라켓(bracket, 까치발) 등으로 보강하여 2개의 강관으로 묶을 경우 이상의 강도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비계기둥 간의 적재하중은 400킬로그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84.
다음 건설기계중 360도 회전작업이 불가능 한 것은?
1.
타워 크레인,
2.
크롤러 크레인
3.
가이데릭
4.
삼각데릭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삼각데릭 = 270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삼각데릭=트라이 앵글데릭=스티프레그 데릭 다 같은말 입니다 [해설작성자 : 여 사무라이! 카무사리~!]
85.
지내력 시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하중-침하량 곡선을 얻었을 때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로 옳은 것은? (단,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 단기하중에 대한 허용 지내력도×1/2)
1.
6 t/m2
2.
7t/m2
3.
12t/m2
4.
14t/m2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2 x 1/2 = 6 [t/m^2) [해설작성자 : 승원]
86.
앞 뒤 두 개의 차륜이 있으며(2축 2륜) 각각의 차축이 평행으로 배치된 것으로 찰흙, 점성토 등의 두꺼운 흙을 다짐하는 데는 적당하나 단단한 각재를 다지는 데는 부적당한 기계는?
1.
머케덤 롤러
2.
탠덤 롤러
3.
래머
4.
진동롤러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탠덤 롤러 : 점섬토, 자갈 등 마무리 작업에 적당하며 2축 2륜이 보통 [해설작성자 : SGH]
탠덤 롤러 2축 2륜
머캐덤 롤러 3축 2륜
가장 많이 나오는것들이니 글자개수로 구별하면 외우기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잔머리의정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 중, 머케덤 롤러는 2축 3륜입니다.
87.
다음은 건설현장의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항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m
2.
3m
3.
4m
4.
5m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m아닙니까? [해설작성자 : ㅎ]
[오류신고 반론] 2m맞음 3m은 투하 설비 [해설작성자 : ㅓㅇ]
[오류신고 반론] ㅓㅇ 해설 맞음. [해설작성자 : 전어회무침]
[오류신고 반론] 답 2[m] 2021 에듀윌 산업안전산업기사 기출문제집 2017년 3회 99번 문제 [해설작성자 : 응애 나 아기 ]
88.
작업장의 바닥, 도로 및 통로등에서 낙하물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의 필요한 조치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보호망 또는 방호 선반의 설치
2.
출입금지구역의 설정
3.
낙하물 방지망의 수평면과의 각도는 20도 이상 30도 이하 유지
4.
낙하물 방지망을 높이15m 이내마다 설치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낙하방지망의 높이는 10m이내 마다 설치 [해설작성자 : 계산 마스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에서 수직이아니라 수평아닌가요 낙하물인데 [해설작성자 : 참치]
[오류신고 반론] 낙하물방지망은 높이 10[m] 이내마다 설치 고로 틀린건 4번 2021 에듀윌 산업안전산업기사 기출문제집 2017년 3회 83번 문제 [해설작성자 : 응애 나 아기 ]
[오류신고 반론] 낙하-비래 위험방지 조치중에 낙하물 방지망,수직보호망 및 방호선반의 설치라고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구민사 파트5 낙하,비래재해 및 대책 참조]
89.
화물취급작업 중 화물 적재 시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하 우려가 없는 튼튼한 기반위에 적재할 것
2.
중량의 화물은 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건물의 칸막이나 벽에 기대어 적재할 것
3.
불안정할 정도로 높이 쌓아 올리지 말 것
4.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무게 중심이 안잡혀서 쓰러집니다 ~
90.
하루의 평균기온이 4°C이하로 될 것이 예상되는 기상조건에서 낮에도 콘크리트가 동결의 우려가 있는 경우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의 높이가 2m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cm
2.
20cm
3.
30cm
4.
40cm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작업발판의 폭이 40cm 이상이 되도록 한다. *발판재료 간의 틈은 3cm 이하로 한다. *작업 발판을 작업에 따라 이동시킬 경우에는 위험방지에 필요 조치를 한다. *작업발판 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 이상의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시킨다. [해설작성자 : 해설지보고 적음.]
작업발판 필요한 비계 최소높이, 비계 폭, 발판재료 틈 등은 빈출문제로 한꺼번에 묶어서 암기하면 편리함.
2002년05월26일 기출문제 비계의 폭과 발판재료 간의 틈으로 적합한 것은? 비계폭 40cm이상, 발판재료간의 틈 3cm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2m 이상의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에서 작업할 때 작업발판의 구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작업발판의 폭(외줄비계 제외) : 40cm 이상, 발판 재료간의 틈 : 3cm 이하
2008년03월02일 기출문제 기준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설치가 필요한 비계의 최소 높이는? - 2m
2010년05월09일 기출문제 말비계의 높이가 2m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발판의 폭을 ( )cm 이상으로 할 것 - 40
2017년08월26일 기출문제 비계(달비계, 달대비계 및 말비계 제외)의 높이가 2m이상인 작업장소에 적합한 작업발판의 폭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40cm
2016년03월06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위 (중략) 폭 ( ) 이상의 발판 - 30cm 2019년04월27일 기출문제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 위에서 작업을 할 때 발이 빠지는 등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발판의 폭 기준은? - 30cm 이상
※ 달비계, 5m 이상 비계 조립/해체 작업 시(즉 비계에서 직접 작업이 아닌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임) - 20cm [해설작성자 : 블베리(펄 샤이닝 블루베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①
②
③
②
②
③
③
③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②
④
②
②
①
①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③
④
②
②
④
④
①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③
①
④
③
①
③
④
②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①
③
③
④
③
④
④
①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②
②
①
②
③
①
①
①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③
④
③
②
①
①
④
②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④
②
①
②
②
④
②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②
③
①
④
①
②
①
④
②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④
①
③
④
①
③
①
③
④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