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 분 해설을 보고 외우는 방법 생각나서 써봅니다.. 자극 = 손 발(반) 파 스 손다이크 반두라 파블로 스키너 요렇게 외워도 될거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남기사]
4.
학생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외부에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기 위하여 자기 스스로가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도의 형태는?
1.
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2.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3.
구안법(Project method)
4.
문제법(Problem method)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케이스 메소드 : 사례 연구법 개인이나 집단, 또는 기관 등을 하나의 단위로 택하여 그 특수성을 정밀하게 연구·조사하는 연구방법 -패널 디스커션 : 토론집단을 패널 멤버와 청중으로 나누고 먼저 소정의 문제에 대해 패널 멤버인 각 분야의 전문가로 하여금 토론하게 한 다음 청중과 패널 멤버 사이에 질의응답을 하도록 하는 토론 -구안법 : 학생이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것을 외부에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형상화하기 위하여 자기스로가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지도 -문제법 : 유의미(有意味)한 문제를 중심으로 생생하고 종합적인 학습을 시키려는 하나의 방법 [해설작성자 : 앙 기무찌]
학생이 고안(구안)한다.. [해설작성자 : 꼬롱]
1.케이스 메소드(Case Method = 사례연구법) : 먼저 사례를 제시, 문제적 사실들과 그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검토하고 대책을 토의하는 학습법 2.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 패널 멤버가 토의를 하고, 전원이 참가하여 사회자 사회에 따라 토의하는 학습법 3.구안법(Project method) : 학습자가 마음속에 생각하고 있는 (자신의 목표)을 스스로 계획을 세워 수행하는 학습활동 * 구안법 실시순서: 1단계 목적 -> 2단계 계획 -> 3단계 수행 -> 4단계 평가 4.문제법(Problem Method) : 새로운 문제에 당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 * 문제법 실시순서: 1단계 문제의 인식 -> 2단계 해결방법의 연구 계획 -> 3단계 자료의 수집 -> 4단계 해결방법의 실시 -> 5단계 정리와 결과의 검토 [해설작성자 : 웁쓰]
5.
헤드십(Headship)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성원과 사회적 간격이 좁다.
2.
지휘의 형태는 권위주의적이다.
3.
권한의 부여는 조직으로부터 위임받는다.
4.
권한귀속은 공식화된 규정에 의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헤드십 : 외부에 의해 선출된 지도자로서 명목상의 리더(권위주의적, 개인중심,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유대관계가 원활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예아배붸]
헤(드)쉽 (넓다) = 드넓다 리(더)쉽 (좁다) = 더좁다 [해설작성자 : 세벽]
6.
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의 일반구조가 아닌 것은?
1.
착장체
2.
충격흡수재
3.
선심
4.
모체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선심이란, 안전화 앞 코에 위치하는 철판을 말함 [해설작성자 : 2vne]
안전모구조 - 모체 착장체 충격흡수재 턱끈 챙(차양)
착장체 - 머리받침끈 머리고정대 머리받침고리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7.
Safe-T-Scor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관리의 수행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2.
기업의 산업재해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 평가한 점수로 단위가 없다.
3.
Safe-T-Score가 +2.0 이상인 경우는 안전관리가 과거보다 좋아졌음을 나타낸다.
4.
Safe-T-Score가 +2.0 ~ -2.0 사이인 경우는 안전관리가 과거에 비해 심각한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Safe-T-Score : 과거와 현재의 안전 성적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이다. +2.0 이상 : 과거보다 심각하게 나빠졌다. +2.0 ~ -2.0 : 심각한 차이가 없다. -2.0 이하 : 과거보다 좋아졌다. [해설작성자 : 포항폴리텍]
Safe-T-Score점수: 골프 점수처럼 높을수록 안 좋은 거임 [해설작성자 : 골프 한번도 안 쳐봄]
<문제 해설> ○ 원형 : 금지, 지시 ◇ 마름모 : 경고(화학물질) △ 삼각형 : 경고(그외) □ 사각형 : 안내 [해설작성자 : 예비 합격자]
10.
재해 발생 시 조치사항 중 대책수립의 목적은?
1.
재해발생 관련자 문책 및 처벌
2.
재해 손실비 산정
3.
재해발생 원인 분석
4.
동종 및 유사재해 방지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대책수립을 통해 더 이상의 유사 재해를 막기 하기 위함이다.
11.
기업 내 정형교육 중 대상으로 하는 계층이 한정되어 있지 않고, 한번 훈련을 받은 관리자는 그 부하인 감독자에 대해 지도원이 될 수 있는 교육방법은?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대상으로 하는 계층이 한정되어있지 않음. 한번 훈련을 받은 관리자는 그 부하인 감독자에 대해 지도원이 될 수 있음. 1차 훈련과 2차 훈련으로 진행됨 1차 과정 : 1일 8시간씩 2주간 2차 과정 :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훈련내용 : 계획적 감독, 작업의 계획 및 인원배치, 작업의 감독, 공구 및 자료보고 기록, 개인작업의 개선, 종업원의 향상, 인사관계, 훈련, 고객관계, 안전, 부대군인의 복무조정 등. [해설작성자 : 맑음이]
계층이 한정되어 있지 않다 = 다양한 계층과 인종들이 사는 미국인(American)을 생각하면 됨. [해설작성자 : 굉장한 라면]
12.
부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리더십 중 조언, 설명, 보상조건 등의 제시를 통한 적극적인 방법은?
1.
강요
2.
모범
3.
제언
4.
설득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설득 1. 조언, 설명, 보상조건 등 제시 2. 적극적인 리더십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13.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제4단계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인사조정
2.
작업분석
3.
기술의 개선
4.
교육 및 훈련의 개선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단계 - 안전관리 조직 안전관리조직을 구성,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적 기술을 가진 조직을 통해 안전활동 수립
2단계 - 사실의 발견 사고 및 활동 기록 검토, 작업분석, 안전점검 및 검사 사고조사, 토의, 불안적 요소를 발견
3단계 - 원인규명 ( 분석평가 ) 사고 보고서 및 현장 조사 분석, 사고 기록 관계 자료 분석 인적 및 물적 환경 조건 분석, 작업공정분석, 교육 훈련 분석
4단계 - 대책의 선정 ( 시정방법의 선정 ) 기술적 개선, 인사치조정, 교육 및 훈련 개선 안전행정의 개선, 규정 및 제도 개선, 효과적인 개선방법 선정
5단계 - 대책의 적용 ( 시정책의 적용 ) 하베이 3E - 기술, 교육, 관리 [해설작성자 : 맑음이]
1. 일단 조직 만들고 2. 사고가 난 사실 발견하겠죠? ->기록검토 분석 검사 조사 등등 실시 3. 사고의 원인을 알아야죠 ->보고서분석 기록자료분석 환경이나 훈련 분석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것이쥬) 4. 원인을 알았으니 그에 대한 대책 선정 ->개선, 인사조정등등 5. 선정한 대책 적용해야쥬 ->하베이 3E 기술 교육 관리 [해설작성자 : 논리적으로]
사고예방대책 5단계 ==> 저는 "조사분시시"로 배웠습니다 조 - 조직구성 사 - 사실발견 분 - 분석 시 - 시정책선정 시 - 시정책적용 [해설작성자 : 합격예정자]
14.
주의(attention)의 특성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받을 때 소수의 특정 한 것에만 반응하는 것은?
1.
선택성
2.
방향성
3.
단속성
4.
변동성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선택성 - 여러종류의 자극을 수용하지 못함, 소수의 특정한것만 집중 방향성 - 시선의 초점에 맞으먼 쉽게 인지, 시선에서 벗어나면 무시되기 쉽다 변동성 - 언제나 일정한 수순을 지키지 못함 [해설작성자 : 언더s]
산업재해 예방의 4원칙 1. 예방 가능의 원칙 :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함. 2. 손실 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 생기는 상해의 종류와 정도는 사고 발생시 사고대상의 조건에 따라 우연히 발생한다. 3. 대책 선정의 원칙 : 사고의 원인에 대한 적합한 대책이 선정되어야 한다. 4. 원인 연계(계기)의 원칙 : 재해는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이 연계되어 일어난다. [해설작성자 : 무]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관리감독자의 업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해당 작업에 관련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점검 및 이상유무의 확인
2.
해당 사업장 산업보건의 지도·조언에 대한 협조
3.
위험성평가를 위한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위험요인의 파악 및 그 결과에 따라 개선조치의 시행
4.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조언·지도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관리 감독자의 업무 1. 사업장 내 관리 감독자가 지휘 감독하는 작업 및 관련된 기계,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 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확인 2. 관리 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 보호구 및 방호장치 점검과 그 착용, 사용에 관한 교육지도 3. 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4.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정돈 및 통로확보 5. 사업장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의 지도,조언에 대한 협조 (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사업보건의,안전보건관리 담당자) 6. 위험성 평가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업무 : 유해 위험 요인의 파악에 대한 참여, 개선 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 (보기에 관련 없는 내용은 4번 맞습니다! 헷갈리지 마시길 바래요~) [해설작성자 : 해피]
17.
400명의 근로자가 종사하는 공장에서 휴업일수 127일, 중대 재해 1건이 발생한 경우 강도율은? (단, 1일 8시간으로 연 300일 근무조건으로 한다.)
1.
10
2.
0.1
3.
1.0
4.
0.01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근로손실일수 = 휴업일수 * 300/365 입니다.
따라서 (127*300/365) -------------- * 1000 (400*8*300)
0.108 ≒ 0.1 이 되겠네요-! [해설작성자 : 스피드웨건]
휴업일수 x 근무일수 x 1000 -------------------------------- 근로자 x 시간 x 근무일수 x 365
"스피드웨건"님의 식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위와 같이 되고, 근무일수를 약분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히 정리됨
휴업일수 x 1000 -------------------- <== 이 공식을 암기하셔도 무방할 것으로 보임 근로자 x 시간 x 36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크레인, 리프트 및 곤돌라의 안전검사의 주기로 옳은 것은? (단, 이동식 크레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1.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2.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1년마다
3.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2년마다
4.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3년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크레인(이동식 크레인은 제외한다),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및 곤돌라 :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해설작성자 : 맑음이]
20.
위험예지훈련 4R방식 중 각 라운드(Round)별 내용 연결이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관리자 입니다. 2024년부터 무재해 운동 및 위험예지훈련이 시험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참고 문제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좋은 경우는?
1.
메시지가 후에 참고 되지 않을 때
2.
메시지가 공간적인 위치를 다룰 때
3.
메시지가 시간적인 사건을 다룰 때
4.
사람의 일이 연속적인 움직임을 요구할 때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청각장치사용
① 전언이 간단하다 ② 전언이 짧다 ③ 전언이 후에 재참조 되지 않는다 ④ 전언이 시간적 사상을 다룬다 ⑤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한다(긴급할 때) ⑥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유지가 필요시 ⑦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일 때 ⑧ 수신자가 시각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시각장치사용
① 전언이 복잡하다 ② 전언이 길다 ③ 전언이 후에 재참조된다 ④ 전언이 공간적인 위치를 다룬다 ⑤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⑥ 수신장소가 너무 시끄러울 때 ⑦ 직무상 수신자가 한곳에 머물 때 ⑧ 수신자의 청각 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때 [해설작성자 : 공백]
어디갈때(공간적) 길묻는것보단(청각) 카카오지도보는게(시각) 낫다 라고 생각하면 될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22.
체계분석 및 설계에 있어서 인간공학의 가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능의 향상
2.
인력 이용율의 감소
3.
사용장의 수용도 향상
4.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 감소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기계 체계의 설계에 있어서 인간공학의 가치 ① 적절한 배경 ② 적절한 장비 ③ 적절한 환경 ④ 적절한 직무 ⑤ 훈련 비용의 절감 ⑥ 인력 이용률의 향상 ⑦ 사고 및 오용으로부터의 손실 감소 ⑧ 생산 및 정비 유지의 경제성 증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3.
휘도(luminance)의 척도 단위(unit)가 아닌 것은?
1.
fc
2.
fL
3.
mL
4.
cd/m2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foot-Lambert, nit(cd/m^2), milli-lambert : 빛의 밝기 정도 / 시각 자극의 정도 / 광원(cd)의 밝기
소요조명 fc = 광속발산도 / 반사율
반사율= 휘도 x 3.14 / 조도
조도= 광도 / 거리^2
24.
신체 반응의 척도 중 생리적 스트레스의 척도로 신체적 변화의 측정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혈압
2.
부정맥
3.
혈액성분
4.
심박수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혈액성분은 생화학적 측정요소이다. [해설작성자 : 공부잼뱅]
25.
안전성의 관점에서 시스템을 분석 평가하는 접근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런 일은 금지한다.”의 개인판단에 따른 주관적인 방법
2.
“어떻게 하면 무슨 일이 발생할 것인가?”의 연역적인 방법
3.
“어떤 일은 하면 안 된다.”라는 점검표를 사용하는 직관적인 방법
4.
“어떤 일이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처리하여야 안전한가?”의 귀납적인 방법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안전과 관련된 사항에서는 절대 주관적인 생각에 따라 행동하면 안됩니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다음의 연산표에 해당하는 논리연산은?
1.
XOR
2.
AND
3.
NOT
4.
OR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XOR은 X1,X2값이 서로 다를때만 1이 출력됨 2.AND는 X1,X2값이 1일때만 1이 출력됨 3.NOT은 출력값이1이면0으로 0이면1로 출력됨 4.OR은 X1,X2값이 0일때만 0이 출력됨
[추가 해설]
1.XOR : 두개의 입력이 서로 다를때 1출력 2.AND : 두개의 입력이 서로 1일때 출력 3.NOT : 입력과 반대 출력 4.OR : 입력중 하나가 1일때 1출력
27.
항공기 위치 표시장치의 설계원칙에 있어,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통합
2.
양립적 이동
3.
추종표시
4.
표시의 현실성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양립적 이동 (Principle of Compatibility Motion) - 항공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부분의 영상은 고정된 눈금이나 좌표계에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산기 1트]
28.
근골격계 질환의 인간공학적 주요 위험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과도한 힘
2.
부적절한 자세
3.
고온의 환경
4.
단순 반복 작업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문제에서 묻는건 “근골격계”질환 입니다. 뼈가 망가지는 작업이 아닌 것을 고르는거에요
29.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생산설비의 경우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나 생산성을 위해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설계 시 안전장치를 제거하면 작동이 안 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무엇인가?
1.
Fail Safe
2.
Fool Proof
3.
Lock Out
4.
Tamper Proof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Tamper Proof = 쉽게 변경할수없는 [해설작성자 : 2vne]
1. 페일 세이프 (Fail Safe): 기계,설비가 고장나더라도 사고로 연결되지 않도록 항상 안전하게 작동 2. 풀 프루프 (Fool proof): 작업자의 실수가 있더라도 사고로 연결되지 않도록 항상 안전하게 작동 [해설작성자 : 캐논인]
Tamper = 함부로 변경하다, 부정수단을 쓰다 안전장치를 제거하는 것은 본래 기능을 함부로 변경하거나 부정수단을 사용한것이라 볼 수 있겠죠 [해설작성자 : 시험 3일 남았다아]
30.
FTA의 활용 및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결함 진단
2.
사고원인 규명화의 간편화
3.
사고원인 분석의 정량화
4.
시스템의 결함 비용 분석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FTA : (결함수법, 결함관련수법, 고장의 목(木)해석법 등으로 해석된다)는 다른 많은 시스템 해석수법이 재해원인에서 출발하여 재해현상에 도달하고, 소위 귀납적 해석방법인데 대해 반대로 정상(頂上)사상으로 불리는 재해현상에서 기본사상이라 하는 재해원인으로 향해서 연역적인 해석을 실시하는데 큰 특징이 있다. 시스템의 결함진단, 사고원인 규명화의 간편화,시스템의 분석의 정량화 등의 기대효과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앙 기무찌]
기억 안나실때는 두개합할때 1이 나옵니다^^ oxford지수 0.85+0.15=1 WBGT. 0.7+0.3. =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5.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소음원 통제
2.
차폐장치 사용
3.
소음원 격리
4.
연속 소음 노출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연속 소음 노출은 소음을 더 유발하는 것입니다. 방지 대책이 아닙니다.
소극적인 대처방법 : 방호구 착용 적극적인 대처방법 : 소음원 통제, 차폐장치 사용 및 소음원 격리 [해설작성자 : 김행복]
36.
산업안전 분야에서의 인간공학을 위한 제반 언급사항으로 관계가 먼 것은?
1.
안전관리자와의 의사소통 원활화
2.
인간과오 방지를 위한 구체적 대책
3.
인간행동 특성자료의 정량화 및 축적
4.
인간 - 기계체계의 설계 개선을 위한 기금의 축적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설계 개선을 위해 기금을 축적? 개선을 하려면 즉가적으로 시행을 하여야 하는데 축적한다? X [해설작성자 : 민톨이]
37.
시스템 안전을 위한 업무 수행 요건이 아닌 것은?
1.
안전활동의 계획 및 관리
2.
다른 시스템 프로그램과 분리 및 배제
3.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의 동일성 식별
4.
시스템 안전에 대한 프로그램 해석 및 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시스템안전관리의 내용 (시스템 안전업무의 수행요건) 1.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의 동일성에 대한 식별 2. 안전활동의 계획 및 조직과 관리 3. 다른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의 조정 4.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의 해석과 검토 및 평가 [해설작성자 : 기모찌]
분리 배제가 아닌 영역 조정입니다.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38.
컷셋과 최소 패스셋을 정의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컷셋은 시스템 고장을 유발시키는 필요 최소한의 고장들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표시한다.
2.
컷셋은 시스템 고장을 유발시키는 필요 최소한의 고장들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불신뢰도를 표시한다.
3.
컷셋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톱 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표시한다.
4.
컷셋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톱 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며, 최소 패스셋은 시스템의 성공을 유발하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컷셋 ㆍ정상사상을 발생시키는 기본사상의 집합 ㆍ모든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을 일으키는 기본사상들의 집합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시에는 1회 동작 후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붉은색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4.
방호장치의 정상작동 중에 감지가 이루어지거나 공급전원이 중단되는 경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출력신호 개폐장치가 꺼진 상태로 돼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바로 멈춰야지 1회 동작을 하면 급한상황에서 다치겠죠? [해설작성자 : 스크이노]
즉시정지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55.
보일러수에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위에 거품을 형성하여 수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은?
1.
프라이밍(priming)
2.
포밍(foaming)
3.
캐리오버(carry over)
4.
워터해머(water hammer)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보일러 이상현상 프라이밍(플라이밍) : 보일러의 과부하, 수면에 물방울이 생기는게 포인트입니다. 포밍 : 불순물이 포함된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거품층 형성이나 수위 불안정이라는 말이 포인트입니다. 캐리오버 : 프라이밍, 포밍의 이유로 발생하는 것으로 부식이나 과열이 포인트입니다. [해설작성자 : 포인트만 공부하으자]
거품 = 포밍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56.
다음 중 연삭기의 사용상 안전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방호장치로 덮개를 설치한다.
2.
숫돌 교체 후 1분 정도 시운전을 실시한다.
3.
숫돌의 최고사용회전속도를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4.
숫돌 측면을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삭숫돌을 제외하고는 측면 연삭을 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작업전 = 1분 교체후 = 3분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57.
다음 중 드릴 작업시 가장 안전한 행동에 해당하는 것은?
1.
장갑을 끼고 옷 소매가 긴 작업복을 입고 작업한다.
2.
작업 중에 브로시로 칩을 털어낸다
3.
가공할 구멍 지름이 클 경우 작은 구멍을 먼저 뚫고 그 위에 큰 구멍을 뚫는다.
4.
드릴을 먼저 회전시킨 상태에서 공작물을 고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드릴 가공시 드릴이 센터점이 없을때 파손될수 있어서 작은구멍을 뚫어 센터점을 뚫고 그후에 작업하는게 안전하고 수월합니다 [해설작성자 : 경험담]
1.장갑착용금지 긴소매도 금지 2.운전을 멈추고 털어낸다 4.고정후 회전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5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비파괴 검사를 실시해야하는 고속회전체의 기준은?
1.
회전축중량 1톤 초과, 원주속도 120m/s이상
2.
회전축중량 1톤 초과, 원주속도 100m/s이상
3.
회전축중량 0.7톤 초과, 원주속도 120m/s이상
4.
회전축중량 0.7톤 초과, 원주속도 100m/s이상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속 회전체의 위험방지 1. 고속회전체(원주속도가 초당 25미터 를 초과하는것)의 회전 시험을 하는 경우 - 전용의 견고한 시설물의 내부 또는 견고한 장벽 등으로 격리된 장소에서 하여야한다. 2. 회전축의 중량이 1톤을 초과하고, 원주속도가 초당 120미터 이상인 것의 회전시험을 하는 경우 - 미리 회전축의 재질 및 형상 등에 상응하는 종류의 비파괴 검사를 해서 결함 유무를 확인하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소닉]
59.
지게차의 안전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후사경
2.
헤드가드
3.
백 레스트
4.
권과방지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후사경 전조등 헤드가드 백레스트 브레이크 안전벨트
[추가 해설] 권과방지장치는 크레인 [해설작성자 : 크레인5번떨어짐]
60.
다음 중 접근반응형 방호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2.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3.
덮개식 방호장치
4.
광전자식 방호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① 격리형 방호 장치 : ㉠ 완전 차단형 방호 장치 ㉡ 덮개형 방호장치 ㉢ 안전방책 ② 위치 제한형 방호장치 : ㉠ 양수조작식 ③ 접근 거부형 방호장치 : ㉠ 수인식 ㉡ 손쳐내기식 ④ 접근 반응형 방호장치 : ㉠ 감응식 ㉡ 광전자식 방호장치
4과목 : 전기 및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61.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를 전로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와 이상전압 및 대지전압의 억제를 위하여 접지를 하여야하나 직류 2선식으로 시설할 때, 접지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지 검출기를 설치하고, 특정구역 내의 산업용 기계기구에만 공급하는 경우
2.
사용전압이 110V 이상인 경우
3.
최대전류 30mA 이하의 직류화재경보회로
4.
교류계통으로부터 공급을 받는 정류기에서 인출되는 직류계통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문제를 해당하지 않는 것은으로 수정하고 정답을 2번 처리 합니다. 참고하세요.
사용전압 60V 이하인 경우 접지검출기를 설치하고 특정구역 내의 산업용 기계기구에만 공급 하는 경우 교류계통으로부터 공급을 받는 정류기에서 인출되는 직류계통 최대전류 30mA 이하의 직류화재경보회로 [해설작성자 : 인간성기사강기성]
62.
감전에 의한 전격위험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통전저항
2.
통전전류의 크기
3.
통전경로
4.
통전시간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통전전류의 크기 > 통전시간 > 통전경로 > 전원의 종류(직류보다 교류가 위험) [해설작성자 : 남똘]
다음 물질이 물과 반응하였을 때 가스가 발생한다. 위험도 값이 가장 큰 가스를 발생하는 물질은?
1.
칼륨
2.
수소화나트륨
3.
탄화칼슘
4.
트리에틸알루미늄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탄화칼슘+물=아세틸렌 아세틸렌 위험도 31.4 [해설작성자 : 보람차구나]
CaC2 + 2H2O -> Ca(OH)2 + C2H2(아세틸렌) [해설작성자 : 전지민]
1. 칼륨 → 수소 (위험도 17.75) 2. 수소화나트륨 → 수소 (위험도 17.75) 3. 탄화칼슘 → 아세틸렌 (위험도 31.4) 4. 트리에틸알루미늄 → 에탄 (위험도 3.17) [해설작성자 : 5월 25일 시험]
80.
다음 중 화재의 분류에서 전기화재에 해당하는 것은?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A급 화재(일반화재) : 목재, 종이, 천 등 고체 가연물의 화재 (2) B급 화재(기름화재) : 인화성액체 및 고체의 유지류 등의 화재 (인화물질인 유류) (3) C급 화재(전기화재) : 통전(通電)되고있는 전기설비의 화재 (4) D급 화재(금속화재) :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지르코늄과 같은 금속화재 [해설작성자 : 보람차구나]
81.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근로자가 굴착작업을 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산소결핍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람을 지명하여 측정하도록 할것
2.
근로자가 안전하게 오르내리기 위한 설비를 설치할 것
3.
굴착깊이가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장소와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통신설비 등을 설치할 것
4.
잠함 또는 우물통의 급격한 침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으로부터 천장 또는 보까지의 높이는 2m 이내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사업주는 잠함 또는 우물통의 내부에서 근로자가 굴착작업을 하는 경우에 잠함 또는 우물통의 급격한 침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침하관계도에 따라 굴착방법 및 재하량(載荷量) 등을 정할 것 2. 바닥으로부터 천장 또는 보까지의 높이는 1.8미터 이상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맑음이]
82.
굴착작업 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작업, 작업장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 사전조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반의 지하수위 상태
2.
형상·지질 및 지층의 상태
3.
굴착기의 이상 유무
4.
매설물 등의 유무 또는 상태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작업장에 대한 조사를 하는데 벌써 굴착기를 검사 할 필요는 없겠죠? [해설작성자 : 정관온천]
83.
흙의 연경도(Consistency)에서 반고체 상태와 소성상태의 한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액성한계
2.
소성한계
3.
수축한계
4.
반수축한계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문제에 답에 있죠 소성상태의 한계] [해설작성자 : 크리스티아누 메날두]
문제따라 답 찍다가 소성과 액성 사이라고 나와버리면 틀립니다 문제따라 답 찍지 마세요
고체 반고체 소성 액성으로 나뉘는데
고체 반고체 사이는 수축한계 반고체 소성 사이는 소성한계 소성 액성 사이는 액성한계
(x축은 함수비 y축은 부피,체적) [해설작성자 : 여 사무라이! 카무사리~!]
고체 반고체 사이 수축 (그냥 외우고 나머지는 뒤를 기준으로 외움) 반고체 소성 사이 소성한계(소성이 뒤에있으니까 소성한계) 소성 액상 사이 액상한계(액상이 뒤에있으니 액상한계) [해설작성자 : 나도 드디어 해설 하나 남겨본다]
84.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하 우려가 없는 튼튼한 기반 위에 적재할 것
2.
화물의 압력정도와 관계없이 건물의 벽이나 칸막이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기대에 적재할 것
3.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쌓을 것
4.
불안정할 정도로 높이 쌓아 올리지 말 것
정답 : [
2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버틸수있는 힘이있는데 압력관계없이 막 올리면 무너져요 2번 [해설작성자 : 대구불주먹]
굴착 밑 투수층에 만든 피트(pit)를 제거한다 → 보통 피트(pit)는 배수용 임시 구덩이로, 물을 모아 펌핑하여 수압을 낮추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제거하면 지하수 처리가 어려워져 오히려 보일링 위험이 커집니다. [해설작성자 : 25.5.6]
92.
유해·위험 방지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의 항목이 아닌 것은?
1.
보호장비 폐기계획
2.
공사개요서
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4.
전체공정표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폐기는 필요없음 [해설작성자 : 아재]
건설공사 유해 위험방지계획서 제출 시 첨부서류 1. 공사 개요 및 안전보건 관리계획 1) 공사 개요서 2)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3)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4) 전체 공정표 5)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 6) 안전관리 조직표 7) 재해 발생 위험 시 연락 및 대피방법 2. 작업공사 종류별 유해 위험방지 계획 [해설작성자 : 홍길동]
93.
다음 ( )안에 알맞은 수치는?
1.
30cm
2.
40cm
3.
50cm
4.
60cm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슬레이트,선라이트 무조건 30cm 자주나옴 [해설작성자 : 대구불주먹]
+ 지붕위 작업 아무튼 지붕 이라는말나오고 발판 폭 문제면 거의 30cm [해설작성자 : 아마도...]
선라이트 , 슬레이트 - 30cm 나머지 - 40cm [해설작성자 : ㅋㅋ루삥뽕]
94.
다음 중 쇼벨계 굴착기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파워쇼벨(power shovel)
2.
크램쉘(clamshell)
3.
스크레이퍼(scraper)
4.
드래그라인(dragline)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쇼벨계 굴착기계 파워쇼벨, 클램쉘, 백호, 드래그라인
쇼벨계 굴착기 땅을 파는 기계를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며, 이는 하천, 도로 등의 건설공사나 정지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장비를 말한다. 이러한 장비의 주행상태에 따른 분류로는 무한 궤도식, 타이어형, 그리고 트럭형이 있다. 또한 작업에 따라 분류해보면, 중기가 위치한 지면보다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데 적합한 파워 쇼벨, 중기가 위치한 지면보다 낮은 곳의 땅을 파는데 적합한 백호우, 그리고 수중 및 연약한 지반 굴착에 적합한 드래그 라인이 있다. [해설작성자 : 프리퍼]
스트레이퍼 - 트렉터계 기계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95.
토사 붕괴의 내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사면, 법면의 경사 증가
2.
절토 사면의 토질구성 이상
3.
성토 사면의 토질구성 이상
4.
토석의 강도 저하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토사 붕괴의 내적 요인 외적요인-사면,법면경사및 기울기의 증가 -절토사면의 토질,암석구성 이상 -절토 및 성토 높이의 증가 -성토사면의 토질구성 이상 -공사에 의한 진동및 반복하중의 증가 -토질의 강도 저하 -지표수및 지하수 침투에 의한 토사의 중량 증가 -지진, 차량, 구조물의 하중증가 [해설작성자 : 앙 기무찌]
96.
다음은 비계발판용 목재재료의 강도상의 결점에 대한 조사기준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2
2.
1/3
3.
1/4
4.
1/6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4를 초과하면 안돼융 [해설작성자 : 울지마 잠보토토]
97.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작업장에서의 투하설비 등에 관한 사항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도심지에서 주변에 주요시설물이 있을 때 침하와 변위를 적게 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흙막이 공법은?
1.
동결공법
2.
샌드드레인공법
3.
지하연속벽공법
4.
뉴매틱케이슨공법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동결공법 : 지반 중의 물을 동결시켜서 붕괴나 용수(湧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굴착법을 말한다 -샌드드레인공법 : 샌드 드레인 공법건축용어사전 탈수 압밀 촉진 공법의 하나 -지하연속벽공법 : 도심지에서 주변에 주요시설물이 있을 때 침하와 변위를 적게 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흙막이 공법 -뉴매틱케이슨공법 : 케이슨 공법의 일종. 지반을 깊이 굴착하는 경우에 장애가 되는 지하수의 분출을 각 심도의 수압에 상당하는 공기 압력으로 억제하여 케이슨을 침하시키는 공법 [해설작성자 : 앙기무찌]
도심지에선 소음 자제하는게 좋으니깐 지하에서 해야죠 [해설작성자 : 재콩]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①
①
③
①
③
③
④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④
②
①
③
④
②
④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②
①
③
①
①
②
③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③
②
④
④
②
③
④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①
④
③
③
④
①
②
①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③
②
②
②
③
①
④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④
②
③
②
③
④
①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③
①
④
①
④
④
③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③
②
②
④
①
②
④
②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③
①
①
③
①
③
②
③
④
③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 안전, 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