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채용시 및 작업해요 변경시 교육생으로 - 정리 정돈 및 청소에 관한사항 - 사고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사항 -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에 관한사항 - 기계 기구의 위험성과 작업의 순서 및 동선에 관한사항 - 작업개시 전 점검에 관한 사항 - 산업안전보건부 및 일반관리에 관한사항 [해설작성자 : 안전맨 ]
갓 채용한 인원에게 유해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을 교육할 필요가 없겠죠 [해설작성자 : Mr.Tae]
9.
피로에 의한 정신적 증상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주의력이 감소 또는 경감된다.
2.
작업의 효과나 작업량이 감퇴 및 저하된다.
3.
작업에 대한 몸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지치게 된다.
4.
작업에 대하여 무감각 무표정 경련 등이 일어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주의력이 감소 또는 경감된다(정신적 증상) [해설작성자 : 사나]
234는 신체적 증상 [해설작성자 : 꼰대]
1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 보건 표지에 사용하는 색채기준 중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의 안내 용도로 사용하는 색채는?
1.
빨간색
2.
녹색
3.
노란색
4.
파란색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빨간색 : 금지표지 및 경고표지 - 금지표지 : 출입, 사용, 금연, 사용, 탑승, 물체이동, 보행, 차량통행 - 경고표지 : 인화성물질, 폭발성물질, 산화성물질, 급성독성물질, 부식성물질, 발암성변이원성 생식독성 전신독성 호흡기 과민성 물질
일반적으로 교육이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인간의 행동이 의미 하는 것은?
1.
신념과 태도
2.
외현적 행동만 포함
3.
내현적 행동만 포함
4.
내현적, 외현적 행동 모두 포함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간의 행동 > 내현적,외현적행동 모두 포함 [해설작성자 : 인간]
12.
OFF JT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3.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쉽다.
4.
교육훈련목표에 대해 집단적 노력이 흐트러 질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직장 내에서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OJT(on-the-job training)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려는 목적에서 직장 밖에서 집합적으로 10명 안팎의 인원을 모아, 거의 정형적(定型的)으로 실시하는 교육훈련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효과가 곧 업무에 나타나며 훈련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개선이 쉽다는 건 OFF JT가 아니라 OJT 설명입니다. 답 3번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똥강아지]
OFF JT(Off The Job Training) : 외부강사를 초청하여 근로자를 일정한 장소에 집합시켜 실시하는 교육 형태로서 집합교육에 적합하다. OFF JT의 특징 : 1. 다수의 근로자들에게 훈련을 할 수 있다. 2. 훈련에만 전념하게 된다. 3. 특별설비기구 이용이 가능하다. 4. 많은 지식이나 경험을 교류할 수 있다. 5. 교육 훈련 목표에 대하여 집단적 노력이 흐트러질 수 있다. OJT(On The Job Training) : 직속상사가 부하직원에게 일상업무를 통하여 지식, 기능, 문제해결 능력 및 태도 등을 교육하는 방법으로 개별교육 에 적합하다. OJT의 특징 : 1. 개개인에게 적절한 훈련이 가능하다. 2. 직장의 실정에 맞는 훈련이 가능하다. 3. 교육효과가 즉시 업무에 연결된다. 4. 훈련에 대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5. 상호 신뢰 이해도가 높다. [해설작성자 : 웁쓰]
13.
산업 안전 보건법령에 따른 안전검사대상 유해 위험 기계 등의 검사 주기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1, ㉡4
2.
㉠1, ㉡6
3.
㉠2, ㉡4
4.
㉠2, ㉡6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안전검사 주기] 최초 설치 후 3년이내 이후 2년마다 (건설현장은 6개월 마다) [해설작성자 : 스마트팩토리과]
14.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방독마스크 중 할로겐용 정화통 외부측면의 표시 색으로 옳은 것은?
1.
갈색
2.
회색
3.
녹색
4.
노랑색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갈색 - (유기화합물용)시코로헥산/디메틸에테르/이소부탄 2. 회색 - (할로겐용) 염소가스 또는 증기 - (황화수소용) 황화수소가스 - (시안화수소용) 시안화수소가스 3. 녹색 - (암모니아용) 암모니아가스 4. 노란색 - (아황산용) 아황산가스 [해설작성자 : 소리바람]
15.
직접 사람에게 접촉되어 위해를 가한 물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낙하물
2.
비래물
3.
기인물
4.
가해물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기인물:직접적으로 재해를 유발하거나 영향을 끼친 기계장치,구조물(큰기계) 가해물:상처를 입힌 세부 부속항목 [해설작성자 : 다니엘]
가해물 : 직접 사람에게 접촉되어 위해를 가한 물체 기인물 : 재해의 근원이 되는 기계장치나 기타의 물(物) 또는 환경 [해설작성자 : 좀 이상해]
기업 내 교육 방법 중 작업의 개선 방법 및 사람을 다루는 방법, 작업을 가르치는 방법 등을 주된 교육 내용으로 하는 것은?
1.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TWI(Training Within Industry)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CCS 원래 세계 제2차 대전 직후의 미국총사령부(일본점령군사령부) 내에 "민간 통신국"의 약어이다. 1949년 당시 점령군 총사령부의 민간통신국이 일본 전기통신공업의 경영진단을 실시한 후 경영상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과학적 경영의 훈련 코스로서 소개한 경영강좌이다. 강좌의 내용은 ①기업의 목적 및 방침의 확립 ②기능(경영의 부문) ③조직(통제방식, 통제확립에 불가결한 것, 조직통제의 응용, 감사통제의 실시 등) ④운영(운영, 조직, 조정) 등이다
MTP TWI와 프랑스 경영학자 페이욜(H. Fayol)의 경영조직론, 내용은 주로 관리의 기초, 작업의 개선, 작업의 관리, 부하의 훈련, 인간관계 및 관리의 전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WI 현장관리감독자를 교육훈련하기 위하여 개발된 과정으로 2차 대전 때 미군에서 개발되었으며, 처음에는 작업지도(job instruction), 작업개선(job method), 인간 관계(job relation)가 주 내용이었으며 최근에는 직업안전(job safety)이 포함되어 4과정으로 구성되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ATT 대상으로 하는 계층이 한정되어있지 않음. 1,2차 훈련과정 1차: 1일 8시간씩 2주간 훈련 2차: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해설작성자 : 모두다 화이팅!]
1.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 최고층 관리감독자 대상 교육 2.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 중간계층관리자 대상 교육으로 2시간씩 20회에 걸쳐 40시간 훈련한다. 3.TWI(Training Within Industry) : 일선관리 감독자 대상 교육 (① 작업 방법 기법 (Job Method Training : JMT), ② 작업 지도 기법 (Job Instruction Training : JIT), ③ 인간 관계관리 기법 or 부하통솔법 (Job Relations Training : JRT), ④ 작업 안전 기법 (Job Safety Training : JST) 4.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 한정되어 있지 않고 한번 교육을 이수한 자는 부하에게 지도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웁쓰]
18.
다음 중 교육의 3요소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교육의 주체
2.
교육의 기간
3.
교육의 매개체
4.
교육의 객체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① 교육의 주체(교육자) - 교사 , 형, 부모, 선배 ② 교육의 객체(피교육자) - 학생(학습의 주체), 자녀, 미숙자, 학습자 ③ 교육의 매개체(교육 내용) - 교재, 도야재, 시청각 매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교육의 주체 = 교육을 하는 사람 교육의 객체 = 교육을 받는 사람 교육의 매개체 = 교육에 활용 ex) 교재, 시청각 매체 , 도야재 등 [해설작성자 : ㅌㅅㅂ안]
19.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최소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 규모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 운영하여야 할 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토사석 광업
2.
1차 금속 제조업
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
정보서비스업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정보서비스업은 300명 이상. [해설작성자 : 울과대]
20.
위험예지훈련의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반복 훈련한다.
2.
사전에 준비한다.
3.
자신의 작업으로 실시한다.
4.
단위 인원수를 많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위험예지훈련은 10인이하 소집단에 적용. [해설작성자 : LeeDaV]
2과목 :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21.
체계설계 과정 중 기본설계 단계의 주요활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 설계
2.
체계의 정의
3.
기능의 할당
4.
인간 성능 요건 명세
정답 : [
2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기본설계 ( 인간*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 할당, 인간 성능 요건 명세, 직무 분석, 작업설계 [해설작성자 : 탱크보이]
체계설계 주요과정 1단계 : 목표 및 성능 명세결정 2단계 : 체계의 정의(시스템 정의) 3단계 : 기본설계.(작업설계, 직무분석, 기능할당, 인간성능 요건명세) 4단계 : 계면설계.(작업공간, 표시장치, 조종장치) 5단계 : 촉진물 설계.(인간성능증진, 보조물 설계) 6단계 : 시험 및 평가 [해설작성자 : 안전맨 ]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해설은 인간-기계 시스템 설계과정 6가지 단계이고 위 해설의 2번은 2.시스템의 정의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정한 기본기능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입니다. 체계의 정의는 기본설계 전 단계에서 수행한다. 에듀윌 산안산202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정보입력에 사용되는 표시장치 중 청각장치보다 시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 한 경우는?
1.
정보의 내용이 긴 경우
2.
수신자가 직무상 자주 이동하는 경우
3.
정보의 내용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4.
정보를 나중에 다시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청각이 유리할때 - 내용이 짧고 간단할때 - 재 참조 되지 않을때 - 급할때(즉각적인 행동이 요구될때) - 시각계통의 과부하일때 - 주위가 너무밝거나 암조응 일때 - 자주 움직이는 경우
시각이 유리할때 - 내용이 길고 복잡할 때 - 재 참조될때.(나중에 다시 확인 가능 시) - 공간적으로 위치 -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지 않을때 - 청각계통의 과부하 - 주위가 시끄러울때 - 한곳에 머무르는 경우 [해설작성자 : 안전맨 ]
23.
FTA.도표에서 사용하는 논리기호 중 기본사상을 나타내는 기호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FTA 결함 수 분석법 1. 사상설명 블록 2. 기본사상 3. HOUSE EVENT : 확실히 발생하는 EVENT 4. Inhibit Gate : 아래쪽에 연결되어 조건을 형성하는 EVENT가 유효 [해설작성자 : 해피파인더]
1. 결함사상 2. 기본사상 3. 통상사상 4. 생략사상
+ 세모는 전이기호 [해설작성자 : 즈니스타크]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조도가 250럭스인 책상 위에 짙은 색 종이 A와 B가 있다. 종이 A의 반사율은 20%이고, 종이 B의 반사율은 15%이다. 종이 A에는 반사율80%의 색으로, 종이 B에는 반사율 60%의 색으로 같은 글자를 각각 썼을 때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단, 두글자의 크기, 색, 재질 등은 동일하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두 종이에 쓴 글자는 동일한 수준으로 보인다.
2.
어느 종이에 쓰인 글자가 더 잘 보이는지 알 수 없다.
3.
A종이에 쓰인 글자가 B종이에 쓰인 글자보다 눈에 더 잘 보인다.
4.
B종이에 쓰인 글자가 A종이에 쓰인 글자보다 눈에 더 잘 보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A. (80-20 / 80) X 100 = 75% B. (60-15 / 60) X 100 = 75% [해설작성자 : Vante]
배경반사율ㅡ표적물체반사율 을 배경반사율로 나눠야됩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80-20)/80 * 100이 아니라 (20-80)/20 * 100 입니다 순서가 바뀌었어요 아래 b도 마찬가지 [해설작성자 : 해설지보고 베낌]
[오류신고 반론] 그 해설지로 문제풀면 다 틀리겠다 [해설작성자 : 이사람아]
[추가 오류 신고] 대비 : 표적의 광속발산속도(Lt)와 배경의 광속발산도(Lb)의 차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대비 = [(Lb-Lt)/Lb] * 100 이므로
A 종이의 대비 = [(20-80)/20] * 100 = -300[%] B 종이의 대비 = [(15-60)/15] * 100 = -300[%]
따라서, 두 종이에 쓴 글자는 동일한 수준으로 보인다.
(출처 : 2020 산업안전산업기사 에듀윌) [해설작성자 : 혼란하다 혼란해]
[추가 오류 신고] 식을 보면 (배경 반사x표적 반사)/배경반사 인데 이는 배경반사가 클 수록 표적에 대한 반사율이 높다는 뜻이며 쉽게 생각하면 등뒤에서 섬광이 터져도 내가 바라보는 시점의 어떤 물체에서 섬광의 광원이 반사되어 내눈에 들어오게 될 때 시야가 사라지는 것과도 같은 원리 입니다. 문제 풀다가 식이 생각이 안나면 이런 식으로 추론 하면 식이 필요 없게 되면서 암기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화이팅 해요 [해설작성자 : 민승인데 ?]
25.
검사공정의 작업자가 제품의 완성도에 대한 검사를 하고 있다. 어느 날 10,000개의 제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200개의 부적합품을 발견하였으나 이 로드에는 실제로 500개의 부적합품이 있었다. 이때 인간과오확률(Human Error Provability)은 얼마인가?
1.
0.02
2.
0.03
3.
0.04
4.
0.05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500-200)/10000=0.03 [해설작성자 : 안알려줌]
26.
제품의 설계단계에서 고유 신뢰성을 중대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병렬 및 대기 리던던시의 활용
2.
부품과 조립품의 단순화 및 표준화
3.
제조부문과 납품업자에 대한 부품규격의 명세제시
4.
부품의 전기적, 기계적, 열적 및 기타 작동조건의 경감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납품업자가 표기되면 고유한 신뢰성이 올라가나요? 생각해보면 책임감을 올라갈지 모르지만, 고유한 신뢰성이 올라지는 않죠 출처 : [티스토리:공감쟁이의 학문연구소]
27.
작업장의 실효온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중 가장관계가 먼 것은?
1.
온도
2.
체온
3.
습도
4.
공기유동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온도,습도,공기유동(대류) [해설작성자 : 울산]
작업장에 대해 물어보는데 체온은 사람온도를 이야기 하는거니까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체온도 영향을 줄 수는 있겠지만, 좁은 곳에 수십명 들어가는거 아니고는 힘들죠 [해설작성자 : ㅇㅇ]
28.
인간-기계시스템에 관련된 정의로 틀린 것은?
1.
시스템이란 전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기적인 결합체이다.
2.
인간-기계시스템이란 인간과 물리적 요소가 주어진 입력에 대해 원하는 출력을 내도록 결합되어 상호작용하는 집합체이다.
3.
수동시스템은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신체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수공구나 보조기구에 힘을 가하여 작업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4.
자동화 시스템은 기계에 의해 동력과 몇몇 다른 기능들이 제공되며, 인간이 원하는 반응을 얻기 위해 기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MMS(맨머신시스템) 중 자동화시스템은 '인간'에 의하여 라고 해야 맞죠 [출처: 티스토리 공감쟁이의 학문연구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인간은 감시, 프로그래밍, 정비 유지 등의 기능만 수행하고 기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을 원하는 자]
목측이란? 계기로 관측하지 않고 관측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관측하는 것을 말한다. 시정·운량·기상 현상 등이 이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유환줘]
30.
결함수분석(FTA)결과 다음과 같은 패스셋을 구하였다. X4가 중복사상인 경우, 최소 패스셋(minimal path sets)으로 맞는 것은?
1.
{X3, X4}
2.
{X1, X3, X4}
3.
{X2, X3, X4}
4.
{X2, X3, X4}와 {X3, X4}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최소 패스셋은 정상사상을 일으킬수 있는 최소의 사상을 이야기한다. 문제에 X4가 중복사상인 경우의 말은 필요없는 말이고 보기에서 중복된 사상을 찾자면 X3 X4 두개의 사상이다 3개의 중복사상중 X3 과 X4 를 모두 포함하고있으므로 최소 패스셋은 X3ㅌ4RK EHLSEK [해설작성자 : 초보안전관리자]
최소 패스셋(minimal path sets)은 정상사상(고장)을 일으키지 않는 최소한의 사상이다. 보기에 서 2,3번은 사상이 3개이고, 1번은 2개이므로 1번이 정답이다. *정상사상을 일으킬수 있는 최소의 사상은 미니멀 컷셋(minimal cut set)이다. [해설작성자 : 오류신고자]
31.
인간실수의 주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술수준
2.
경험수준
3.
훈련수준
4.
인간 고유의 변화성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인간은 항상 똑같을 수 없죠 왜냐? 기계가 아니거든요! 따라서 인간의 고유한 변화성때문에 실수를 하게 되는것입니다. [출처: 티스토리 공감쟁이의 학문연구소]
32.
통신에서 잡음 중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filter)를 사용하였다면, 어느 것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인가?
1.
신호의 양립성
2.
신호의 산란성
3.
신호의 표준성
4.
신호의 검출성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필터를 사용한다 => 검출성 [해설작성자 : 우지챠]
잡음을 제거하면 검출이 더 잘되겠죠?
33.
청각적 자극제시와 이에 대한 음성응답과업에서 갖는 양립성에 해당하는 것은?
1.
개념의 양립성
2.
운동 양립성
3.
공간적 양립성
4.
양식 양립성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개념의 양립성 :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해 인간이 가지는 개념적 현상의 양립성 ex) 빨간색버튼 : 정지, 녹색버튼 : 운전
2. 운동 양립성 : 표시장치, 조종장치, 체계반응 등의 운동 방향의 양립성 ex) 조종장치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지침도 오른쪽으로 이동
3. 공간적 양립성 : 표시장치나 조종장치의 물리적인 형태나 공간적인 배치의 양립성 ex) 오른쪽 : 오른손 조절장치, 왼쪽 : 왼손 조절장치
4. 양식 양립성 : 직무에 알맞는 응답양식의 존재 양립성 [해설작성자 : 냉무]
34.
작업공간에서 부품 배치의 원칙에 따라 레이아웃을 개선하려 할 때 부품 배치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편리성의 원칙
2.
사용빈도의 원칙
3.
사용 순서의 원칙
4.
기능별 배치의 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사기사로 외워요 중요성의 원칙 사용 빈도 순서 기능별 배치 [해설작성자 : 최연소 기술사]
35.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소의 고장을 형태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는 분석기법은?
1.
FTA
2.
CHECK LIST
3.
FMEA
4.
DECISION TREE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정성적 귀납법 분석법. [해설작성자 : 울산 남구 전어회무침]
FTA : 결함수 분석 ETA : 귀납적,정량적 분석 FMEA : 고장의 유형과 영향분석 FMECA : FMEA+CA (정성적+정량적) THERP : 인간과오율 예측법 OS : 안전요건 결정기법 MORT : 연역적,정량적 분석기법 HAZOP : 사업장의 유해요인 파악(화학공장) [해설작성자 : 붉은여우]
36.
시력손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전신 진동의 주파수는?
1.
5Hz 미만
2.
5~10Hz
3.
10~25Hz
4.
25Hz 초과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진동은 진폭에 비례해 시력을 손상시키며 10~25zH의 경우 가장 심하다. [해설작성자 : SGH]
37.
화학 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 5단계중 제 3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안전대책
2.
정량적 평가
3.
관계자료
4.
정성적 평가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안정성평가 6단계 1.관계자료 정비검토 2.정성적평가 3.정량적평가 4.안전대책 수립 5.재해사례에 의한 평가 6.FTA에 의한 재평가 [해설작성자 : 다니엘]
38.
사후보전에 필요한 평균수리시간을 나타내는 것은?
1.
MDT
2.
MTTF
3.
MTBF
4.
MTTR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수리가능한 제품에서 고장~다음고장까지의 시간의 평균치(신뢰도) →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2.수리가 불가능한 제품에서 처음 고장날때까지의 시간(평균수명) → MTTF(Mean Time to Failere) 3.평균수리에 소요되는 시간 → MTTR(Mean Time to Repair) [해설작성자 : 다니엘]
수리시간나오면 리페어 생각하세요 scv 리페어하는것처럼 [해설작성자 : 3연벙]
저는 맨 끝 2글자를 외웠어요 T(time) = 시간 R(repair) = 수리 F(fail) = 실패 B(between) = 사이
러닝벨트 위를 일정한 속도로 걷는 사람의 배기가스를 5분간 수집한 표본을 가스성분 분석기로 조사한 결과, 산소 16%, 이산화탄소 4%로 나타났다. 배기가스 전량을 가스미터에 통과시킨 결과, 배기량이 90리터였다면 분당 산소소비량과 에너지가 (에너지소비량)는 약 얼마인가?
1.
0.95리터/분 - 4.75Kcal/분
2.
0.96리터/분 - 4.80Kcal/분
3.
0.97리터/분 - 4.85Kcal/분
4.
0.98리터/분 - 4.90Kcal/분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분당 배기량(V2) = 총배기량(L)/시간(min) = 90/5=18[L/min] 분당 흡기량(V1) = (100-O2-CO2)/79*V2 = (100-16-4)/79*18=18.23[L/min] 분당 산소소비량 = (V1*0.21)-(V2*0.16) = (18.23*0.21)-(18*0.16)=0.95[L/min] ------------------------------------------------------------------- 산소 1ℓ의 소비는 에너지 약5Kcal의 열량을 소모한 것으로 간주한다.
에너지 소비량=0.95*5=4.75[Kcal/min] [해설작성자 : 냉무]
[추가 해설] 산소 에너지 1리터당 5칼로리가 미기입됐습니다
40.
톱사상 T를 일으키는 컷셋에 해당하는 것은?
1.
{A}
2.
{A, B}
3.
{A, B, C}
4.
{B, C}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AND회로 이니까 전부 곱해줌 [해설작성자 : 울과대]
AND gate 맞습니다. 기본사상은 ○입니다. [해설작성자 : 똥강아지]
3과목 : 기계위험방지기술
41.
<보기>는 기계설비의 안전화 중 기능의 안전화와 구조의 안전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을 열거한 것이다. <보기>중 기능의 안전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에 속하는 것은?
1.
㉠
2.
㉡
3.
㉢
4.
㉣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구조적 안전화 : 재료, 설계, 가공의 결함 제거 기능적 안전화 : 급정지, 오동작 방지 [해설작성자 : 메불메]
처음보는 문제여도 잘 생각해보면 풀 수 있습니다. * 기능 : 기계설비 기능 * 정전시 오작동 : 기계설비 기능 * 참고로 재료, 설계,가공상은 상식적으로 접근해도 기계설비 기능과 연관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기업 환경기술인]
42.
탁상용 연삭기에서 일반적으로 플랜지의 지름은 숫돌 지름의 얼마 이상이 적정한가?
1.
1/2
2.
1/3
3.
1/5
4.
1/10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플랜지 지름은 숫돌 지름의 1/3이상 [해설작성자 : 우지챠]
43.
공작기계인 밀링 작업의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 전에는 기계 기구를 점검하고 시운전을 한다.
2.
칩을 제거 할 때는 칩브레이커로 제거한다.
3.
회전하는 커터에 손을 대지 않는다.
4.
커터의 제거 설치 시에는 반드시 스위치를 차단하고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칩브레이커는 선반 작업시의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나는쎄]
칩브레이커는 칩이 길게나오면 그것을 짧게 짤라주는 도구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ㅅㅇ]
칩 제거는 브러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중 욕조 형태를 갖는 일반적인 기계 고장 곡선에서의 기본적인 3가지 고장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피로고장
2.
우발고장
3.
초기고장
4.
마모고장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우초마 우발 초기 마모
초기고장 - 감소 우발고장 - 일정 마모고장 - 증가
45.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 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5C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3.
난간대는 지름 1.5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안전난간은 가장 취약한 지름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70킬로그램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문제 해설> 30cm = 300mm 자주 출제 되므로 암기! 30cm자로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 합격 ㄱㄱㄱ]
49.
다음 중 드릴링 작업에 있어서 공작물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은 공작물은 바이스로 고정한다.
2.
작고 길쭉한 공작물은 플라이어로 고정한다.
3.
대량 생산과 정밀도를 요구할 때는 지그로 고정한다.
4.
공작물이 크고 복잡할 때는 볼트와 고정구로 고정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드릴작업시 수공구(플라이어)에 물리는 것을 하면 안된다
[추가 해설] 플라이어는 철제집게같은겁니다(수공구) [해설작성자 : Kim_Glory]
힘이 좋은사람이어도 플라이어 가지고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50.
이동식크레인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격하중”이라 함은 이동식 크레인의 지브나붐의 경사각 및 길이에 따라 부하할 수 있는 최대 하중에서 인양기구(훅, 그래브 등)의 무게를 뺀 하중을 말한다.
2.
“정격 총 하중”이라 함은 최대하중 (붐 길이 및 작업반경에 따라 결정)과 부가하중(훅과 그 이외의 인양 도구들의 무게)을 합한 하중을 말한다.
3.
“작업반경”이라 함은 이동식 크레인의 선회중심선으로부터 훅의 중심선까지의 수평거리를 말하며, 최대 작업반경은 이동식크레인으로 작업이 가능한 최대치를 말한다.
4.
“파단하중”이라 함은 줄걸이 용구 1개를 가지고 안전율을 고려하여 수직으로 매달 수 있는 최대 무게를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파단하중은 파단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능려이 손상되는 한계하중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탱크보이]
51.
프레스 금형의 설치 및 조정 시 슬라이드 불시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해야 하는 것은?
1.
인터록
2.
글러치
3.
게이트 가드
4.
안전블럭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안전 블록 프레스 금형의 설치,해체,조정 시 사용하는 것 - 안전 블록 [해설작성자 : 김호용]
52.
프레스 방호장치 중 가드식 방호장치의 구조 및 선정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동(Inching)행정에서는 작업자 안전을 위해 가드를 개방할 수 없는 구조로 한다.
2.
1행정, 1정지 기구를 갖춘 프레스에 사용한다.
3.
가드 폭이 400mm 이하일 때는 가드 측면을 방호하는 가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4.
가드 높이는 프레스에 부착되는 금형 높이 이상 (최소 180mm)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미동(inching)행정에서는 가드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 작업성에 좋습니다.
*미동행정:푸시버튼을 누르고있는 동안만 슬라이드가 움직이고 푸시버튼에서 손을 떼면 즉시 슬라이드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 [해설작성자 : ㄷㄷㄷㅈ]
53.
다음은 지게차의 헤드가드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포정하중(等分布靜荷重)에 견딜 수 있을 것 2.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센티미터 미만일 것 3. 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거나 서서 조작하는 지게차의 헤드가드는 「산업표준화법」 제12조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높이 기준 이상일 것 [해설작성자 : SGH]
54.
다음 중 보일러의 폭발 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제한 스위치
2.
압력방출장치
3.
고저수위 고정장치
4.
화염 검출기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문제에 함정이..ㅎㅎ 보일러 방호장치 중 고저수위 조절장치를 고정장치 로 .... [해설작성자 : 안전맨 ]
5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회전중인 연삭숫돌지름이 최소 얼마이상인 경우로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부위에 덮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cm 이상
2.
5cm 이상
3.
10cm 이상
4.
20cm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회전 연삭숫돌 지름 5cm 암기 [해설작성자 : ㄴㅁㅇㅁㄴㄴㅁㅇ]
56.
프레스 작업 시 금형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 내용 중 틀린 것은?
1.
금형 맞춤판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한다.
2.
쿠션 핀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승 시 누름 판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단붙임한 나사로 견고히 조여야 한다.
3.
금형에 사용하는 스프링은 인장형을 사용한다.
4.
스프링 등의 파손에 의해 부품이 비산될 우려가 있는 부분에는 덮개를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프레스 금형에 사용하는 스프링은 인장형이 아닌 압축형 스프링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안전맨 ]
57.
산업용 로봇에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반드시 표시해야하는 항목이 있는데 다음 중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조자의 이름과 주소, 모델 번호 및 제조 일련번호, 제조연월
2.
매니퓰레이터 회전 반경
3.
중량
4.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인양 지점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가.제조자의 이름과 주소,모델 번호 및 제조일련번호, 제조연월 나.중량 다.전기 또는 유공압 시스템에 대한 공급 사양 라.이동 및 설치를 위한 인양 지점 마.부하 능력 [해설작성자 : 맨체스터 시티]
58.
급정지기구가 있는 1행정 프레스의 광전자식 방호장치에서 광선에 신체의 일부가 감지된 후로부터 급정지 기구의 작동 시까지의 시간이 40ms 이고, 급정지 기구의 작동 직후로 부터 프레스기가 정지될 때지의 시간이 20ms 라면 안전거리는 몇 mm 이상 이어야 하는가?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에 기준이 더 낮습니다. 산업안전기사에서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하다가 간혹 문제로도 출제 되는거 같아요 참고하세용 [해설작성자 : 라라라]
전압의 기준은 전기기술표준에는 변경되었지만 현재도 산업안전법의 전압기준 변경은 없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산업안전자격증은 산업안전보건법을 적용 받습니다.산업안전산업기사 시험출제시 전기법이아닌 산안법으로 적용한다고 알고있어서 산안법으로 문제를 풀시 변경내용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산업안전]
69.
방폭구조 중 전폐구조를 하고 있으며 외부의 폭발성 가스가 내부로 침입하여 내부에서 폭발 하더라도 용기는 그 압력에 견디고, 내부의 폭발로 인하여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착화될 우려가 없도록 만들어진 구조는?
1.
안정증방폭구조
2.
본질안전방폭구조
3.
유입방폭구조
4.
내압방폭구조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 d -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기설비를 전폐용기에 넣고 용기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날 경우 용기가 폭발 압력에 견뎌 외부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될 위험이 없도록 한 구조.
압력방폭구조 p -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기설비를 용기에 넣고 용기 내부에 불연성 가스(공기 또는 질소) 를 납입하여 용기 내부로 폭발성 가스가 침입하는것을 방지하는 구조. -> 종류 : 통풍식, 봉입식, 밀봉식
유입방폭구조 o - 폭발성 분위기가 발화 할 수 없도록 전기설비 또는 전기설비의 부품을 보호액에 함입시키는 방폭 구조 [해설작성자 : 안전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