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②+③=10,968[kcal] 이와 같은 열제거 능력이 10분간 능력이므로, 1시간(60분)으 로 환산한 다음,1RT당 3320[kcal/h]로 계산하면, 10968x6/3320 = 19.82[RT]
17.
동관 공작용 작업 공구이다. 해당사항이 적은 것은?
1.
익스팬더
2.
사이징 툴
3.
튜브 벤더
4.
봉볼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봄볼: 연관 주관에서 분기관을 뽑을 떄 구멍을 뚫음.
18.
만액식 증발기의 전열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것은?
1.
냉각관이 냉매액에 잠겨 있거나 접촉해 있을 것
2.
증발기 관에 핀(fin)을 부착할 것
3.
평균 온도차가 작고 유속이 빠를 것
4.
유막이 없을 것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평균온도차가 크고 유속이 느릴 것.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속은 적당할 것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초짜]
19.
다음 중 압축기와 관계없는 효율은?
1.
체적효율
2.
기계효율
3.
압축효율
4.
팽창효율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압축기와 관계있는 효율은 기계효율, 압축효율, 체적효율이 있다. 기계효율: 실제 가스압축시 소요 동력/실제 압축이 운전시 소요동력 압축효율: 이론적으로 가스압축시 소요동력/ 실제적으로 가스압축치 소요 동력 체적효율: 실제 가스 토출량/이론적 가스 토출량
20.
냉동장치 내에 냉매가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흡입관에 서리가 보다 많이 붙는다.
2.
토출압력이 높아진다.
3.
냉동능력이 증가한다.
4.
흡입압력이 낮아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증발기 압력이 낮아지는 원인은(=흡입압력이 낮아지는 원인) 1. 증방기 냉각관에 적상(frost) 및 유막으로 인해 전열 불량 2. 팽창밸브의 개도 과소로 인한 냉매 부족시 3. 증발부하 감소시 4. 팽창밸브 및 제습기, 여과망 등이 막혔을 때 5. 액관에 플래쉬 가스 발생시 6. 냉매 충전량 부족시 * 냉배량이 부족하여 결과적으로 증발기 압력이 낮아짐. * 흡입관에 서리가 붙는 것은 냉매 부족의 결과가 아님.
21.
냉동장치의 부속기기에 대한 설명에서 잘못된 것은?
1.
여과기는 냉매계통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2.
암모니아 냉동장치의 유분리기에서 분리된 유(油)는 냉매와 분리 후 회수한다.
3.
액순환식 냉동장치에 있어 유분리기는 압축기의 흡입부에 부착한다.
4.
프레온 냉동장치에 있어서는 냉매와 유가 잘 혼합되므로 특별한 유회수장치가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액분리기 : 압축기 흡입부분에 설치 되고 액압축을 방지하기 위함. 유분리기 : 압축기 토출측에 설치 되고 압축기에 사용한 윤활유를 분리하기 위한 목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저단측 토출가스의 온도를 냉각시켜 고단측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은?
1.
부스터
2.
인터쿨러
3.
콤파운드 압축기
4.
익스펜션탱크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중간 냉각기(인터쿨러) : 2단 압축에서 1단압축기 토출가스를 냉각시켜 2단압축기 흡입가스 상태의 온도를 낮춰줌.
보기중 장치의 기능은. ①부스터 :2단압축에서 저단측압축기(1단)를 부스터압축기라한다.
②콤파운드압축기 :콤파운드 압축기 :고속다기통 압축기에서 기통수를 저단측과 고단측으로 분리해 놓아서, 1대의 압축 기로 2단압축기 역할을 동시에 하는 압축기를 말함.
③익스펜션탱크 :팽창탱크를 말하며 온수보일러에서 초과압 력을 흡수하여 보일러 부족수를 보충한다
23.
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승화열은 고체가 기체로 되면서 주위에서 빼앗는 열량이다.
2.
잠열은 물체의 상태를 바꾸는 작용을 하는 열이다.
3.
현열은 상태 변화 없이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열이다.
4.
융해열은 현열의 일종이며, 고체를 액체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 융해열은 잠열의 일종 = 잠열 - 상태변화 없이 온도만 변화 예) 액체 20도 -> 액체 30도 [해설작성자 : 조밥]
융해열은 잠열의 일종 = 고체 ->액체 (온도변화 없음) [해설작성자 : 조밥]
24.
암모니아와 프레온 냉동 장치를 비교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압축기의 실린더 과열은 프렌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
2.
냉동 장치 내에 수분이 있을 경우, 장치에 미치는 영향은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심하다.
3.
냉동 장치 내에 윤활유가 많은 경우, 프레온보다 암모니아가 문제성이 적다.
4.
동일 조건에서는 성능, 효율 및 모든 제원이 같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25.
팽창밸브 선정 시 고려할 사항 중 관계없는 것은?
1.
관 두께
2.
냉동기의 냉동능력
3.
사용냉매 종류
4.
증발기의 형식 및 크기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냉동능력에 따라 냉매 순환량이 다르며, 냉매종류에 따라 증발 압력이 다름. 관의 두께는 팽창밸브 종류 선정에 상관없다.
26.
다음 중 나사용 패킹으로 냉매배관에 주로 많이 쓰이는 것은?
1.
고무
2.
일산화연
3.
몰드
4.
오일사일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나사용 패킹: 액상합성수지, 페인트, 일산화연
27.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냉장실의 온도는 열복사에 의해서 균일하게 된다.
2.
냉장실의 방열벽에는 열 전도율이 큰 재료를 사용한다.
3.
물은 얼음 보다는 열 전도율이 적으나 공기보다는 크다.
4.
수냉응축기에서 냉각관의 전열은 물때의 영향은 받으나 냉각수의 유속과는 관계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냉장실의 온도는 내부 공기의 대류열전달에 의해 균일하게 된다. 2. 냉장실의 방열벽에는 열전도율이 작은 단열재를 사용한다. 3. 열전도율 비교 :얼음 >물 >공기 4. 수냉응축기에서 냉각관의 물대는 전열을 불량하게 하며,냉 각수의 유속은 적정 범위 내에서 빠를수록 증가한다.
28.
터보 냉동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마찰부분이 많아 마모가 크다.
2.
제어범위가 좁아 정밀제어가 곤란하다.
3.
저온장치에서는 압축단수가 작아지며 효율이 좋다.
4.
저압냉매를 사용하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위험이 적다.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피스톤, 크랭크축 등 마찰 부분이 없으므로 마모가 적고, 수명이 길다. 제어 범위가 광범위하고 정밀제어가 가능하다. 저온장치에서는 압축 단수가 증가하고 간접적으로 압축되므로 불리한점이 있다.
29.
냉동기 오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윤활 방식에는 비말식과 강제급유식이 있다.
2.
사용 오일은 응고점이 높고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3.
수분의 함유량이 적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변질이 적어야 한다.
4.
일반적으로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경우 윤활유의 온도는 50~60℃ 정도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응고점이 낮고 인화점이 높아야 한다. 즉, 낮은 온도에도 굳지 않고, 높은 온도에도 점화 되지 않아야한다.
30.
2원 냉동장치의 설명으로 볼 수가 없는 것은?
1.
약 -80℃ 이하의 저온을 얻는데 사용된다.
2.
비등점이 높은 냉매는 고온측 냉동기에 사용된다.
3.
저온측 압축기의 흡입관에는 팽창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4.
중간 냉각기를 설치하여 고온측과 저온측을 열교환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원 냉동 서로 다른 2종류의 냉매를 이용하여 저온측, 고온측 냉동기를 별도로 가동한다. 저온측 냉동기의 응축기 방열량을 고온측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방식이며, 초저온 냉동에 이용된다. 저온측 응축기와 고온측 증발기를 열교환 하는 것을 캐스캐이드 응축기라고 한다.
중간냉각기를 사용하는 것은 2단압축방식이며, 2원냉동에서는 캐스캐이드 응축기를 사용한다.
31.
다음은 용접이음용 크로스(cross)를 나타낸 것이다. 호칭표시가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크로스 : 25A×25A×20A×32A
2.
크로스 : 32A×25A×25A×20A
3.
크로스 : 20A×25A×25A×32A
4.
크로스 : 32A×20A×25A×25A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제일 호칭이 큰 것, 직선방향, 나머지 큰 것, 직선방향으로 읽는다.
32.
전자밸브는 다음 어느 동작에 해당되는가?
1.
비례동작
2.
적분동작
3.
미분동작
4.
2위치동작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전자밸브는 ON-OFF동작(2위치동작)을 한다.
33.
프레온계 냉매 중에서 수소원자(H)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은?
1.
R - 21
2.
R - 22
3.
R - 502
4.
R - 114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십단위 숫자는 수소+`이므로 "1"로 된 경우 수소 갯수는 없는 셈이다.
34.
공정점이 -55℃ 이고 저온용 브라인으로서 일반적으로 제빙, 냉장 및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염화칼슘
2.
염화나트륨
3.
염화마그네슘
4.
프로필렌글리콜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정점 :브라인의 일정농도에서 동결점이 최대로 낮은 온도를 말한다. 두 물질을 용해할 경우 그 농도가 짙어질수록 동결온 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나, 일정농도에서 최저가 되고 그 이상 에서는 다시 동결온도가 상승한다. 주로 무기질 브라인에 적용 하는 용어이다.
1)염화칼슘 :공정점 -55℃,가장 널리 쓰이며 제빙,냉장 및 공 업용으로 사용한다. 흡수성이 강하고 떫고 쓴 맛이 있어 식 품냉장에는 부적당 2)염화나트륨 :공정점 -21℃,인체 무해하여 식품냉장에 사용 3)염화마그네슘 :공정점 -33.6℃,염화칼슘 대용이나 현재 거 의 사용 안함. 4)프로필렌글리콜 :응고점 -59.5℃.물에 50%희석하여 사용
<문제 해설> 개별제어는 각실에 패키지형 공조기를 설치하여 조절하며, 소 규모 건물,사무실 등에 적합.
각실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개별제어)가가능한 방식은 중 앙식공조에서 수방식,공기수방식,그리고 개별식 공조가 있다.
49.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고 열손실이 적다.
2.
단열층 공사비가 많이 들고 배관의 고장 발견이 어렵다.
3.
대류 난방에 비하여 설비비가 많이 든다.
4.
방열체의 열용량이 적으므로 외기온도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벽, 바닥, 천정 가열면을 이용하므로 방열체의 열용량이 크고, 외기 온도에 따른 방열량 조절은 어렵다.
50.
고온수 난방의 특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고온수 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하여 연료절약이 된다.
2.
고온수 난방방식의 설계는 일반적인 온수난방 방식보다 쉽다.
3.
공급과 환수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열수송량이 크다.
4.
장거리 열수송에 고온수일수록 배관경이 작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고운소를 사용하는 경우 고온 및 압력으로 인해 팽창탱크, 안전밸브 등 사용부품도 다르며, 설계에 유의해야 함.
51.
덕트의 부속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소형의 풍량 조절용으로는 버터플라이 댐퍼를 사용한다.
2.
공조덕트의 분기부에는 베인형 댐퍼를 사용한다.
3.
화재시 화염이 덕트 내에 침입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방화댐퍼를 사용한다.
4.
화재의 초기 시 연기감지로 다른 방화구역에 연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댐퍼를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덕트의 분기부에는 스플릿댐퍼를 사용.
52.
어떤 상태의 공기가 노점온도보다 낮은 냉각코일을 통과하였을 때의 상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절대습도 저하
2.
비체적 저하
3.
건구온도 저하
4.
상대습도 저하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기가 차가운 장치 표면을 접촉하면, 냉각됨과 동시에 장치 표면에서 이슬이 맺힘. 맺히는 야은 장치 표면 온도에서의 절대습도 차이만큼 이슬이 맺혀서 감습됨. 따라서, 절대 습도 감소, 엔타리 감소, 건구온도 감소, 비체적 감소, 상대 습도는 증가함.
53.
다음 중 공기의 감습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흡수식
2.
흡착식
3.
냉각식
4.
가열식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공기를 가습,감습없이 단순가열할 경우 상대습도는 떨어지나 수증기의 중량(절대습도)은 변하지 않음.
감습방법은 : 흡수식,흡착시,냉각식 이다.
[추가 해설]
감습방법은 : 흡수식,흡착시,냉각식.압축식 이다.
54.
1차공조기로 부터 보내온 고속공기가 노즐 속을 통과할 때의 유인력에 의하여 2차 공기를 유인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패키지 유닛방식
2.
유인 유닛방식
3.
FCU방식
4.
바이패스방식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유인 유닛: 공기조화기에서 1차 조절된 공기를 유인유닛으로 공급하며, 팬코일윤닛과 흡사한 유인유닛(팬 대신 취출노즐 있음)에서 실내공기를 유인하여 냉온수코일과 접촉시켜 가열, 냉각 시킨다. 유인유닛에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 냉동기도 필요함. 따라서 공기수방식에 속한다.
55.
연도나 굴뚝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선회력을 부여함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연소가스 중에 있는 입자를 제거하는 집진기는?
1.
세정식 집진기
2.
싸이크론 집진기
3.
전기 집진기
4.
자석식 집진기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집진기 :연도에 설치하여 배기가스중 먼지제거
①싸이클론 :원심식으로 집진효율이 좋은편,경제적 ②전기식 :집진효율이 가장 좋다. ③세정식 :미세먼지 제거에 효과적,통풍저항 크다.
56.
다음의 냉방부하 중에서 현열 부하만 발생하는 것은?
1.
극간풍에 의한 열량
2.
인체의 발생 열량
3.
벽체로부터의 열량
4.
실내기구의 발생 열량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실내에 침입하는 열량 중에서 현열,잠열이 있음. 잠열은 공기중 수증기 성분으로 인한 것임. 따라서,현열부하는 공기가 직접 스며들거나 조리기구에서 수 증기가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한 것임.
*실내기구는 전열기구,조리기구 등이 있으므로 현열,잠열 이 발생할 수 있음. 벽체로부터 열통과에 의한 침입열은 공기 가직접 스며드는 것이 아니므로 현열부하에 해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