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주로 특정한 다중경로 페이딩에 기인한 시변 또는 주파수 의존적인 채널 환경에서, - `채널 특성`이 근사적으로 평탄(상수적)이라고 간주되는 시간 또는 주파수 구간 . 이는 전송 신호와는 독립적으로 채널에 고유한 특성을 말함
2. 상관 대역폭 (Coherence Bandwidth)
ㅇ 주파수적으로 정적인/균일한 특성을 보이는 채널 대역폭 - 주파수 채널 응답이 그 주파수 구간 동안 강하게 상관성이 있음 . 채널 주파수응답이 균등 이득 및 선형 위상 특성을 갖음
* 이와 관련된 현상 : 지연 확산, 시간 분산 * 페이딩 영향 구분 :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주파수 비선택적 페이딩 .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 신호 대역 일부분에서 채널 응답이 선택적 변화를 보임에 따라, 다소 긴 시간 지연을 주면서 심볼간 간섭(ISI)이 존재할 가능성
3. 상관 시간 (Coherence Time)
ㅇ 시간적으로 정적인/균일한 특성을 보이는 채널 시간구간 - 시간 채널 응답이 그 시간 구간 동안 강하게 상관성이 있음 . 채널 임펄스응답이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시간 구간
* 이와 관련된 현상 : 도플러 확산, 주파수 분산 * 페이딩 영향 구분 : Fast Fading, Slow Fading . Fast Fading Channel : 전송된 신호 보다 빠르게 출렁이는 시변 채널로 인해, 각 심볼 마다 다른 영향을 주게됨으로 왜곡 가능성 있음 [출처: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17.
차세대(제4세대) 이동통신의 주요기술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DR
2.
MIMO
3.
스마트 안테나
4.
레이크 수신기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SDR (Software Defined Radio) 이란?]
ㅇ 하나의 공통 하드웨어 플랫폼에 응용 소프트웨어적인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한 개방형 이동통신 기술 ㅇ 이는 1개 무선단말로 여러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됨
SDR 구조적 장점
ㅇ 재구성 가능 - SDR은 다양한 무선통신 환경(다중 모드, 다중 표준, 다중 대역, 다중 기능 등)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하나의 공통 하드웨어 플랫폼에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소 프트웨어로 `재구성(Reconfigurable)`이 가능한 개방형 신호처리 기술
ㅇ 소프트웨어적 구성 - 즉,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었던 RF 모듈 부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시킴 . 범용 컴퓨터 기술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써, RF 모듈 부분의 변경 가능
ㅇ 유연성 증대 - 안테나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수신신호를 디지털화하여, 하드웨어 의존성을 낮춤 . 프로그램이 가능한 하드웨어 부분을 확장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능력을 증대하여 시스템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무선 기술
주요 특징
ㅇ RF 단에서 멀티모드, 멀티밴드, 멀티기능을 지원하는 공통의 하드웨어 플랫폼 ㅇ 각 밴드, 모드, 기능 및 특징을 정의할 수 있는 모듈러 소프트웨어 구조 ㅇ 각 구성 요소 간 인터페이스의 표준화 및 개방화 ㅇ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식 등
[다중안테나(MIMO) 주요기술]
ㅇ 공간 다이버시티 (Spatial Diversity) 기술 - 공간적으로 충분히 이격된 2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기법 . 하나의 신호를 다중 전송하며 신뢰성 제고
ㅇ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기술 -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여러 송수신 안테나에 의한 복수의 경로에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 .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
ㅇ 안테나 프로세싱 기술 - AAS (Adaptive Antenna System) - 빔 형성 기술 (Beamforming) - 배열 안테나 등 MIMO관련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링크 참조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854
[Smart Antenna 스마트 안테나]
1. 스마트 안테나
ㅇ 빔 포밍 기술에 국한된 기술 용어이었으나, 점차 의미가 확대되어, - 원하는 안테나 빔 패턴을 형성해주는 배열 안테나(공간처리 능력)와 기저대역에서의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신호처리 능력)이 결합된 안테나 기술을 총칭하기도 함 . MIMO 용어와 거의 유사하게 쓰이기도 함
ㅇ 시간 및 공간 영역에서의 신호처리 기술이 결합된 배열 안테나
2. 특징
ㅇ 송신측의 공간상 위치에 따라 안테나 빔을 맞추어 형성 - 적응적 로브 패턴 - 원하는 방향으로 전파가 집중되어 각 단말기가 저전력으로 통화가 가능하므로 배 터리 수명의 연장 가능
ㅇ 원하는 가입자가 있는 곳에서는 보강간섭이 일어나도록, 그리고 원치않는 가입자는 간섭신호로 상쇄간섭이 일어나도록 함
ㅇ 스마트 안테나는 통화 채널간 방해 전파(Interfering Noise)를 최소화하여 통화 품 질을 향상시키고 가입자 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
3. 구분 : 빔 형성 방법의 적응도 정도에 따라
ㅇ 스위치 빔 어레이 안테나 (Switched Beam Array Antenna) - 미리 정해진 유한개의 안테나 빔 패턴 중에 수신전력에 따라 최고의 성능을 줄 수 있는 빔 패턴을 선택 수신하는 방식
ㅇ 적응 어레이 안테나 (Adaptive Array Antenna) - 실시간으로 조정되는 무한개의 빔 패턴을 적응적으로 이용 - 안테나 배열에서 각 단위 요소별로 입사된 신호들을 특정 기준하에서 결합하여 다른 공간 상에 위치한 Co-channel 사용자로부터의 간섭 신호와 원하는 신호를 분리하여 수신하는 방식
[레이크 수신기] 1. 레이크 수신기
ㅇ CDMA 방식 등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도착한 시간차이(지연확산)가 있는 다중경로 신호 들을 잘 묶어서 보다 더 나은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수신기
2. 레이크 수신기 내에서의 `핑거`
ㅇ 이동국이 다른 시간 지연을 갖고 반사되어 오는 신호 각각을 별도로 분리하여 복조 하는 고유한 기능을 갖는 상관기
ㅇ 각각의 상관기가 마치 손가락처럼 각각 별도로 동작한다고 하여 핑거라고 함 - 이동국 수신기에는 보통 3개의 핑거, 기지국에는 4개 이상의 핑거를 둠
3. 구현 원리
ㅇ 서로 다른 경로로 수신기에 도착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해 영향을 받은 신호 성분들의 경로 간 간섭을 최소화함 - 결국, 시간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전송품질의 열화를 극복할 수 있음
[출처: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해설작성자 : 김병태]
18.
다음 중 위성지구국 설치시 고려하여야 할 주변환경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조건
2.
인공잡음
3.
기상조건
4.
위성과의 거리
정답 : [
4
] 정답률 : 92%
19.
다음 중 송신기 구성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발진회로
2.
증폭회로
3.
변조회로
4.
AGC회로
정답 : [
4
] 정답률 : 88%
20.
수신기의 선택도를 향상시키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고주파증폭단을 증가한다.
2.
중간주파증폭단을 증가한다.
3.
동조회로의 Q를 높게 한다.
4.
저주파증폭부의 이득을 크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2과목 :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21.
다음 중 자유공간에서 주파수가 300[MHz]인 전파의 파장은?
1.
1[m]
2.
1/2[m]
3.
10[m]
4.
20[m]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3*10^8 / 300*10^6 = 1 [해설작성자 : CYGNUS]
22.
다음 중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는?
1.
fs = 2fm
2.
fs < fm
3.
fs ≥ fm
4.
fs ≤ 3fm
정답 : [
1
] 정답률 : 89%
23.
FDMA, TDMA 또는 CDMA 방식에서 서로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간 핸드오프(Hand off)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하드 핸드오프(Hard Hand off)
2.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
3.
소프터 핸드오프(Softer Hand off)
4.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 over)
정답 : [
1
] 정답률 : 85%
24.
다음 중 다원 접속방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 수용 용량이 가장 많은 것은?
1.
FDMA
2.
SDMA
3.
CDMA
4.
TDMA
정답 : [
3
] 정답률 : 88%
25.
다음 중 HDLC 프로토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송제어 절차로 비트방식 프로토콜이다.
2.
문자 동기에 의해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3.
에러검출 방식으로 CRC를 사용한다.
4.
에러제어 방식으로 Go-back-N ARQ를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HDLC 특징
ㅇ 고속 데이타 전송에 적합한 비트 지향형 프로토콜 - 비트 전송을 기본으로(비트 중심 프로토콜)하는 범용의 데이터링크 전송제어절차 . 임의의 비트 패턴 전송이 가능 .. 데이터 투명성을 위해 비트스터핑을 사용 .. 회선제어 등을 위해 특정한 코드에 의존하지 않음
ㅇ 오류제어가 엄밀함 - CRC 필드 방식 사용 - 에러 발생시 재전송 요구(ARQ)
ㅇ 수신측으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연속하여 데이타 전송 가능 - 버퍼를 두어서 흐름을 제어함
ㅇ 여러 통신방식 모두를 지원 가능 - 점대점(1:1), 다중점(1:多), 반이중(Half-duplex), 전이중(Full-duplex)
[출처: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해설작성자 : 김병태]
26.
RFID 시스템의 논리적 구성은 크게 4개의 계층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 맞는 것은?
1.
디바이스 계층, 센서 네트워크 계층, 미들웨어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2.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세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3.
디지털 계층, 네트워크 계층, 변복조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4.
위치인식 계층, 센서 프로그램 계층, 분산제어계층, 지능형제어 계층
정답 : [
1
] 정답률 : 88%
27.
데이터를 변조하지 않은 상태, 즉 직류펄스의 형태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RZ, NRZ, AMI(Bipolar), Manchester, CMI 등에서 사용되며 LAN과 같은 전용선에 주로 사용되는 고속통신 방식은 무엇인가?
1.
동기식(Synchronous) 전송방식
2.
비동기식(Asynchronous) 전송방식
3.
기저대역(Baseband) 전송방식
4.
반송대역(Broadband) 전송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84%
28.
디지털 통신망은 여러 가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해야 하는데, 이 때 1초간에 보내는 펄스의 수가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통신망의 모든 장치의 클럭 주파수를 정확하게 동기 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망동기 방식이 아닌 것은?
1.
독립 동기방식
2.
상호 동기방식
3.
종속 동기방식
4.
회선 동기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76%
29.
다음 중 IPv6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되지 않은 것은?
1.
패킷 형식은 40[Bytes]로 고정된다.
2.
주소체계는 16[Bytes]이다.
3.
사용 가능한 주소 수는 약 43억 개이다.
4.
Flow label을 이용하여 QoS를 보장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ㅇ IPv4(현재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 주소 표현의 제약으로 인한 주소고갈, 멀티미디어서비스 대응 미약 등 ㅇ IETF의 IPng WG(2001.11 IPv6 으로 개칭)에서 표준화시킨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2. IPv6 특징 (장점)
ㅇ 주소영역이 기존 32 bit에서 128 bit로 대폭 확장 ☞ IPv4 주소부족, IPv6 주소, 주소자동설정 - 넓어진 주소공간(약 32억->1038)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IP주소 할당 방식이 가능
ㅇ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 ☞ IPv6 멀티캐스트 주소 참조 - Unicast, Multicast 이외 Anycast라는 새로운 주소 개념 도입 ☞ Anycast(애니캐스트) 참조
ㅇ 주소체계가 계층구조(Hierarchy)를 가능케함 - CIDR 기반 계층적 할당. 확장된 주소계층.
ㅇ 기본 헤더가 단순화되고 유연화됨 ☞ IPv6 헤더 참조 - 40 바이트의 고정길이(IPv4는 가변적임)로 간소화 . 따라서 더욱 빠른 처리 가능 - 주소 필드 등으로 인해 크기가 기존 IPv4 보다 2배로 확장(20->40 바이트)되지만, . 기본 필드 수가 (12->8개)로 단순화됨 ☞ IPv4 헤더 참조
ㅇ 확장 헤더를 통한 확장성 지원 ☞ IPv6 확장 헤더 참조 - 향상된 확장 기능 및 옵션 제공. - 기존 IPv4의 옵션필드(IP 헤더 옵션)들이 모두 확장 헤더 필드로 옮겨짐
ㅇ 보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 - 인증, 암호화, 무결성 기능 제공
ㅇ 이동성(Mobility) 지원 ☞ Mobile IP 참조 - 주소 자동 설정(Address Auto-configuration) 기능 . 임의의 LAN 상에서 MAC 주소를 라우터가 제공한 프리픽스와 결합하여 고유의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게하는 기능 - 바인드 업데이트(Bind Update) 기능 - 자동 네트워킹 등
ㅇ 서비스품질(QoS)의 보장 (자원할당의 지원) - 헤더에 QoS를 보장하기 위해 Traffic class(Priority) 및 Flow label 필드를 둠 . 차등형 QoS 지원 : Traffic class 필드, 플로우별 QoS 지원 : Flow label 필드 - 고속의 멀티미디어 전송에 적합
ㅇ 기존 IPv4에서 IPv6로의 호환성 ☞ IPv4/IPv6 전환 기술 - 단, IPv4에로의 역방향 호환성은 없음 [해설작성자 : ggchoi]
30.
다음 중 어플리케이션 수준 방화벽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프록시가 외부에서 내부 호스트로 직접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2.
필요할 경우, 부가적인 인증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다.
3.
경계선 방어가 제공된다.
4.
속도가 빠르고 투명성이 보장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31.
다음 중 방화벽의 주요 구성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프록시 서버
2.
암호 시스템
3.
베스천 호스트
4.
스크린 라우터
정답 : [
2
] 정답률 : 80%
32.
다음 중 QPS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류확률은 BPSK보다 나쁘다.
2.
대역폭 효율은 4[bps/Hz]이다.
3.
QPSK에서 반송파 위상간의 위상차는 π/2이다.
4.
동일한 주기를 기준으로 하면 QPSK 시스템은 BPSK보다 2배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잡음지수(NF)는 어떤 시스템이나 회로블럭을 신호가 지나면서, 얼마나 잡음이 추가되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것은 출력 SNR 대 입력 SNR의 비로 간단하게 계산된다. SNR = Signal Power/Noise Power
SNR이란 말그대로 Signal - to - noise ratio로써, 신호대 잡음비율을 의미하는 지표인데, 어떤 회로/시스템을 통과하고 나면 항상 잡음이 늘어나기 때문에 (절대로 줄어들지는 않는다) 출력 SNR은 입력 SNR보다 항상 작아지게 된다. Noise Factor(F) = SNR_in/SNR_out
이때 단순히 SNR을 나눈 값은 Noise Factor라 불리우며, 대문자 F 로 나타낸다.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NF(Noise Figure)라는 값은 이 F를 dB 스케일로 본 것이다. Noise Figure(NF) = 10log F = 10log(SNR_in/SNR_out)
그래서 Noise Factor F는 반드시 1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되고, dB 스케일인 NF에서는 0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log 1 = 0)
Cascade NF
어떤 회로나 시스템 블록이 직렬(cascade)로 연결된 경우, 최종 출력단에서의 NF는 아래의 수식으로 계산된다. 아래 수식에서는 NF대신 dB스케일이 아닌 F (Noise factor)값으로 계산하게 되며, Gain 역시 dB 스케일이 아닌 배율로 변환하여 계산해야 한다. NF = 10log F 다단 증폭회로의 각단 Noise factor 값과 이득을 제1단 F1, G1, 제2단 F2, G2 ... 제n단 Fn, Gn이라 할 때 F = F1 + (F2-1)/G1 + (F3-1)/(G1*G2) + .... (Fn-1)/(G1*G2*....Gn-1) [출처: http://www.rfdh.com]
문제의 Noise factor 값과 이득을 배율로 위의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10^0.2+(10^0.3-1)/10 = 1.68442 이를 다시 dB로 환산하면 10log(1.68442) * 10 = 2.26dB [해설작성자 : 김병태]
34.
다음 중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LAN의 전송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기저대역(baseband) 방식
2.
광대역(broadband) 방식
3.
캐리어대역(carrierband) 방식
4.
하이브리드(hybrid)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83%
35.
다음 중 의도적으로 수신자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처럼 가장하여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보안 위협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로채기(interception)
2.
가로막기(interruption)
3.
변조(modification)
4.
위조(fabrication)
정답 : [
4
] 정답률 : 79%
36.
광송신기의 출력이 -3[dBm], 광수신기의 수신감도가 -36[dBm], 광섬유의 손실이 1[dB/km]이다. 여기에 접속손실과 광커넥터 손실을 무시한다면, 이러한 광전송 시스템이 무중계 전송 가능한 최대거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