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무창층의 개구부 인정조건 1.개구부 크기가 지름 50cm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것 2.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이내일것 3.도로 또는 차량의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것 4.화재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수 있도록 창살 또는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 할 것. 5.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할 것. [해설작성자 : normaltype07]
19.
소화기구의 구분에서 간이소화용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F
1.
이산화탄소소화기
2.
마른모래
3.
팽창질석
4.
팽창진주암
정답 : [
1
] 정답률 : 77%
20.
다음 중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급격히 화합할 때 열과 빛을 내는 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1.
복사
2.
기화
3.
응고
4.
연소
정답 : [
4
] 정답률 : 79%
2과목 : 소방전기회로
21.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회로의 논리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7%
22.
R = 10Ω, C = 33μF, L = 20mL인 R-L-C 직렬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1.
19.6[Hz]
2.
24.1[Hz]
3.
196[Hz]
4.
241[Hz]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주파수 f = 1/2파이√LC = 1/ 2*3.14*√33*10의-6승*20*10의-3승 [해설작성자 : 도아퀸]
2선식 전원공급배선에서 배전선의 대지간 절연저항이 각각 3MΩ, 2MΩ이었다. 이 배전선의 합성절연저항은?
1.
1[MΩ]
2.
1.2[MΩ]
3.
5[MΩ]
4.
6[MΩ]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3*2/3+2 = 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어떤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20배로 하려면 배율기의 저항 Rm과 전압계의 저항 rV의 관계는?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정답은 3번 내부저항의 19배 [해설작성자 : 김철규]
Rm/Rv+1=20 , Rm=19Rv
[추가 해설] 측정 범위를 20배로 할려면 그만큼의 전류를 더 흘러서 버티게 하는 저항이 반대편에 병렬식으로 있어야 함 만약 처음 1만큼이면 거기에 19만큼 더 측정이 되게 할려면 전류는 저항이 작은 곳을 많이 흐르게 한다고 생각하면 Rm은 전압계의 저항보다 19배가 커야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추가 해설]
위에 해설 수정해야합니다. "저항이 반대편에 병렬식으로 있어야 함" -> 이 문장에서 배율기 저항은 전압계와 직렬로 있어야 합니다. -> 직렬 특성 = 전류는 같고 전압은 저항에 비례 -> 즉, 19배 큰 저항을 직렬로 연결해줘야합니다.
이 부분하고 헷갈린듯 합니다. 전압계 : 측정대상의 병렬 연결 전류계 : 측정대상과 직렬 연결
배율기(전압) : 전압계와 직렬 연결 분류기(전류) : 전류계와 병렬 연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저는 비 전공자라서 설명을 위와 같이 해주시면.. 수정을 할 능력이 없습니다. 위 해설을 모두 삭제하고 하나로 통일해서 올릴수 있도록 정리해서 올려주시면 모든 내용을 삭제하고 새 해설로 교체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내용들을 모두 포함한 상세한 해설 부탁 드립니다.]
39.
피드백 제어계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정확성이 증가한다.
2.
감도폭이 감소한다.
3.
비선형성과 왜형에 대한 효과가 감소한다.
4.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강도가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피드백 제어 :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되돌려 제어량의 목표값과 비교하여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것. 특징 : 정확도 증가, 대역폭 크다. 외부에 대한 영향이 적다.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대 출력비의 감도감소. 구조 복잡, 설치비용 비싸다. [해설작성자 : normaltype07]
소방공사감리를 함에 있어 규정을 위반하여 감리를 하거나 거짓으로 감리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1
] 정답률 : 53%
46.
의용소방대의 운영과 처우 등에 대한 경비를 부담하여야 하는 자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소방방재청장
2.
의용소방대장
3.
임면권자
4.
구조대장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도지사 [해설작성자 : mh]
47.
소방대상물의 방염성능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
2.
탄화한 면적은 50제곱센티미터 이내, 탄화 길이는 20센티미터 이내
3.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횟수는 5회 이상
4.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일 것 2.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일 것 3. 탄화(炭化)한 면적은 50제곱센티미터 이내, 탄화한 길이는 20센티미터 이내일 것 4.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3회 이상일 것 5.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방법으로 발연량(發煙量)을 측정하는 경우 최대연기밀도는 400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까울]
48.
지정수량은 몇 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는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가?
1.
5배
2.
10배
3.
100배
4.
200배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지정수량 10배 이상 : 제조소, 일반취급소 - 지정수량 100배 이상 : 옥외저장소 - 지정수량 150배 이상 : 옥내저장소 - 지정수량 200배 이상 : 옥외탱크저장소 - 암반탱크저장소 - 이송취급소 [해설작성자 : 해피토끼]
49.
지정수량 미만인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1.
위험물제조소 등의 내규로 정한다.
2.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3.
소방방재청의 내규로 정한다.
4.
시ㆍ도의 조례로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50.
면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물분무 등 소화설비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1.
통신기기실
2.
항공기격납고
3.
전산실
4.
주차용건축물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물분무 소화설비 설치대상
주차장 : 바닥면적 합계 200m2 이상 전기실,전산실 : 바닥면적 바닥면적 300m2 이상 주차건축물 : 800m2 이상 기계식 주차장치 : 20대이상 항공기격납고 : 전부 특수가연물 저장.취급 : 지정수량 750배 이상 [해설작성자 : 소방따자]
51.
방염업의 등록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시험실의 전용면적은 몇 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인듯 합니다. 기존 정답은 1번이며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0제곱미터
2.
30제곱미터
3.
100제곱미터
4.
200제곱미터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관리자의말 : 4번 보기가 면적관계없음이라는 오류 신고가 몇회 있었습니다. 문제집 사진 원본 확인결과 200제곱미터로 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규정이 바뀌면서 출판사 등에서 정답을 찾을수 있도록 보기를 변경한듯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오류 신고를 참조하세요.]
4번답 면적관계없음 이라되어있습니다. 방염업 등록기준 면적관계없이 실험실을 1개 이상 갖출 것 해설에제시되어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bn8403]
52.
건축허가등의 동의 대상물의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이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항공이 격납고
3.
방송용 송ㆍ수신탑
4.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연면적 400m2(학교시설 : 100m2, 수련시설 ․ 노유자시설 : 200m2, 정신의료기관 ․ 장애인의료재활 시설 : 300m2) 이상 ② 차고 ․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 면적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건축물이나 주차시설 ③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2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④ 항공기격납고, 관망탑, 항공관제탑, 방송용 송수신탑 ⑤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 150m2(공연장은 100m2) 이상 ⑥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지하구 ⑦ 결핵환자나 한센인이 24시간 생활하는 노유자시설 ⑧ 층수가 6층 이상인 건축물 [해설작성자 : skilike7172]
53.
소방용수시설을 주거지역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소방대상물과 수평거리는 몇 [m]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2) 6조 1항 : 전원회로는 단상 220 V인 것으로서 공급용량은 1.5 kVA이상인 것으로 할 것. 다만, 단상교류 100 V 또는 3상 교류 200 V 또는 380 V인 것으로 공급용량은 3상 교류인 경우 3 kVA 이상인 것과 단상교류인 경우 1.5 kVA이상인 것을 추가할 수 있다.<개정, 2014.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