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범위 1. 연면적 20만m2 이상(아파트 제외) 2. 건물 높이 100m 이상(지하층 포함 30층 이상) : 아파트 제외 3. 연멱적 3만m2 이상 철도,도시철도시설, 공항시설 4. 영화상영관 10개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별표 1의2] <개정 2022. 11. 29.> 성능위주설계를 할 수 있는 자의 자격ㆍ기술인력 및 자격에 따른 설계범위(제2조의3 관련) 성능위주설계자의 자격 기술인력 설계범위 1. 법 제4조에 따라 전문 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한 자 2. 전문 소방시설설계업 등록기준에 따른 기술인력을 갖춘 자로서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연구기관 또는 단체 소방기술사 2명 이상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에 따라 성능위주설계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자에 대한 벌칙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화재경계지구 명칭은 법령 개정으로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변경되었습니다. 소방특별조사 또한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정ㆍ개정이유 안의 내용입니다.
"화재경계지구"를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화재예방강화지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ㆍ도지사로 하여금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설비 등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소방특별조사"를 조사의 목적이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화재안전조사"로 명칭을 변경하고, 화재안전조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사전에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를 인터넷 홈페이지나 전산시스템 등에 공개할 수 있도록 함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 [시행 2022. 12. 1.] [법률 제18523호, 2021. 11. 30., 제정] 제50조(벌칙)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7조제1항에 따른 화재안전조사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
제7조(화재안전조사) ① 소방관서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의 주거(실제 주거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한다)에 대한 화재안전조사는 관계인의 승낙이 있거나 화재발생의 우려가 뚜렷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는 때에 한정한다.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화재예방안전진단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5.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6.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의 발생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제1호부터 제6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예방법 제7조 제1항에 따라 화재예방강화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은 화재안전조사를 해야합니다. 같은 법령 제50조에 따라 화재안전조사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몽몽]
43.
함부로 버려두거나 그냥 둔 위험물의 소유자ㆍ관리자ㆍ점유자의 주소ㆍ성명을 알 수 없어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없는때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취하여야 하는 조치로 맞는 것은?
1.
시ㆍ도지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경찰서장에게 통보하여 위험물을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3.
소속공무원으로 하여금 그 위험물을 옮기거나 치우게 할 수 있다.
4.
소유자가 나타날때까지 기다린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한시가 급하기에 그냥 관련 공무원에게 말하고 치워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제17조(화재의 예방조치 등) ① 누구든지 화재예방강화지구 및 이에 준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소에서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1. 모닥불, 흡연 등 화기의 취급 2. 풍등 등 소형열기구 날리기 3. 용접ㆍ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는 행위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행위 ② 소방관서장은 화재 발생 위험이 크거나 소화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인정되는 행위나 물건에 대하여 행위 당사자나 그 물건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에게 다음 각 호의 명령을 할 수 있다. 다만, 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물건의 소유자, 관리자 또는 점유자를 알 수 없는 경우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그 물건을 옮기거나 보관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게 할 수 있다. 1.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 2. 목재, 플라스틱 등 가연성이 큰 물건의 제거, 이격, 적재 금지 등 3. 소방차량의 통행이나 소화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물건의 이동 ③ 제2항 단서에 따라 옮긴 물건 등에 대한 보관기간 및 보관기간 경과 후 처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보일러, 난로, 건조설비, 가스ㆍ전기시설, 그 밖에 화재 발생 우려가 있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설비 또는 기구 등의 위치ㆍ구조 및 관리와 화재 예방을 위하여 불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하는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불길이 빠르게 번지는 고무류ㆍ플라스틱류ㆍ석탄 및 목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가연물(特殊可燃物)의 저장 및 취급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다음 중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자는?
1.
관리업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1년이 지난 사람
2.
소방기본법의 위반으로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난 후 3년이 지난 사람
3.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으로 금고형이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난 사람
4.
위험물안전관리법 위반으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집행 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6개월이 지난 사람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소방시설관이럽의 등록결격사유 1.피성년후견인 2.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해이 면제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3.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 4.관리업의 등록이 취소된 날 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해설작성자 : 최일규]
45.
다음 ( )안의 알맞은 내용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① 대통령령 ② 14일 ③시ㆍ도지사
2.
①대통령령 ② 30일 ③소방본부장ㆍ소방서장
3.
①행정안전부령 ②14일 ③소방본부장ㆍ소방서장
4.
①행정안전부령 ②30일 ③시ㆍ도지사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11조(제조소등의 폐지) 제조소등의 관계인(소유자ㆍ점유자 또는 관리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은 당해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장래에 대하여 위험물시설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시키는 것을 말한다)한 때에는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개정 2008. 2. 29., 2013. 3. 23., 2014. 11. 19., 2017. 7. 2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4일 일이내 신고인데 4번은 30일입니다. 문제 수정이필요해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는 물품 중 방염처리 대상이 아닌 것은?
1.
창문에 설치하는 브라인드
2.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
3.
무대용 섬유판
4.
영화상영관에 설치된 스크린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종이벽지는 방염불가
47.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에 대한 관계인의 잘못된 행위가 아닌 것은?
1.
피난시설ㆍ방화시설을 수리하는 행위
2.
방화시설을 폐쇄하는 행위
3.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을 변경하는 행위
4.
방화시설 주위에 물건을 쌓아두는 행위
정답 : [
1
] 정답률 : 79%
48.
건축허가 등을 함에 있어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차고ㆍ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150[m2] 이상인 층이 있는 시설
2.
항공기격납고, 관망탑, 항공관제탑, 방송용 송ㆍ수신탑
3.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150[m2]이상인 층인 있는 것
4.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2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차고.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시설 [해설작성자 : 최일규]
49.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위험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중 옳은 것은?
1.
철분이라 함은 철의 분말로서 53[μm]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2.
인화성고체라 함은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3.
유황은 순도가 60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4.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에 한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50중량%미만 2.인화점이 40도씨미만 4.36중량퍼센트 이상 [해설작성자 : 짱구]
철분이랑 철의 분말로서 53마이크로미터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인화성 고체란 고형 알코올 그 밖의 1기압에서 인화점이 40도 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유황은 순도가 60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에 한한다. [해설작성자 : 최일규]
50.
시ㆍ도의 화재 예방ㆍ경계ㆍ진압 및 조사와 화재, 재난ㆍ재해ㆍ,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ㆍ구급 등의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기관이 설치에 필요한 사항은 어떻게 정하는가?
1.
시ㆍ도지사가 정한다.
2.
행정안전부령이 정한다.
3.
소방방재청장이 정한다.
4.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제3조(소방기관의 설치 등) ① 시ㆍ도의 화재 예방ㆍ경계ㆍ진압 및 조사, 소방안전교육ㆍ홍보와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ㆍ구급 등의 업무(이하 “소방업무”라 한다)를 수행하는 소방기관의 설치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②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의 지휘와 감독을 받는다.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소방청장은 화재 예방 및 대형 재난 등 필요한 경우 시ㆍ도 소방본부장 및 소방서장을 지휘ㆍ감독할 수 있다. <신설 2019. 12. 10.> ④ 시ㆍ도에서 소방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ㆍ도지사 직속으로 소방본부를 둔다 <신설 2019. 12. 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의 확대가 빠른 고무류ㆍ연화류ㆍ석탄 및 목탄 등 특수가연물이 저장 및 취급 기분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 장소에는 품명ㆍ최대수량 및 화기취급의 금지표지를 설치할것
2.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아 저장할 것
3.
쌓는 높이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100[m2](석탄, 목탄류의 경우에는 200[m2])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쌓는 높이는 10m이하가 되도록 하고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50m2(석탄,목탄류의 경우에는 200m2)이하가 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최일규]
52.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옥내저장소에는 화재예방을 위한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가?
1.
10배
2.
100배
3.
150배
4.
200배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조제소 10 옥외 100 옥내 150 탱크 200
53.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서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는 방법
2.
절연도가 높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방법
3.
접지에 의한 방법
4.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법
정답 : [
2
] 정답률 : 70%
54.
소화활동설비에서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것
2.
근린생활시설ㆍ위락시설ㆍ판매시설ㆍ숙박시설 등으로서 지하층인 것
3.
지하가(터널을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1000[m2] 이상인 것
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300[m] 이상인 것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터널은 1000m 이상 !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설명] 1.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m2이상 또는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으로 수용인원 100명 이상 2.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된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또는 창고시설로써 해당용도로 사용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층 3. 운수시설 중 시외버스정류장,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공항시설 및 항만시설의 대기실 또는 휴게시설로서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000m2이상인 것 4. 지하가(터널제외)로서 연면적 1000m2 이상인 것 5. 지하가 중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터널 6. 특정소방대상물(각복도형 아파트 등은 제외)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또는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해설작성자 : sewoo33]
55.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강습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한국소방안전협회의 장은 강습교육 며칠 전까지 교육실시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공고하여야 하는가?
1.
14일
2.
20일
3.
30일
4.
45일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강습교육 20일전 실무교육 30일전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약칭: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 [시행 2022. 12. 1.] [행정안전부령 제361호, 2022. 12. 1., 제정] [해설작성자 : 오리무중]
56.
소방시설관리업자가 기술인력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서류는?
1.
소방시설관리업 등록수첩
2.
변경된 기술인력의 기술자격증(자격수첩)
3.
기술인력 연명부
4.
사업자등록증 사본
정답 : [
4
] 정답률 : 68%
57.
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사항 변경신고는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하여야 하는?
1.
7일
2.
15일
3.
30일
4.
3개월
정답 : [
3
] 정답률 : 43%
58.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계획의 작성 및 실시에 관한 지도ㆍ감독권자로 옳은 것은?
1.
소방방재청장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3.
시ㆍ도지사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실무에 관련된 지도 감독권자는 본부장 혹은 서장이 해야한다.
59.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고자 한다. 다음 중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는 사람은?
1.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 또는 산업안전산업기사를 자격을 가지고 2년 이상 2급 소방안저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대학교에서 소방안전관리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한 사람으로서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 관리에 관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대학교에서 소방안전관리학과 전공하고 2년 이상 2급 소방안전관리자 근무 => 특급 응시조건 [해설작성자 : 가람70]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아니하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및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는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2.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3.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의 방화구획을 하여야 한다.
4.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챠디]
63.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장소로 적당한 곳은?
1.
화약류를 제조하는 장소
2.
습도가 높은 장소
3.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4.
고주파 등의 발생 우려가 없는 장소
정답 : [
4
] 정답률 : 82%
6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에 설치하는 종단저항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검 및 관리가 쉬운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2.
감지기회로 끝부분에 설치한다.
3.
전용함에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4.
종단감지기에 설치하는 경우 구별리 수비도록 해당 감지기의 기판 등에 별도의 표시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 [해설작성자 : 개잡던스님]
65.
다음 중 복합형감지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연기복합형
2.
열복합형
3.
열ㆍ연기복합형
4.
열ㆍ연기ㆍ불꽃복합형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오류신고 5회 이상시 정답을 변경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모두가 복합형이라 전부 답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열 연기 불꽃복합형은 없습니다. 답은 4번
[오류신고 감지기 형식승인기준 제3조(감지기의 구분) 감지기는 구조 및 기능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4. 복합형감지기는 각 목과 같이 구분한다. <개정 2017. 12. 6.> 사. "열·연기·불꽃 복합형"이란 제1호, 제2호 및 제3호의 성능이 있는 것으로 세 가지 성능의 감지기능이 함께 작동될 때 화재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세 개의 화재신호를 각각 발신하는 것을 말한다. ∴답없음 [해설작성자 : BTC다람]
[추가 오류 신고] 4. 열.연기.가스복합형 <동일출판사>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정답 : 4번 화재안전기준(NFSC203) 제7조(감지기)에서의 감지기 종류에 어디에도 열, 연기, 불꽃 복합형은 없습니다.
상식적으로도 불꽃감지기는 구석 모서리 또는 벽과 가깝게 설치합니다. 이런 불꽃감지기에 열+연기 복합형은 의미없을 것 같네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무선기기의 접속단자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 보행거리 몇 [m] 이내마다 설치하는가?
1.
100[m]
2.
140[m]
3.
300[m]
4.
700[m]
정답 : [
3
] 정답률 : 74%
68.
무선 통신보조설비의 주요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전송장치(공중선 등)
2.
증폭기
3.
음향장치
4.
분배기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ㅇ 무선통신보조설비 주요 구성요소 - 누설통축케이블,분배기,분파기,혼합기,증폭기,전송장치(안테나 방식;공중선 등) [해설작성자 : 박길로이]
69.
5층(지하층은 제외한다) 이상의 소방 대상물 중 지하층에서 발화 한 경우 비상방송성비 우선경보 해당 층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발화층, 그 직상층
2.
발화층, 그 직하층
3.
발화층 및 기타의 지하층
4.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
정답 : [
4
] 정답률 : 71%
70.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을 자가발전기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로 설치하여야하는 소방대상물로 옳은 것은?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4층 이상으로 연면적 600[m2]이상인 소방대상물
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5층 이상으로 연면적 1000[m2]이상인 소방대상물
3.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6층 이상으로 연면적 1500[m2]이상인 소방대상물
4.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m2]이상인 소방대상물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비상콘센트 화재안전기준 제4조 전원 및 콘센트 등 지하층 제외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m2 이상/지하층 바닥면적 합계가 3,000m2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에는 자가발전설비/비상전원수전설비/전기저장장치를 비상전원으로 설치 [해설작성자 : BTC다람]
71.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 바닥면적이 얼마 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0[m2]
2.
100[m2]
3.
150[m2]
4.
200[m2]
정답 : [
3
] 정답률 : 74%
72.
다음 중 유도등의 예비전원은 어떠한 축전지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알칼리계 2차축전지
2.
리튬계 1차축전지
3.
리튬-이온계 2차축전지
4.
수은계 1차축전지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알칼리계 또는 리튬계 2차 전지
7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도ㆍ통로ㆍ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
2.
공연장 등에 설치하는 경우 인식이 용이하도록 객석 부분 등에 설치
3.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
4.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설비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무대에 설치해서 인식하기 쉽도록 해야합니다. 공연장 등에 설치하는 경우 인식이 용이하도록 객석(X) 무대 부분 등에 설치. [해설작성자 : 깅]
74.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항 것으로서 두께는 몇 [mm] 이상의 철판으로 하는가?
1.
1.0
2.
1.2
3.
1.5
4.
1.6
정답 : [
4
] 정답률 : 75%
75.
복도, 거실통로유도등의 설치높이에 대한 기준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거실통로에 기둥 등이 설치되지 아니한 경우이다.)
1.
거실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5[m] 이상 복도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0[m] 이하
2.
거실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0[m] 이상 복도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3.
거실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복도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0[m] 이상
4.
거실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0[m] 이하 복도통로유도등 :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피난구 거실통로 1.5m이상 나머지 1m이하
76.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애가 발생할 수 있을 것
2.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할 경우 화재 시 비상경보외의 방송을 차단할 수 있을 것
3.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20초 이내에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것
4.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다른 전기회로에 따라 유도장애가 생기지 아니하도록 할 것 3.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경우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 4.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할 것
77.
비상콘센트설비에서 저압의 범위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
1.
직류 600[V] 이하 , 교류600[V] 이하
2.
직류 750[V] 이하 , 교류600[V] 이하
3.
직류 750[V] 이하 , 교류1000[V] 이하
4.
직류 1500[V] 이하 , 교류1000[V]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AC(교류) DC(직류) 저 1kv이하 1.5kv이하 고 1kv초과~7kv이하 1.5kv초과~7kv이하 특 7kv초과
78.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서기ㆍ주차단장치 및 그 부속시시로 정의되는 것은?
1.
큐비클설비
2.
배전반설비
3.
수전설비
4.
변전설비
정답 : [
3
] 정답률 : 69%
7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2.
600[m2]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3.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 한 변의 길이는 30[m] 이하로 한다.
4.
지하구에 있어서는 경계구역의 길이는 500[m] 이하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경계구역 설정기준 1.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O) 2.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3.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0미터제곱 이하, 한 변의 길이는 50미터 이하로 *하나의 경계구역 높이는 45m이하로 [해설작성자 : 현지닝]
80.
P형 1급 발신기에 사용하는 회선의 종류는?
1.
회로선, 공통선, 소화선, 전화선
2.
회로선, 공통선, 발신기선, 전화선
3.
회로선, 공통선, 발신기선, 응답선
4.
신호선, 공통선, 발신기선, 응답선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발신기선(응답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전화선 삭제 [해설작성자 : BO]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③
②
③
①
④
①
③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①
④
①
①
②
③
②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②
④
③
③
①
②
③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③
①
①
④
④
②
④
②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①
③
③
①
④
②
①
①
③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③
②
④
②
④
③
②
④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①
④
③
④
①
③
③
④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①
②
④
①
②
④
③
①
②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소방, 설비,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