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감광계수 가시거리 상황 0.1 20~30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때의 농도(작동하기 직전의 농도) 0.3 5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의 농도 0,5 3 어두운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1 1~2 앞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10 0.2~0.5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 30 -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농도 [해설작성자 : 치악산호랑이]
7.
소화를 하기 위한 산소농도를 알 수 있다면 CO2소화의 사용 시 최소 소화농도를 구하는 식은?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에 불꽃을 대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발화점
2.
인화점
3.
연소점
4.
착화점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발화점(착화점) : 점화원을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착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 인화점 : 외부의 직접적인 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을 수 있는 최저온도 연소점 : 연소상태를 5초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화점보다 10도 정도 높아야 하는데 이를 연소점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TopStone]
16.
동식물유류에서 “ 요오드값이 크다” 라는 의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불포화도가 높다.
2.
불건성유이다.
3.
자연발화성이 낮다
4.
산소와의 결합이 어렵다.
정답 : [
1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요오드값이 크다" 1.불포화도가 높다. 2.건성유이다. 3.자연발화성이 높다. 4.산소와 결합이 쉽다. [해설작성자 : 치악산호랑이]
빛이 닿으면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를 광량의 변화를 전류값으로 대치하므로 광센서에 주로 사용하는 다이오드는?
1.
제너다이오드
2.
터널다이오드
3.
발광다이오드
4.
포토다이오드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제너다이오드: 정전압 회로용으로 사용되는 소자로서 " 정전압 다이오드" 라고도 불린다. 터널다이오드: 부성저항 특성을 나타내며, 증포ㄱ, 발진, 개폐작용에 응용한다. 발광다이오드: 전류가 통과하면 빛을 발산하는 다이오드 이다. 포토다이오드: 빛이 닿으면 전류가 흐르는 다이오드로서 광량의 변화를 전류값으로 대치하므로 광센서에 주로 사용하는 다이오드이다. [해설작성자 : 김호정 건양사이버대학 재난안전소방학과 ]
30.
다이오드를 여러 개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2.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3.
부하측의 맥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정류기의 역방향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병렬 - 과전류로부터 보호 직렬 - 과전압으로부터 보호 [해설작성자 : 카시오]
다이오드를 병렬로 여러개 연결하면 거의 전압의 변동없이(=요구하는 로드단의 회로 변경없이) 전류가 분산되어 과전류로부터 보호할수 있으나, 직렬로 여러개 연결하면 전압자체가 분산되어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최대값 Vm=√실수2+허수2=√22.322+18.662= 약 29.1 위상차 θ= tan-1허수/실수 = tan-118.66/22.32 = 약 40˚ 합성전압은 Vmsin(ωt+θ) 이므로
e = 29.1sin(ωt+40˚) V 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psyclon]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최대값 Vm : 29.1이 아니라 29.1√2 가 되어야 할 것같습니다 애초에 Vrms 값을 이용하여 합성 전압을 구하였으니 (10 ∠60˚)+(20∠30˚)=22.32 +j18.66 =(29.1∠40˚) 임으로 Vrms가 29.1 이 나와 Vm은 29.1√2가 되는 문제로 e=29.1√2 sin(ωt+40˚) V 로 정답이 없는 문제로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dong]
여자전류란 변압기에 자속을 만드는 전류를 말합니다. 그 자속이 만들어져야 2차측에서 전압이 유도가 됩니다. 그 여자전류가 자속을 만들다 보면/ 변압기의 철심에서 열이나 누설리액턴스 따위로 에너지가 낭비가 됩니다. 한 마디로 쓰잘데기 없는 낭비이죠. 그것이 이른바 "철손"이라는 것인데 / 그 철손을 만드는 전류를 철손전류라 합니다.
순수하게 자속을 만드는 전류가 자화전류이지요. 그 자화전류로 인하여 변압기 2차측에 전압이 유도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변압기 2차측에 부하가 걸리면 1차측에도 그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겠지요. 그 전류가 부하전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에는 피뢰침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위험물제조소는 제외)
1.
5배
2.
10배
3.
50배
4.
100배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 제조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해설작성자 : kissets]
42.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공공기관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강습교육의 과목과 시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염성능기준 및 방염대상물품 - 1시간
2.
소방관계법령 - 4시간
3.
구조 및 응급처지교육 - 4시간
4.
소방실무 - 21시간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구조 및 응급처지교육 - 8시간 [해설작성자 : 핌스]
소방시설법 시행규칙(별표5)에 따른 1급 소방안전관리업무 강습교육 과목 및 교육시간 소방관계법령,건축관계법령,소방학개론,화기취급감독,종합방재실운영,소방시설의 구조.점검.실습평가,소방계획수립.이론.실습 평가,작동기능점검표 작성 실습.평가,소방안전교육 및 훈련 이론 실습평가,화재대응 및 피난 실습,평가,형성평가(시험)/교육시간 40시간 같은 문제에 1)건축관계법령 2)소방관계법령,3)소방학개론,4)소방실무 의 답중 선택이며 소방실무가 해당되지 않는다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뚜기]
43.
소방특별조사의 세부 항목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대상물 및 관계지역에 대한 강제처분ㆍ피난명령에 관한 사항
2.
소방안전관리 업무 수행에 관한 사항
3.
자체점검 및 정기적 점검 등에 관한 사항
4.
소방계획서의 이행에 관한 사항
정답 : [
1
] 정답률 : 68%
44.
위험물시설의 설치 및 변경에 있어서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 등을 설치하거나 그 위치, 구조 또는 설비를 변경 할 수 없는 경우는?
1.
주택의 난방시설(공동주택의 중앙난방시설은 제외)을 위한 저장소 또는 취급소
2.
농예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20배 이하의 저장소
3.
공업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20배 이하의 저장소
4.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 건조시설을 위한 20배 이하의 저장소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 공업용 → 축산용 [해설작성자 : 소방따자]
45.
옥외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유제 내의 면적은 60000m2이하로 할 것
2.
방유제의 높이는 0.5m이상 3m이하로 할 것
3.
방유제 내의 옥외저장탱크의 수는 10 이하로 할 것
4.
방유제는 철근콘크리트 또는 흙으로 만들 것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위험물규칙 [별표 6]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
(1) 높이:0.5~ 3m 이하 (2) 탱크:10기이하(모든 탱크용량이 20만L 이하, 인화점이 70~200도 미만은 20기) (3) 면적: 80000m2이하 (4) 용량: 1기이상 - 탱크용량의 110% 이상 2기이상 - 최대용량의 110% 이상
1. 방유제 내의 면적은 60000m 이 아니고 80000m2이하로 할 것 [해설작성자 : psyclon]
46.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2.
쌓는 높이는 10m 이하로 할 것
3.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300m2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의 기준] (1)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는 품명ㆍ최대수량 및 화기취급의 금지표지를 설치할 것 (2)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쌓아 저장할 것. 가.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나. 쌓는 높이는 10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고,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50제곱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석탄ㆍ목탄류의 경우에는 200제곱미터) * 살수설비를 설치하거나, 방사능력 범위에 해당 특수가연물이 포함 되도록 대형수동식소화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쌓는 높이를 15미터 이하,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을 200제곱미터(석탄ㆍ목탄류의 경우에는 300제곱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다.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미터 이상이 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챠디]
47.
소방시설의 하자가 발생한 경우 소방시설공사업자는 관계인으로부터 그 사실을 통보 받은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이를 보수하거나 보수일정을 기록한 하자보수계획을 관계인에게 알려야 하는가?
1.
3일 이내
2.
5일 이내
3.
7일 이내
4.
14일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관계인으로부터 소방시설의 하자발생을 통보 받은 공사업자는 3일 이내에 서면으로 하자보수계획을 알려야 함. [해설작성자 : 챠디]
건축허가 등의 동의 대상물로서 건축허가 등의 동의를 요구하는 때 동의요구서에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허가신청서 및 건축허가서
2.
소방시설설계업 등록증과 자본금 내역서
3.
소방시설 설치계획표
4.
소방시성(기계ㆍ전기분야)의 층별 평면도 및 층별 계통도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본금 내역서는 공사업의 경우에만 해당된다. [해설작성자 : 가람70]
50.
위험물 제조소에는 보기 쉬운 곳에 “위험물 제조소” 라는 표시를 한 표지를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는데 다음중 표지의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1.
표지의 한 변의 길이는 0.3m 이상, 다른 한 변의 길이는 0.6m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며,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한다.
2.
표지의 한 변의 길이는 0.2m 이상, 다른 한 변의 길이는 0.4m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며,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한다.
3.
표지의 한 변의 길이는 0.2m 이상, 다른 한 변의 길이는 0.4m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며, 표지의 바탕은 흑색으로 문자는 백색으로 한다.
4.
표지의 한 변의 길이는 0.3m 이상, 다른 한 변의 길이는 0.6m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며, 표지의 바탕은 흑색으로 문자는 백색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51.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몇 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시설을 할 경우,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건축허가 등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가?
1.
10대
2.
20대
3.
30대
4.
50대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건축허가 동의대상] - 연면적이 400m2(학교시설의 경우에는 100m2, 청소년시설 및 노유자시설의 경우에는 200m2) 이상인 건축물 - 차고ㆍ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 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시설 -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2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 항공기격납고, 관망탑, 항공관제탑, 방송용 송 ㆍ수신탑 -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 면적이 150m2(공연장의 경우에는 100m2) 이상 인 층이 있는 것 - 특정소방대상물 중 위험물제조소등, 가스시설 및 지하구 -2018년 법개정 사항으로 산후조리원, 전통시장도 포함.
52.
각 시ㆍ도의 소방업무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국가가 보조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전산설비
2.
소방헬리콥터
3.
소방관서용 청사 건축
4.
소방용수시설장비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국고보조의 대상사업의 범위와 기준보조율] 1)소방활동장비및 설비 가.소방자동차 나.소방헬기및 소방정 다.소방전용 통신장비및 전산장비 라.그 밖에 방화복등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장비 2)소방관서용 청사의 건축 3)국고의 보조 대상사업의 기준보조율 [해설작성자 : 챠디]
53.
주유취급소의 고정주유설비의 주위에는 주유를 받으려는 자동차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너비와 길이는 몇 m 이상의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한 공지를 보유하여야 하는가?
1.
너비 10m이상, 길이 5m이상
2.
너비 10m이상, 길이 10m이상
3.
너비 15m이상, 길이 6m이상
4.
너비 20m이상, 길이 8m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주유를 받으려는 자동차 등이 출입 할 수 있도록 15m 이상의 너비와 6m 이상의 길이의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한 공지를 보유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뭐]
54.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소방시설공사가 공사감리 결과보고서대로 완공되었는지 완공검사를 위한 현장 확인할 수 있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노유자시설
2.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3.
1000m2미만의 공동주택
4.
지하상가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숙박시설, 창고시설, 지하상가 및 다중이용업소 1000m^2 미만의 공동주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소방은첫만남]
55.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관리의 권원이 분리된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것은?(2021년 11월 30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복합건축물(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또는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지하가
3.
도매시장, 소매시장, 전통시장
4.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이 5000m2이상인 것 또는 층수가 5층 이상인 것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재예방법 35조, 화재예방법 시행령 35조 - 관리의 권원이 분리된 특정소방대상물 (1)복합건축물(지하층을 제외한 11층 이상 또는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지하가 (3)도매시장, 소매시장, 전통시장 [해설작성자 : 이니셜d 아케이드 하고싶다..]
56.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채광 및 조명설비 설치의 원칙적인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모든 조명등은 방폭등으로 할 것
2.
전선은 내화 내열전선으로 할 것
3.
점멸스위치는 출입구 바깥 부분에 설치할 것
4.
채광설비는 불연재료로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모든' 조명등 아님. '가연성 가스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조명등을 방폭등으로 한다. 나머지 항은 맞음. [해설작성자 : 시험 2일전]
57.
다음 중 화재원인조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발화원인조사
2.
재산피해조사
3.
연소상황조사
4.
피난상황조사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화재원인조사 : 소방시설 등 조사, 발화원인조사, 발견 통보 및 초기상황조사, 연소상황조사, 피난상황조사 [암기 시발년 피난다] 화재피해조사 : 인명피해조사, 재산피해조사 [해설작성자 : 헤이헤이]
58.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1.
연면적 800m2인 아파트
2.
연면적 800m2인 기숙사
3.
바닥면적이 1000m2인 층이 있는 발전시설
4.
바닥면적이 500m2인 층이 있는 노유자시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마.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와 같다. 1) 업무시설, 공장, 창고시설, 교정 및 군사시설 중 국방·군사시설, 발전시설 (사람이 근무하지 않는 시간에는 무인경비시스템으로 관리하는 시설만 해당한다)로서 바닥면적이 1,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노유자 생활시설 3) 2)에 해당하지 않는 노유자시설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4)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건축물만 해당한다)로서 바닥면적이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5)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다만, 사람이 24시간 상시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6) 1)부터 5)까지에 해당하지 않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 7) 의료시설 중 요양병원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가) 요양병원(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은 제외한다) 나) 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해설작성자 : 챠디]
59.
제품검사에 합격하지 않은 제품에 합격표시를 하거나 합격표시를 위조 또는 변조하여 사용한 사람에 대한 벌칙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300만원 이하의 벌금
2.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49조 벌금 1000만원 정답 3번
[추가 신고]
3번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돌멩이]
벌금 1000만원 입니다 법이 바뀌어서 [해설작성자 : 캐치보이]
[추가 해설]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벌금 제품검사 성능검사의 합격표시 위조 우수품질 인증표시. 위조는 소방시설법. 49조에 의한 대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뚜기]
60.
소방시설관리업의 기술인력으로 등록된 소방기술자는 실무교육을 몇 년마다 1회 이상 받아야 하며, 실무교육기관의 장은 교육일정 몇 일전까지 교육대상자에게 알려야 하는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경우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몇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2회
2.
3회
3.
4회
4.
5회
정답 : [
2
] 정답률 : 85%
69.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위하여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 중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지상 15층인 소방대상물로서 상용전원이 축전지 설비가 아닌 경우이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2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5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3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5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5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2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70.
소방대상물 각 부분에서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며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에 발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행거리를 몇 m 로 해야 하는가?
1.
수평거리 15m 이하 , 보행거리 30m 이상
2.
수평거리 25m 이하 , 보행거리 30m 이상
3.
수평거리 15m 이하 , 보행거리 40m 이상
4.
수평거리 25m 이하 , 보행거리 40m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203) 2.6 발신기 2.6.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2.6.1.1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2.6.1.2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2.6.1.3 2.6.1.2에도 불구하고 2.6.1.2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공간의 경우 발신기는 설치대상 장소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설치할 것 2.6.2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승현용가리]
71.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몇 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0 A
2.
20 A
3.
30 A
4.
40 A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배선용 차단기 : 20A 이하 과전류 차단기 : 15A 이하 [해설작성자 : 충]
72.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 제외 장소가 아닌 것은?
1.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2.
대전류회로ㆍ고주파 발생회로 등에 의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3.
가연성 증기, 가스, 먼지 등이나 부식성의 증기, 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4.
방폭, 방온, 방습, 방진 및 정전기차폐 등의 방호조치를 한 장소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누전경보기 설치제외장소 습도가 높은 장소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화약류 제조, 저장 취급장소 대전류회로, 고주파발생회로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가연성의 증기, 먼지, 가스, 부식성의 증기, 가스 다량 체류 장소 [해설작성자 : 김호정 건양사이버대학 재난안전소방학과 ]
73.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의 비상전원은 30분 이상의 용량으로 할 것
2.
예비전원 비내장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기설비 또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할 것
3.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4.
비상조명등의 조도는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 바닥에서 1lx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0분 -> 60분 이상 [해설작성자 : 챠디]
74.
일반전기사업자로부터 특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비상전원 수전설비의 경우에 있어 소방회로배선과 일반회로 배선을 몇 cm 이상 떨어져 설치하는 경우 불연성 벽으로 구획하지 않을 수 있는가?
1.
5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 : [
3
] 정답률 : 68%
75.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에 있어서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0초 이하
2.
20초 이하
3.
10초 이하
4.
5초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중계기 5초, 비상방송 10초 [해설작성자 : 하쿠]
76.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설치기준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할 것
2.
전원회로는 각층에 있어서 하나의 회로만 설치 할 것
3.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의 용량은 20분 이상으로 할 것
4.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음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원회로는 각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 할 것 [해설작성자 : 핌스]
77.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항간의 절연저항은 최소 몇 MΩ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5 MΩ
2.
3 MΩ
3.
1 MΩ
4.
0.2 MΩ
정답 : [
1
] 정답률 : 68%
7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나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
2.
금속제 등의 지지금구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경우
3.
끝부분에 무반사 종단저항을 설치한 경우
4.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안에 설치한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70%
79.
통로유도등은 어떤 색상으로 표시하여야 하는가?
1.
백색바탕에 녹색으로 피난방향 표시
2.
백색바탕에 적색으로 피난방향 표시
3.
녹색바탕에 백색으로 피난방향 표시
4.
적색바탕에 백색으로 피난방향 표시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유도등 형식승인기준 제9조 피난유도표시 방법 등 표시면 색상은 피난구유도등인 경우 녹색바탕에 백색문자, 통로유도등인 경우는 백색바탕에 녹색문자 [해설작성자 : BTC다람]
8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1000m2 이하의 범위 내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2.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 이하로 하고 한 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한다.
3.
당해 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정체가 보이는 경우에는 경계구역의 면적은 1200m2 이하로 할 수 있다.
4.
지하구의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1000m 이하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500m2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4. 지하구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700m 이하로 한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④
③
①
①
②
②
②
②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②
③
④
②
①
④
③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①
②
④
④
②
③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④
④
③
④
①
③
①
②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①
③
①
③
①
④
②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④
③
③
④
①
②
④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③
③
④
③
③
①
②
④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②
④
①
③
③
②
①
①
①
②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소방, 설비,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