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고팽창포: 팽창비가 80이상 1000미만인 포 합성계면활성제포는 저팽창포, 고팽창로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나머지 3개는 저팽창포 이다 [해설작성자 : rorench]
3.
FM200이라는 상품명을 가지며 오존파괴 지수(ODP)가 0인 할론 대체 소화약제는 무슨 계열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HFC 계열
2.
HCFC 계열
3.
FC 계열
4.
Blend 계열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Halon1301(HFC227ea) 대체물질 소화약제 중 가장 안정된 소화약제로서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약제가 필요한곳,약제의 방출 후 문제를발생시키는 곳 그리고 상시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위해 사용되며 용기내 압력이 저압으로 안전하고 사후 유지관리가 저렴하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오류] 위 해설에서 Halon1301(HFC227ea) 이렇게 할론1301이 HFC227ea인 것처럼 해놓으셨는데 아닙니다. FM-200(HFC227ea, CF3CHCF3)은 Halon1301 대체물질 소화약제중 가장 안정된 소화약제로서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약제가 필요한 곳, 약제의 방출후 문제를 발생시키는 곳, 그리고 상시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기내 약제 압력이 저압으로 안전하고 초기 투자비에 비해 사후 유지관리가 저렴한 소화설비입니다. [해설작성자 : 도리와수리]
4.
화재 시 소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알코올포 소화약제는 수용성용제의 화재에 적합하다.
2.
물은 불에 닿을 때 증발하면서 다량의 열을 흡수하여 소화한다.
3.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식용유화재에 적합하다.
4.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연쇄반응을 억제하여 소화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 3종 분말은 ABC적응성을 가지고 있다. 식용유화재는 k급 화재 이다. [해설작성자 : rorench]
식용유 화재는 제 1종분말소화약제이다. [해설작성자 : 서부발전]
5.
화재의 종류에 따른 분류가 틀린 것은?
1.
A 급 : 일반화재
2.
B 급 : 유류화재
3.
C 급 : 가스화재
4.
D급 : 금속화재
정답 : [
3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C급 전기화재
6.
휘발유의 위험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고체 가연물에 비해 인화점이 낮다.
2.
상온에서 가연성 증기가 발생한다.
3.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체류한다.
4.
물보다 무거워 화재발생 시 물분무소화는 효과가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휘발유는 제 4류 위험물로서 물보다 가벼워서 물분무소화시 연소면이 확대되어 화재가 더 커질 위험성이 크다. 단 무상주수만 소화 가능 [해설작성자 : rorench]
7.
질소 79.2vol.%, 산소 20.8vol.%로 이루어진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1.
15.44
2.
20.21
3.
28.83
4.
36.0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공기의 분자량 N2-79% O2-21% N = 14 O = 16 (2*14*0.79)+(2*16*0.21)=28.84 [해설작성자 : rorench]
원소 원자량 H > 1 c > 12 N > 14 0 > 16 질소:N2 > 14x2x0.792=22.176 산소:02 > 16x2x0.208=6.656 공기 평균 분자량= 22.176+6.654=28.832=28.83 [해설작성자 : adf]
8.
고비점 유류의 탱크화재 시 열유층에 의해 탱크 아래의 물이 비등·팽창하여 유류를 탱크 외부로 분출시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
1.
보일 오버(Boil over)
2.
롤 오버 (Roll over)
3.
백 드래프트(Back draft)
4.
플래시 오버(Flash over)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탱크내에 잔류한 수분이 기름의 열류층 온도에 의하여 증발하면서 기름이 외부로 역류하게 되는 현상 [해설작성자 : cabtsoft]
9.
전기불꽃, 아크 등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폭발을 방지하는 방폭구조는?
1.
내압방폭구조
2.
유입방폭구조
3.
안전증방폭구조
4.
특수방폭구조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 : 폭발압력에 견디게함,밀폐구조 압력방폭구조 : 공기또는 질소 탄산가스 넣음 안전증방포구조 : 기계 전기 온도상승에 대해 안전도증가 본질안전방폭 : 점화시험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점화가되지 않는다는것이 확인된구조 [해설작성자 : mma]
기름 유 + 들 입 : 유입방폭구조 (기름 속에 들여놓는 방폭구조) [해설작성자 : 백골아자아자]
10.
할로겐원소의 소화효과가 큰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1.
I > Br > Cl > F
2.
Br > I > F > Cl
3.
Cl > F > I > Br
4.
F > Cl > Br > I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주기율표상 위에서 부터 순서로는 F CL BR I 이다. 주기율표상 아래로 갈수록 소화효과가 세진다. [해설작성자 : 한때화학과.]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단자 a, b 사이에 주파수 f(Hz)의 정현파 전압을 가했을 때 전류계 A1, A2의 값이 같았다. 이 경우 f, L, C 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전류계 A1 A2가 같았다는 것은 공진되었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공진주파수 f = 1/2π루트LC [해설작성자 : 지피지기]
23.
추종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제 어량의 종류에 의 하여 분류한 자동제어의 일종
2.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임의로 변하는 제어
3.
제어량이 공업 프로세스의 상태량일 경우의 제어
4.
정치제어의 일종으로 주로 유량, 위치, 주파수, 전압 등을 제어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자동제어계의 분류 (목표값)-----> (제어기) ------> 제어량 1.목표값에 의한 분류 (1)정치제어: 목표값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제어 ex)연속식 압연기 (2)추치제어: 목표값의 크기나 위치가 시가에 따라 변하는 것을 제어 -추치제어의 3종류: 추종제어=제어량에 의한 분류 중 서보(기계적 변위,위치 방향 각도) 기구에 해당하는 값을 제어 ex) 비행기 추적레이더, 유도미사일 프로그램제어=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에 따라 정해진 순서대로 제어 ex) 무인 엘리베이터, 무인 자판기, 무인 열차 비율제어
2.제어량에 의한 분류 (1)서보기구 제어 - 제어량이 기계적인 추치제어(추종제어)이다. 제어량) 위치, 방향, 자세, 각도, 거리 (2)프로세스 제어 - 공정제어(상태제어)라고도 하며 제어량이 피드백 제어계로서 주로 정치제어인 경우이다. 제어량) 온도, 압력, 유량, 액면, 습도, 농도 (3)자동조정 제어 - 제어량이 정치제어이다. 제어량) 전압, 주파수, 장력, 속도, 전력, 힘
3.동작에 의한 분류 (1)연속동작에 의한 분류 - 비례동작(P제어): off-set(오프셋, 잔류편차, 정상편차, 정상오차)가 발생, 속응성(응답속도)이 나쁘다. - 미분동작(D제어): 진동을 억제하여 속응성(응답속도)를 개선한다. [진상보상: 출력의 위상을 입력의 위상보다 앞서도록] - 적분동작(I제어): 정상응답특성을 개선하여 off-set(오프셋, 잔류편차, 정상편차, 정상오차)를 제거한다. [지상보상: 출력의 위상이 입력의 위상보다 뒤진다] *정상응답특성: 오프셋, 잔류편차, 정상편차, 정상오차, 최종오차 - 비례미분적분제어(PID제어): 최상의 최적제어로서 off-set를 제거하며 속응성 또한 개선하여 안정한 제어 [진지상보상] (2)불연속 동작에 의한 분류(사이클링(간헐현상) 발생) - 2위치 제어(On-Off 제어, 스위치 제어) - 샘플링제어: 임의의 추출을 제어 [해설작성자 : 도리와수리]
24.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로 옳은 것은?
1.
OR회로
2.
AND회로
3.
NOT 회로
4.
NOR 회로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직렬은 AND 병렬은 OR (A접점일때) A,B는 직렬이고 A접점이니까 AND회로 [해설작성자 : dmldlrhd]
P=VI=I^2R=V^2/R에서 R=V^2/P=100*100/500=20[옴] 동일전압 100V에서 직렬시 저항R은 20+20=40[옴]이고 따라서 P=V^2/R=100*100/40=250[W] 병렬시 저항R은 20*20/20+20=10[옴]이고 따라서 P=V^2/R=100*100/10=1,000[W] [해설작성자 : 도리와수리]
전열선과 같은 종류의 부하는 그 특성이 저항의 성질을 따른다. 같은 전압에서 저항은 직렬 연결시 개당 파워는 1/개수^2로 줄어들고, 병렬 연결의 경우에는 개당 파워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2개 연결한 경우라면 개당 파워는 직렬은 1/4, 병렬은 그대로이다. 2개이므로 합은 직렬은 1/2, 병렬을 2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정속도 운전의 직류발전기로 작은 전력의 변화를 큰 전력의 변화로 증폭하는 발전기는?
1.
앰플리다인
2.
로젠베르그발전기
3.
솔레노이드
4.
서보전동기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앰플리다인 정속도운전의 직류발전기로 작은 전력의 변화를 큰 전력의 변화로 증폭하는 발전기 [해설작성자 : 제드]
29.
전압 및 전류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압계를 저항 양단에 병렬로 접속한다.
2.
전류계는 저항에 직렬로 접속한다.
3.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배율기는 전압계와 직렬로 접속한다.
4.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저항분류기는 전류계와 직렬로 접속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전류계는 저항에 직렬로 접속하고 분류기는 전류계에 병렬로 접속한다
30.
공진작용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C급 증폭회로
2.
발진회로
3.
LC 병렬회로
4.
변조회로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공진작용과 관계 있는 것 1. C급 증폭회로 2. 발진회로 3. LC 병렬회로 [해설작성자 : 와수베가스씨럼벌~]
31.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달함수로 옳은 것은?
1.
X(s)+Y(s)
2.
X(s)Y(s)
3.
Y(s)/X(s)
4.
X(s)/Y(s)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전달함수=출력/입력 따라서 전달함수G(s)=Y(s)/X(s) [해설작성자 : 도리와수리]
32.
0.5kVA의 수신기용 변압기가 있다. 변압기의 철손이 7.5W, 전부하동손이 16W이다. 화재가 발생하여 처음 2시간은 전부하 운전되고, 다음 2시간은 1/2의 부하가 걸렸다고 한다. 4시간에 걸친 전손실 전력량은 약 몇 Wh인가?
직렬에서는 합이자나요 그래서 그냥 둘이 합치면 J (XL - XC) 가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설명입니다. 보기 2번과 4번은 앞뒤만 바뀌어 있을 뿐 같은 내용입니다. 따라서 답이 1개이므로 정답에서 제외합니다.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있어서 저항의 합성방식(직렬 및 병렬)과 동일한 것은 인덕터입니다. 따라서 저항과 인덕터는 부호가 같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기점검의 대상인 제조소 등 1.제조소 등(이송취급소, 암반탱크저장소) 2.지하탱크저장소 3.이동탱크저장소 4.위험물을 취급하는 탱크로서 지하에 매설된 탱크가 있는 제조소,주유취급소 또는 일반취급소 [해설작성자 : 정답]
정기점검을 받아야 하는 탱크중에 옥내탱크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언급되어 있는 탱크종류는, 옥외탱크(200배이상), 암반탱크, 지하탱크, 이동탱크 등입니다. 아마도 옥내에 설치되어 있는 탱크는 상대적으로 위험에 더 안정적이고 관리가 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대한 기준이 아닌 것은? (단, 동·식물원, 철강 등 불연성 물품을 저장·취급하는 창고,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위험물 제조소등, 지하구를 제외한 것이다.)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연소 우려가 있는 구조에 대한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3, ㉡ 5
2.
㉠ 5, ㉡ 8
3.
㉠ 6, ㉡ 8
4.
㉠ 6, ㉡ 10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수평거리가 1층의 경우에는 6층이하, 2층이상의경우에는 10m인경우 개구부가 다른 건축물을 향하여 설치되어있는경우 [해설작성자 : 김딱콩]
주의 구분할것 이동저장탱크의 상치장소는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 또는 인근의 건축물-5m이상 인근 건축물이 1층인 경우 몇이상의 3m이상 [해설작성자 : ㅎ]
48.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의 면제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비상조명등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 : [
1
] 정답률 : 80%
49.
위험물로서 제1석유류에 속하는 것은?
1.
중유
2.
휘발유
3.
실린더유
4.
등유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중 유 = 제 3석유류 2. 휘 발 유 = 제 1석유류 3. 실린더유 = 제 4석유류 4. 등 유 = 제 2석유류 [해설작성자 : 합격 가즈아]
50.
건축허가 등을 함에 있어서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기준이 아닌 것은?
1.
노유자시설 및 수련시설로서 연면적 100m2 이상인 건축물
2.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15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3.
차고·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건축물이나 주차시설
4.
장애인 의료재활시설로서 연면적 3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 연면적 400m^2인 건축물
학교시설 100m^2 노유자시설및 수련시설 200m^2 정신의료기관 300m^2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300m^2
2.차고 주차장 바닥면적 200m^2
3.항공기격납고
4. 지하층 무창층 150m^2 공연장의 경우는 100m^2 [해설작성자 : 김딱콩]
51.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소방시설 등의 자체점검에서 종합정밀점검을 받아야 하는 아파트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0년 8월 14일 변경된 규정 적용됨)
1.
연면적이 3000m2 이상이고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만 해당
2.
연면적이 3000m2 이상이고 층수가 16층 이상인 것만 해당
3.
연면적이 5000m2 이상이고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만 해당
4.
연면적, 층수와 관계없이 모두 해당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기존] 종합정밀점검 대상 스프링클러, 물분무 등 소화설비 연면적 5000[m2] 이상 단, 아파트: 연면적 5000[m2]이상, 층수 11층 이상 점검자 자격 : 소방시설관리업자, 소방시설관리사, 소방기술사 점검횟수 : 연 1회 이상(특급안전관리대상물은 반기에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rorench]
[변경후] 20년8월14일부로 개정돠어 연면적에 상관없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대상물은 종합정밀점검실시 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별표1] [해설작성자 : 쌍기사를 위해]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3항 가목 1)스프링클러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 에 따라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전체가 종합정밀점검대상으로 변경됨 [해설작성자 : ㅇㅇ]
화재의 예방조치 등과 관련하여 불장난, 모닥불, 흡연, 화기 취급, 그 밖에 화재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의 금지 또는 제한의 명령을 할 수 있는 자는?
1.
시·도지사
2.
국무총리
3.
소방청장
4.
소방본부장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소방기본법 제 12조(화재의 예방조치 등) 예방조치 명령자 : 소방본부장, 서장 [해설작성자 : 얌냠냠냠]
54.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기준으로 틀린 것은?(2023년 01월 03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위험물기능장 자격을 가진 자
2.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지
3.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4.
위험물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자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23. 1. 3.] [대통령령 제33199호, 2023. 1. 3., 일부개정] [별표 4]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범위와 소방안전관리자의선임 대상별 자격 및 인원기준(제25조제1항 관련)
3.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나.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선임해야 하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자격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2급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 제1호에 따른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또는 제2호에 따른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 1) 위험물기능장ㆍ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이 있는 사람 2)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청장이 실시하는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시험에 합격한 사람 4)「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9조, 제30조 및 제32조에 따라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기간으로 한정한다) [해설작성자 : T]
55.
경보설비 중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연면적 400m2 미만의 유치원
2.
교육연구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
3.
수련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
4.
연면적 2천m2 미만 아파트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시행령]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5)의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에 설치하는 단독경 보형 감지기는 연동형으로 설치해야 한다. 1) 교육연구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인 것 2) 수련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인 것 3) 다목7)에 해당하지 않는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것만 해당한다) 4) 연면적 400m2 미만의 유치원 5)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6.
다음 중 과태료 대상이 아닌 것은?
1.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
2.
소방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지 아니한 자
3.
특정소방대상물의 근무자 및 거주자에 대한 소방훈련 및 교육을 하지 아니한 자
4.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 등의 점검결과를 보고하지 아니한 자
정답 : [
1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 300만원 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rorench]
57.
시·도지사가 소방시설업의 영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의 범위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00만 원 이하
2.
2000만 원 이하
3.
3000만 원 이하
4.
5000만 원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이야 신난다. 개정이다!!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0조(과징금처분) ① 시ㆍ도지사는 제9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영업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2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개정 2020. 6. 9.>
소방시설업 과징금 3000 -> 2억원이하로 상향되었습니다. 2021 6월 20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2021 4차 시험부터는 2억원이 정답인데,설마 바뀌자마자 나올까요?
소방시설관리업자의 경우 과징금 3000만 이하는 동일합니다. [해설작성자 : 와 개정이다~]
58.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이 아닌 것은?
1.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2.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3.
농촌지역
4.
시장지역
정답 : [
3
] 정답률 : 87%
59.
소방시설업의 반드시 등록 취소에 해당하는 경우는?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
2.
다른 자에게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경우
3.
소속 소방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한 경우
4.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이 지날 때까지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하거나 계속하여 1년 이상 휴업한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반드시 취소(시설업) 1.거짓부정 등록 2.등록 결격사유 3.영업정지기간 소방시설 공사한경우
반드시취소(관리업) 1.거짓부정 등록 2.결격사유 3.등록증 타인대여
반드시 취소(시설관리사) 1.거짓부정 합격 2.결격사유 3.시설관리증 타인대여 4.둘이상 업체 취업 [해설작성자 : my darling]
6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일반 공사감리기간으로 포함시켜 산정할 수 있는 항목은?
1.
고정금속구를 설치하는 기간
2.
전선관의 매립을 하는 공사기간
3.
공기유입구의 설치기간
4.
소화약제 저장용기 설치기간
정답 : [
2
] 정답률 : 73%
61.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0
2.
500
3.
1000
4.
1500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자탐의 의료등 300 자속의 의료등 500 [해설작성자 : Dacku]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자속의료등 500이상 맞습니다 나) 정신병원 및 의료재활시설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출처:관계인이 갖추어야할 소방시설의 종류 시행령 별표5 [해설작성자 : 10bang아]
[추가 오류 신고] 자탐 설치 대상은 일반 의료시설은 600이상이 맞고, 위 문제처럼 요양병원은 연면적 제한없고, 정신의료기관은 300기준입니다. [해설작성자 : 동물소년]
62.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500, ㉡ 5
2.
㉠ 500, ㉡ 3
3.
㉠ 300, ㉡ 5
4.
㉠ 300, ㉡ 3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 기준 무선기기 접속단자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0m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m이상의 거리를 둘 것.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 위치에 설치 [해설작성자 : rorench]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의 설치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
2.
4
3.
6
4.
11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021. 1.15
제5조(수신기)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1.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경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할 것 2. 4층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할 것
2022. 5. 9 제5조(수신기)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1.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경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할 것 2. 삭제 <2022. 5. 9.>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한다.)
1.
지하가(터널은 제외)로서 연면적 500m2 이상인 것
2.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3.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5층 이상 부분의 모든 층
4.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정답 : [
4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빙대상물 1.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1000m2이상인것 2.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것, 지하층의 충수가 3층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 모든층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4. 국토계획이용법률 제2조 제9호에 따른 공동구 5.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6층 이상 부분의 모든층 [해설작성자 : 챠디]
68.
피난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미끄럼대
2.
공기호흡기
3.
승강식피난기
4.
공기안전매트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기호흡기.방열복.인공소생기는 인명구조기구임 따라서 피난기구가아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전기구조에서 2019년도부터 피난기구 안나옵니다. 그러나 이 부분은 법규에서 나오기 때문에 암기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몇 A 이하의 것으로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 이하의 것, (각 극에 개폐기 및 15A이하의 과전류 차단기) [해설작성자 : rorench]
70.
자동화재탐지설비 배선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
1.
감지기 사이의 회로의 배선은 송배선식으로 할 것
2.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위한 종단저항은 전용함을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로 할 것
3.
감지기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MΩ 이상이 되도록 할 것
4.
피(P) 형 수신기 및 지피(G.P.)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의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9개 이하로 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경계구역 : 7회개
71.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단, 지하구, 모래·석재 등 불연재료 창고 및 위험물 저장·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한다.)
1.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 (공연장의 경우 100m2) 이상인 것
2.
연면적 500m2(지하가 중 터널 또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식물 관련시설은 제외) 이상인 것
3.
3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연면적 400 / 50명 이상 근로자 / 터널 500
72.
단독경보형감지 기를 설치하여 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옳은 것은?
1.
연면적 400m2 미만의 유치원
2.
연면 적 2000m2 미만의 기숙사
3.
교육연구시설 또는 수련시설 내에 있는 합숙소 또는 기숙사로서 연면적 1000m2 미만인 것
4.
연면적 1000m2 미만의 숙박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소방시설법 시행령]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 당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5)의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에 설치하는 단독경 보형 감지기는 연동형으로 설치해야 한다. 1) 교육연구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인 것 2) 수련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또는 합숙소로서 연면적 2천m2 미만인 것 3) 다목7)에 해당하지 않는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것만 해당한다) 4) 연면적 400m2 미만의 유치원 5)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중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 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중계기.수신기:5초 비상방송.비상경보:10초 비상속보.자탐:20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각 실(이웃하는 실내의 바닥면적이 각각30[m2]미만이고 벽체 상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이웃하는 실내와 공기가 상호 유통되는 경우에는 이를 1개의 실로 본다)마다 설치하되 바닥면적이 150[m2]를 초과하는 경우 150[m2]마다 1개 이상 설치 할 것 [해설작성자 : rorench]
77.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사이의 절연저항은 전원부와 외함사이를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76%
78.
비상콘센트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또는 지하구는 제외한다.)
1.
지하가(터널은 제외)로서 연면적 1000m2 이상인 것
2.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4.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 이상인 것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비상콘센트설비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지하층 포함) 지하층 층수가 3개층 이상이고, 바닥면적이 1000[m2]이상 지하가 터널 길이가 500m 이상 [해설작성자 : rorench]
79.
비상조명등의 설치제외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2
2.
5
3.
15
4.
25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비상조명등 설치제외 거실의 각 부분으로서 하나의 출입구에 이르는 보행거리가 15m 이내인 부분 의원, 경기장, 공동주택, 의료시설, 학교의 거실 [해설작성자 : rorench]
80.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의 구조기준 중 정격전압이 몇 V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0
2.
60
3.
100
4.
300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수산기 형식숭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 수신기의 정격전압이 60V를 넘는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응위해]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④
①
③
③
④
③
①
②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③
②
①
④
②
②
③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④
②
②
①
②
②
①
④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②
④
③
①
①
②
①
③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①
②
④
②
④
①
②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③
④
③
④
①
③
③
①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②
③
②
④
②
①
④
②
③
④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①
①
④
①
①
③
②
③
②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소방, 설비, 기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