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표면연소 : 가스발생 없이, 열 분해에 의하여 물질 자체가 표면에서 연소하는 현상. 목탄, 코크스, 숯, 금속분 등 분해연소 : 열분해에 의한 가스가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하는 현상. 석탄, 종이, 목재, 플라스틱 등 증발연소 : 고체가 액체로, 액체가 기체로 바뀌어 연소하는 현상. 황, 나프탈렌, 촛불, 파라핀 등 자기연소 : 제5류 위험물로써 가연물과 산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물질이 연소하는 현상. 나이트로셀룰로스 등 [해설작성자 : 찌우짜우]
3.
자연발화의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2.
주위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
3.
열전도성을 나쁘게 한다.
4.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자연발화 예방 대책 1. 가연성물질 제거 2. 습도 낮게 유지 3. 온도 낮게 유지 4. 통풍 및 환기 유지 5.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 [해설작성자 : 찌우짜우]
<문제 해설> ※ 건물 내 피난동선의 특성 ⑴ 가급적 단순한 형태가 좋다. ⑵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으로 구분한다. ⑶ 2개 이상의 방향으로 피난할 수 있어야 한다. ⑷ 통로의 말단은 안전한 장소이어야 한다. ⑸ 가급적 상호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출구와 연결되는 것이 좋다. [해설작성자 : 3706]
문제에서 벽면이라고 물어봤기 때문에 2번이 맞습니다. 4번이 답이 될 경우에는 바닥면에 받는 힘이어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기계가즈아]
[오류신고 반론] 정답은 4번이 맞습니다. 윗면이 개방된 탱크에서 유체가 바닥과 수직한 벽면에 가하는 힘은 1/2 * 비중량 * 높이 * 단면적 기름 부분이 벽면에 가하는 압력을 F1, 물 부분이 벽면에 가하는 압력을 F2 라고 했을때 각각 부분을 나눠서 생각해보면 F1 = 1/2 * 0.8(기름의 비중) * 9.8(물의 비중량) * 2(높이) * 4(벽의 면적 2 * 2) = 31.36kN F2 = 물이 기름 아래에 있으므로 "기름이 수직 방향으로 물을 누르는 압력" + 물 부분이 벽면에 가하는 압력 따라서 0.8(기름의 비중) * 9.8(물의 비중량) * 2(높이) *4(밑면의 면적 2 * 2) + 1/2 * 9.8(물의 비중량) * 2(높이) *4(벽의 면적 2 * 2) = 101.92kN 물과 기름이 벽면에 가하는 압력을 각각 나눠서 생각했으므로 F1 + F2 = 31.36kN + 101.92kN = 133.28kN 기존 정답인 4번 133kN 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쌍기사]
[오류신고 반론] 전부 물일 경우보다 압력이 작아져야 함.
23.
경사진 관로의 유체흐름에서 수력기울기선(Hydraulic Grade Line : HGL)의 위치로 옳은 것은?
1.
언제나 에너지선보다 위에 있다.
2.
에너지선보다 속도수두 만큼 아래에 있다.
3.
항상 수평이 된다.
4.
개수로의 수면보다 속도수두 만큼 위에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수력구배선=수력기울기선(HGL) 1.관로 중심에서의 위치수두에 압력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이다. 2.에너지선보다 항상 아래에 있다. 3.에너지선보다 속도수두만큼 아래에 있다. [해설작성자 : 권의훈]
24.
깊이 1m까지 물을 넣은 물탱크의 밑에 오리피스가 있다. 수면에 대기압이 작용할 때의 2배 유속으로 오리피스에서 물을 유출시키려면 수면에는 면 kPa의 압력을 더 가하면 되는가? (단, 손실은 무시한다.)
1.
9.8
2.
19.6
3.
29.4
4.
39.2
정답 : [
3
] 정답률 : 29%
25.
동점성계수가 0.8 ×10-6m2/s인 유체가 내경 20cm인 배관속을 평균유속 2m/s로 흐를 때의 레이놀즈(Reynolds) 수는 얼마인가?
1.
3.5 × 105
2.
5.0 × 105
3.
6.5 × 105
4.
7.0 × 105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ReNo=D*U/v 0.2*2/0.8 [해설작성자 : 박예삐]
26.
그림과 같이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속도가 V = 12m/s이고, 분류에 수직인 평판은 속도 u = 4m/s로 움직일 때, 평판이 받는 힘은 몇 N인가? (단, 노즐(분류)의 단면적은 0.01m2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40
2.
960
3.
1280
4.
1440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F= pQV 로 큐 브이 즉 밀도 유량 유속 유속 Q=AV = 0.01 * 12 = 0.12 m^3/s 그럼 평판이 받는 힘은 1000 * 0.12 * (12 - 4) = 960N 입니다. 정답 2번입니다. 출처-에듀파이어 한끝소 필기 기계편 2019최신판 [해설작성자 : 마이클신]
[오류신고 반론] 1번이 정답 맞습니다. 저 문제는 F=pAV^2 공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고로 1000 x 0.01 x (12-4)^2 = 640N 입니다. [해설작성자 : 온동네]
27.
직경이 15 cm인 배관에 5m3/min로 물이 정상류로 흐르고 있을 때 물의 평균유속은 약 몇 m/s 인가?
소방대상물에 대한 개수명령과 관련하려 개수ㆍ이전ㆍ제거, 사용의 금지 또한 제한, 공사의 정지 또는 중지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특정소방 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의료시설
2.
복합건축물
3.
판매시설 및 영업시설
4.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전신전화국
정답 : [
2
] 정답률 : 25%
61.
분말소화설비의 배관과 선택밸브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관은 겸용으로 설치할 것
2.
강관은 아연도금에 따른 배관용탄소강관을 사용할 것
3.
동관은 고정압력 또는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4.
선택밸브는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마다 설치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배관 겸용 설치 허용조항 없음
배관은 전용으로 할것 [해설작성자 : 원주 신화엔지니어]
62.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습식설비의 청소용으로 교차배관 끝에 설치하는 개폐밸브는 40 mm 이상을 설치한다.
2.
급수배관 중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어야 한다.
3.
수직배수배관의 구경은 65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습식스프링클러설비외의 설비에는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가지배관의 기울기를 250분의 1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수직배수배관의 구경은 50mm이상 [해설작성자 : 오리온]
63.
옥내소화전 설비가 각 층에 5개씩 설치되어 있을 때 당해 건물의 옥내소화전 전용 유효수량은 얼마 이상 확보하여야 하는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2.6m3 이상
2.
5.2m3 이상
3.
10.4m3 이상
4.
65m3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64.
구조대를 설치하여야 할 층은?
1.
지하 2층
2.
지하 1층
3.
지상 1층
4.
지상 3층
정답 : [
4
] 정답률 : 67%
65.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단위 기준 및 보행거리 배치 기준이 적절하게 표시된 것은?
1.
A급 화재 : 10단위 이상, B급 화재 : 20 단위 이상, 보행거리 : 30m 이내
2.
A급 화재 : 20단위 이상, B급 화재 : 20 단위 이상, 보행거리 : 30m 이내
3.
A급 화재 : 10단위 이상, B급 화재 : 20 단위 이상, 보행거리 : 40m 이내
4.
A급 화재 : 20단위 이상, B급 화재 : 20 단위 이상, 보행거리 : 40m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소화기의 능력단위 및 보행거리 ⑴ 소형 소화기 - 능력단위: 1단위 이상 - 보행거리: 20m 이내
⑵ 대형 소화기 - 능력단위 A급 화재: 10단위 이상 B급 화재: 20단위 이상 - 보행거리: 30m 이내 [해설작성자 : 3706]
66.
연결송수관설비의 송수구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건축물에 설치된 각 수직배관이 중간에 개폐밸브가 설치되지 아니한 배관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건축마다 1개씩 설치할 수 있다.
2.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시는 그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옥외 또는 기계실 등에 설치한다.
3.
건식의 경우에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자동배수밸브및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4.
송수구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연결송수관설비송수구”라고 표시한 표지와 송수구역 일람표를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송수구역일람표는 법에 없다. [해설작성자 : 와그라노]
67.
가연성가스의 저장ㆍ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는 그 방호대상물로부터 얼마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1.
10m 이상
2.
15m 이상
3.
20m 이상
4.
25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 거리 : 25m 옥외소화전 방수구까지 거리 : 40m 연결살수설비 방수구까지 거리 : 20m [해설작성자 : taelee]
<문제 해설> ② 포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 또는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가압송수장치·일제개방밸브 및 포 소화약제 혼합장치를 기동시킬 수 있도록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고, 화재시 즉시 해당 조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2. 8. 20.> 1.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를 것 <개정 2012. 8. 20.> 가. 표시온도가 79℃ 미만인 것을 사용하고, 1개의 스프링클러헤드의 경계면적은 20m2 이하로 할 것 나. 부착면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5m 이하로 하고, 화재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것 다. 하나의 감지장치 경계구역은 하나의 층이 되도록 할 것 2. 화재감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를 것 <개정 2012. 8. 20.> 가. 화재감지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제7조의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개정 2012. 8. 20.> 나. 화재감지기 회로에는 다음 각 세목의 기준에 따른 발신기를 설치할 것 <개정 2012. 8. 20.> (1)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2)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3)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 면으로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3. 동결우려가 있는 장소의 포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할 것 [해설작성자 : taelee]
69.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 안전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해 1/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2.
배수구에서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 소화핏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3.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4.
케이블트레이에 적용하는 펌프의 분당 방수량은 투영된 바닥면적 1m2에 대하여 12ℓ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해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70.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장소별 헤드의 기준개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0층 이하인 소방대상물로서 소매시장의 경우는 20개
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소방대상물(아파트를 제외한다.)의 경우는 30개
3.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0층 이하인 소방대상물로서 공장(특수가연물을 저장ㆍ취급하는 것)의 경우는 30개
4.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0층 이하인 소방대상물로서 창고(래크식 창고 포함, 특수가연물을 저장ㆍ취급하는 것)의 경우는 30개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판매시설 또는 복합건축물 :30개 [해설작성자 : taelee]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0층 이하인 소방대상물로서 소매시장의 경우는 30개 [해설작성자 : 경기fire20]
71.
주차장에 필요한 분말소화약제 120kg을 저장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저장용기의 내용적(L)으로서 맞는 것은?
할론 2402를 방출하는 분사헤드는 당해 소화약제가 무상(務狀)으로 분무되는 것으로 할 것
2.
할론 1211의 방사압력은 0.2MPa 이상으로 할 것
3.
할론 1301의 방사압력은 0.3MPa 이상으로 할 것
4.
할론 2402의 방사압력은 0.1MPa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할론 1301의 방사압력은 0.9MPa 이상으로 할 것
73.
호스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섭씨 20℃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분당 몇 kg 이상의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40
2.
50
3.
60
4.
80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④ 호스릴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노즐은 20℃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60㎏/min 이상의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호스릴을 설치하는 장소마다 설치할 것 4.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개방밸브는 호스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5.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가장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표시등을 설치하고, 호스릴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있다는 뜻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해설작성자 : taelee]
74.
포소화설비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수동식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의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2.
기동장치의 조작부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기동장치의 조작부”하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3.
항공기격납고의 경우 수동식 기동장치는 각 방사구역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4.
호스 접결구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접결구”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3. 항공기격납고의 경우 수동식 기동장치는 각 방사구역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2개이상 임
75.
옥외소화전설비에는 옥외소화전마다 그로부터 얼마의 거리에 소화전함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m 이내
2.
6 m 이내
3.
7 m 이내
4.
8 m 이내
정답 : [
1
] 정답률 : 67%
76.
제연설비의 설치장소에 따른 제연구역의 구획으로서 그 기준에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2.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600m2 이내로 할 것
3.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4.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m^2 이내로 할 것 [해설작성자 : ^__^]
※ 제연구역의 기준 (NFSC 501 제4조 제1항) ⑴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m2 이내로 할 것 ⑵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⑶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⑷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⑸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해설작성자 : 3706]
77.
바닥면적이 80m2인 특수가연물 저장소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펌프의 1분당 토출량의 기준은 1m2에 몇 L를 곱한 양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10
2.
16
3.
20
4.
32
정답 : [
1
] 정답률 : 40%
78.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를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살수헤드까지의 수평거리의 기준은?
1.
1.7m 이하
2.
2.1m 이하
3.
2.3m 이하
4.
3.7m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 : 3.7m 이하 스프링클러헤드 : 2.3m 이하 [해설작성자 : 소방류찌]
79.
지상 5층 복합건축물에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30개 설치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최소 수원의 량은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