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Fusarium 곰팡이독으로 면역억제 작용, 단백질 합성 저해, 생식 기능에 문제 2. 훈제공정, 가열처리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발암물질 3. 탄수화물 식품을 120도 이상으로 조리,가공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 4. 산분해 간장 제조시 생성되는 물질.
이 문제에서는 가공처리 공정 중 유입 또는 생성되는 위해인자와 거리가 먼것을 물어봤으므로 가공때 생기는 것이 아닌 1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삼태민]
12.
물의 오염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기간 동안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1.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2.
COD(chemical oxygen demand)
3.
SS(suspended solid)
4.
DO(dissolved oxygen)
정답 : [
1
] 정답률 : 88%
13.
미생물 검사를 요하는 검체의 채취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채취 당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는 용기ㆍ포장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무균적으로 채취하더라도 검체를 소분하여서는 안된다.
3.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보관ㆍ유통중에 있는 것을 채취하여야 한다.
4.
검체는 관련정보 및 특별수거계획에 따른 경우와 식품접객업소의 조리식품 등을 제외하고는 완전 포장된 것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14.
방사능 물질과 방사선 조사에 의한 인체와 식품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감기가 짧을수록 위험하다.
2.
동위원소의 침착 장기의 기능 등에 따라 위험도의 차이가 있다.
3.
혈액 흡수율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4.
생체기관의 감수성이 클수록 위험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반감기가 길수록 위험하다. [해설작성자 : 전공자]
15.
식품에서 생성되는 acrylamide에 의한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감자는 8 ℃ 이상의 음지에서 보관하고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다.
2.
튀김의 온도는 160℃ 이상으로 하고, 오븐의 경우는 200℃ 이상으로 조절한다.
3.
빵이나 시리얼 등의 곡류 제품은 갈색으로 변하지 않도록 조리하고, 조리 후 갈색으로 변한 부분은 제거한다.
4.
가정에서 생감자를 튀길 경우 물과 식초의 혼합물(1:1 비율)에 15분간 침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아크릴아마이드: 튀김온도는 120도 이하로 조리.가공하는과정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전공자]
아크릴아마이드는 온도가 높을수록 많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2번 보기는 튀김의 온도는 160도 이하, 오븐의 경우 200도 이하로 조절한다. 가 올바른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합현지격]
16.
장출혈성대장균의 특징 및 예방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염된 식품 이외에 동물 또는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등을 통하여 전파될 수 있다.
2.
74℃에서 1분 이상 가열하여도 사멸되지 않는 고열에 강한 변종이다.
3.
신선채소류는 염소계 소독제 100ppm으로 소독 후 3회이상 세척하여 예방한다.
4.
치료 시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장출혈성대장균이 죽으면서 독소를 분비하여 요독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다.
<문제 해설> 돼지감자는 베타 glucose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알파 glucose 결합입니다 [해설작성자 : 숴]
서류(감자, 카사바, 마 등)은 전분을 다량 함류하고 있지만 돼지감자는 다른 서류와 달리 이눌린 성분이 15% 정도 함유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삼태민]
33.
버터나 생크림을 수저로 떠서 접시에 올려놓았을 때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물리적 성질은?
1.
점성
2.
탄성
3.
소성
4.
점탄성
정답 : [
3
] 정답률 : 79%
34.
다음 식물성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색소 중에서 프로비타민 A가 아닌 것은?
1.
α -carotene
2.
β -carotene
3.
cryptoxanthin
4.
xanthophyll
정답 : [
4
] 정답률 : 64%
35.
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콩에 가장 많은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이다.
2.
콩에 가장 많은 단백질은 글로블린(globulin) 이다.
3.
콩에는 쌀에 비해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이 들어있다.
4.
콩에는 무기질 중에서 K와 P가 많이 들어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콩단백질에는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높은 반면 메티오닌 함량은 적은편이다 [해설작성자 : 허해]
36.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종류와 주요 항산화 메카니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비타민 C - 수소공여 혹은 전자공여체
2.
β-카로틴 -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제거
3.
세사몰 - 수소공여 혹은 전자공여체
4.
EDTA - 산소제거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EDTA는 모든 금속이온과 쉽게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유지식품의 항산화작용을 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앞니]
37.
식품의 텍스처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저작성은 '무르다, 단단하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2.
부착성은 '미끈미끈하다, 끈적끈적하다' 등으로 표현된다.
3.
응집성은 '기름지다, 미끈미끈하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4.
견고성은 '부스러지다, 깨지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저작성 : 연하다, 질기다등으로 표현 부착성 : 끈적끈적하다, 미끈미끈하다등으로 표현 응집성 : 관능적으로 감지되기 어렵다 견고성 : 무르다, 단단하다, 굳다 등으로 표현
38.
30%의 수분과 30%의 설탕(C12H22O11)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의 수분활성도는?
1.
0.98
2.
0.95
3.
0.82
4.
0.90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H2O의 MW = 18 / C12H22O11 MW = 342 a = 30/18 = 1.67 b = 30/342 = 0.088 a/(a+b) = 0.95라는 값이 나옵니다. 물론 근사값입니다, [해설작성자 : KGU_zxxxxx1ne]
39.
산패(rancidity)가 가장 빠른 지방산은?
1.
arachidonic acid
2.
linoleic acid
3.
stearic acid
4.
palmitic acid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포화지방산보다 불포화지방산이 빠르게 일어난다.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 이중결합의 수가 많을수록 빠르게 일어난다.
1. 이중결합이 가장많은 1번이 산패가 가장 빠르게 일어남 [해설작성자 : 삼태민]
40.
식품의 회분분석에서 검체의 전처리가 필요 없는 것은?
1.
액상식품
2.
당류
3.
곡류
4.
유지류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전처리 필요없는 시료 : 곡류, 두류 -미리 건조해야하는 시료 :수분함량이 높은 액상식품, 채소, 과일, 동물성 식품 중 수분함량이 높은 식품 -예비 탄화 시켜야 할 시료 : 회화할때 팽창할 시료, 당류, 당 함량이 많은 식품, 정제 전분, 달걀흰자등 -연소시켜야 할 시료 : 유지류는 직접 점화해 불꽃이 꺼질때까지 연소시킴 [해설작성자 : 삼태민]
3과목 : 식품가공학
41.
수분 함량이 83%(wet base)인 100kg의 감자 절편을 열풍 건조기로 함수량을 5%까지 줄이고자 한다. 건조 개시 때의 외부 공기와 감자 절편의 온도는 똑같이 25℃이고 건조 종료 시의 배출 공기와 건조된 감자 제품의 온도는 모두 80℃이다. 건조에 필요한 열량은? (단. 감자의 평균 비열은 0.8 kcal/kgㆍ℃이고 80℃에서의 증발 잠열은 551kcal/kg이다.)
1.
45733kcal
2.
49640kcal
3.
59133kcal
4.
55340kcal
정답 : [
2
] 정답률 : 42%
42.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1.
안정성을 높임
2.
불포화지방산에 기인한 냄새를 제거함
3.
융점을 높임
4.
유리지방산을 제거함
정답 : [
4
] 정답률 : 73%
43.
수분함량이 12%인 초자질밀 1000kg을 수분함량이 15.4%되도록 조질(tempering)하려고 할 때 첨가하여야 할 물의 무게는 약 얼마인가?
<문제 해설> 몸집이 큰 동물일수록 경직시간이 길고 서서히 일어남 [해설작성자 : 삼태민]
48.
시유의 살균방법 중 고온단시간살균법(HTST 법)과 초고온순간살균법(UHT 법)의 일반적인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은?
1.
130 ~ 150℃에서 1 ~ 2분, 130 ~ 150℃에서 1 ~ 5초
2.
95 ~ 98℃에서 5초, 150 ~ 160℃에서 0.1 ~ 0.2초
3.
72 ~ 75℃에서 15 ~ 20초, 130 ~ 150℃에서 0.5 ~ 5초
4.
60 ~ 65℃에서 30초, 150 ~ 160℃에서 3 ~ 5초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초고온순간살균법(Ultra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UHT) : 130~150도에서 1~5초간 살균 -고온단시간살균법(High Temperature Short Time method,HTST) : 72~75도에서 15~20초간 살균 -저온장시간살균법(Low Temperature Long Time method,LTLT) : 62~65도에서 20~30분간 살균 [해설작성자 : 삼태민]
49.
심온 냉동장치(cryogenic freezer)에서 사용되는 냉매가 아닌 것은?
1.
에틸렌가스
2.
액화질소
3.
프레온-12
4.
이산화황가스
정답 : [
4
] 정답률 : 74%
50.
마요네즈 제조 시 첨가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달걀 흰자
2.
샐러드오일
3.
식초
4.
달걀 노른자
정답 : [
1
] 정답률 : 81%
51.
오렌지 주스의 농축에 가장 부적합한 농축기는?
1.
자연 순환식 증발기(natural circulation evaporator)
2.
박막식 증발기(film evaporator)
3.
플레이트식 증발기(plate evaporator)
4.
원심식 증발기(centrifugal evaporator)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자연 순환식 증발기 -인공적으로 건조하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 -자연적인 대류를 이용하여 환기를 하는 방법 -훈제품을 만들 때의 훈건법과 같으며 말린 사과, 말린 가다랭이, 곶감등에 이용 [해설작성자 : 앞니]
52.
발효를 생략하고 기계적으로 반죽을 형성시키는 제빵공정(no time dough method)에서 cystein을 첨가하면 cystein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1.
gluten의 -NH2 기에 작용하여 -N=N- 로 산화한다.
2.
gluten의 -SH 기에 작용하여 -S-S-로 산화한다.
3.
gluten의 -S-S- 결합에 작용하여 -SH 로 환원한다.
4.
gluten의 -N=N- 결합에 작용하여 -NH2로 환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시스테인(Cystein)은 글루텐의 -S-S- 결합을 끊어 -SH 로 환원로 환원시켜 글루텐을 연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과 제빵 시 글루텐의 신장성을 증가, 노화방지, 믹싱과 발효시간을 단축해 주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크라운 필기 1700제 해설 중 [해설작성자 : 뇽]
[추가 오류 신고] Cysteine은 분자 내에 있는 -SH기에 의한 다양한 화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disulfide cross linkage (-S-S-)를 형성하는 글루텐을 함유한 제분 가공품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Kilborn, RH and Tipples, KH(1973), Tsen, CC (1969)]. 빵을 제조할 때 cystein을 첨가하면 반죽과정에서 글루텐의 disulfide cross-linkage를 환원시켜 반죽의 탄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반죽을 용이하게 하는 dough conditioner로 이용된다 [Ewat, JAD (1988), Koh, BK (2000)]. (김선재 and 김두운, 2006 논문 재인용) 그렇기 때문에 Cysteine은 환원제로 작용하여 -S-S- 결합을 -S-H-결합으로 환원시킨다. [해설작성자 : 이즈야결혼하자]
53.
다음 중 갈조류가 아닌 것은?
1.
김
2.
톳
3.
미역
4.
다시마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갈조류(Brown algae):톳,미역,다시마 등 홍조류 : 김, 우뭇가사리 등 [해설작성자 : 허해]
54.
분무건조법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열변성하기 쉬운 물질도 용이하게 건조 가능하다.
2.
제품형상을 구형의 다공질 입자로 할 수 있다.
3.
연속으로 대량 처리가 가능하다.
4.
재료의 열을 빼앗아 승화시켜 건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분무건조법 -액체 식품을 분무기를 이용해 미세한 액체 방울로 분사하여 열풍에 의해 순간적으로 수분을 증발하여 건조, 분말화 시키는 것이다. -열에 민감한 식품의 건조에 알맞고 연속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제품형상을 구형의 다공질 입자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허해]
재료의 열을 빼앗아 승화 사키는건 _ 동결건조이다 [해설작성자 : 이하라라하]
55.
냉각된 브라인(brine)을 흘려 냉각한 금속판 사이에 피동결물을 끼워서 동결하는 방법은?
1.
침지식 동결법
2.
공기 동결법
3.
접촉식 동결법
4.
가스 동결법
정답 : [
3
] 정답률 : 83%
56.
식품의 저온저장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느리게 통과할수록 냉동식품의 품질이 좋다.
2.
빙결정의 크기가 작고 고르게 분포되어야 품질이 좋다.
3.
냉동식품의 T.T.T.의 계산값이 1.0이하이면 품질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4.
냉동식품은 드립(drip)을 줄이는 방향으로 해동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느리게 통과하면 빙결정의 크기가 커지고 이는 식품 조직의 파괴 및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해설작성자 : 최준영]
57.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성분 중에서 가장 부족한 것은?
1.
칼슘
2.
요오드
3.
마그네슘
4.
철분
정답 : [
4
] 정답률 : 43%
58.
명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북어는 장시간 천천히 말린 명태
2.
코다리는 꾸들꾸들하게 반쯤 말린 명태
3.
황태는 겨울내 자연적으로 동결건조된 명태
4.
노가리는 명태 새끼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명태(생태)를 완전히 건조시킨 것을 북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동해안 일대에서 잡은 명태를 겨울 동안 얼렸다 녹혔다를 반복하며 겨울 찬바람에 완전히 건조시켜 북어로 만든다 [해설작성자 : 고마워서]
북어는 말려서 건조시킨 것. 황태는 얼렸다 녹이기를 반복하여 말린 것은 명태입니다. [해설작성자 : 꾸꾸닷]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북어 : 명태를 쭉 말려서 건조시키기만 한 것 황태 : 명태를 얼렸다 녹였다를 3개월 이상 반복한 것 동태 : 명태를 겨울에 잡아 자연적으로 얼린 것 따라서 3번은 황태가 아니라 동태 설명이며, 1번은 맞는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이거 답 3번입니다. 황태는 얼렸다 녹였다를 20번 이상 반복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자연 건조로 만들어질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할거야]
[오류신고 반론] 3번 보기 내용은 자연적으로 동결 건조된 입니다. 자연적으로 동결이라면 한번만 얼린게 되겠지만.
동결 건조란 얼었다 녹았다는 반복하면서 수분이 증발한 상태를 말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합격할꺼야님 말씀 처럼 자연건조로만 만들어 졌다고 3번에 적혀있지도 않구요. 3번 보기 내용은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동결건조라고 되어 있습니다.
59.
통조림의 가열 살균을 위하여 살균 솥에 원료를 삽입할 때 그 통조림의 초기 온도를 중요시하는 주요 이유는?
1.
통조림의 내용물의 조리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2.
유해 미생물의 계속적인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3.
작업의 진도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
4.
통조림의 관내 중심온도가 살균온도로 유지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정답 : [
4
] 정답률 : 80%
60.
젤리가 생성되는데 필요한 성분이 아닌 것은?
1.
산
2.
당분
3.
펙틴
4.
일가 금속이온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가 금속이온 [해설작성자 : 합격합격]
4과목 : 식품미생물학
61.
당류의 발효성 실험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Lindner 법
2.
Durham tube 법
3.
Einhorn tube 법
4.
Pilsner 법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효모에 의한 당류 발효성 실험법 1. Lindner 법 2. Durham tube법 3. Einhorn tube법 4. Meissel씨 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세균의 DNA가 phage에 혼합된 후 이 phage가 다른 세균에 침입하여 세균의 유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현상은?
1.
recombination
2.
transformation
3.
transduction
4.
heterocaryon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형질전환(Transformation) :DNA 재조합에 의해 유전형질 변화 -형질도입(Transduction) :세균이 다른 세균으로 침입해 유전물질 운반
세균 나오면 거의 형질도입!! [해설작성자 : 삼태민]
66.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층을 용해하는 효소는?
1.
인버타아제(invertase)
2.
찌마아제(zymase)
3.
펩티다아제(peptidase)
4.
라이소자임(lysozyme)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라이소자임 -생물계에 널리 분포 -눈물,침,코점액 등 생체 내 모든 조직의 체액에서 존재. 생체 방어에 중요한 역할 -세균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세균의 생육을 저해 -펩티도글리칸의 아세틸글루코사민과 acetylmuramic acid 사이의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 [해설작성자 : 삼태민]
67.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 구성 물질로써 사람이나 동물에게 독소활성을 보이는 내독소는?
1.
핍티도글리칸(peptidoglycan)
2.
테이코산(teichoic acid)
3.
지질 A(lipid A)
4.
포린(porin)
정답 : [
3
] 정답률 : 56%
68.
효모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주요작용은?
1.
호흡작용
2.
단백질 생합성 작용
3.
효소 생합성 작용
4.
지방질 생합성 작용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세포의 호흡작용에 관여 TCA cycle이 일어나는곳, 에너지(ATP)를 생산
2번 보충설명-미생물 세포내에서 단백질의 직접 합성에 관여 -리보솜 [해설작성자 : 고마워서]
69.
독버섯의 유독성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neurine : 호흡곤란, 설사, 경력, 마비를 일으킨다.
2.
muscaridine : 복통, 강직 및 콜레라 같은 심한 설사로 탈수증을 유발한다.
3.
phaline : 일광대버섯에 함유된 강한 용혈작용을 갖는 맹독성분이다.
4.
muscarine : 발한, 구토, 위경련을 일으키며 사람에 0.5g 경구투여가 치사량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muscaridine : 교감신경자극에 의해 뇌증상
70.
빛에너지와 유기탄소원을 사용하는 미생물의 종류는?
1.
광독립영양균
2.
화학독립영양균
3.
광종속영양균
4.
화학종속영양균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빛에너지를 아용해 생체성분을 합성 (무기물만을 영양원으로 이용) 2. 무기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에너지를 획득 (무기물만을 영양원으로 이용) 4. 유기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에너지를 획득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 [해설작성자 : 삼태민]
71.
다음 중 세포융합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세포의 protoplast화
2.
융합체의 재생
3.
세포분열
4.
protoplast의 응집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세포융합단계 새포의 Protoplast화(세포벽 제거)->Protoplast의 융합->융합체의 재생->재조합체의 선택 및 분리 [해설작성자 : 삼태민]
72.
액체 식품 중의 생존균수를 희석평찬 배양법으로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을 때 식품 1mL 중의 colony 수는?
DNA가 반보존적으로 유전된다는 Meselson 실험에서 2세대후 14N 과 15N 의 비율은?
1.
1 : 1
2.
1 : 2
3.
1 : 3
4.
2 : 1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0세대:DNA 모두 15N만으로 이루어짐 1세대:DNA 모두 14N+15N을 등량 포함하는 잡종분자로 변화하고 중간무게의 DNA, 가벼운 DNA 14N : 무거운 DNA 15N = 1:1 2세대: 14N-15N의 잡종분자와 14N-14N만으로 이루어진 가벼운 DNA를 얻음 무거운 DNA : 가벼운 DNA = 2개 : 6개 => 1:3 [해설작성자 : 삼태민]
88.
mRN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NA 중 양이 가장 많다.
2.
nucleotide의 수가 가장 적다.
3.
활성화된 아미노산의 운반체로 작용한다.
4.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mRNA : DNA 안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의 정보를 복사하여 단백질 합성 장소인 리보솜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앞니]
89.
내열성 α-amylase 생산에 이용되는 균은?
1.
Aspergillus niger
2.
Bacillus licheniformis
3.
Rhizopus oryzae
4.
Trichoderma reesei
정답 : [
2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바실루스리케니포르미스균, Bacillus licheniformis) 활성유산균을 공급 이균은 장정제, 장관련된 병에 약으로도 쓰인다. [해설작성자 : 고마워서]
90.
다음 효소 중에서 전분의 α-1.6-glucoside 결합을 가수 분해하는 것은?
1.
α-amylase
2.
cellulase
3.
β-amylase
4.
glucoamylase
정답 : [
4
] 정답률 : 61%
91.
퓨젤유(fusel oil)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원리 또는 방법은?
1.
증류와 비중
2.
증류와 염석
3.
비중과 염석
4.
침전과 추출
정답 : [
1
] 정답률 : 41%
92.
주정 제조 시 단식 증류기와 비교하여 연속식 증류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료비가 많이 든다.
2.
일정한 농도의 주정을 얻을 수 있다.
3.
알데히드(aldehyde)의 분리가 가능하다.
4.
fusel유의 분리가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연료비가 적게 들어 생산원가가 적게 든다 [해설작성자 : 삼태민]
93.
효소의 미켈리스-멘텐 반응속도에서 기질농도 [S] = Km일 때 효소 반응속도 값이 15mM / min이다. Vmax는?
1.
5 mM / min
2.
7.5 mM / min
3.
15 mM / min
4.
30 mM / min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2 Vmax = 1Km [해설작성자 : 모선]
9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산균주의 보관방법이 아닌 것은?
1.
저온(냉장)보관
2.
상온보관
3.
냉동보관
4.
동결건조
정답 : [
2
] 정답률 : 82%
95.
리보솜에서 단백질이 합성될 때 아미노산이 ATP에 의하여 일단 활성화된 후에 한 종류의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된다. 이 활성화된 아미노산이 결합되는 핵산 수용체는?
1.
m-RNA
2.
r-RNA
3.
t-RNA
4.
DNA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아미노산 활성화 2. 활성화된 아미노산이 t-RNA 결합해 aminoacyl t-RNA 생성되면서 개시 3. DNA를 복사한 m-RNA 합성 4. 리보솜에서 m-RNA와 aminoacyl t-RNA와의 결합으로 합성이 이루어짐 [해설작성자 : 삼태민]
96.
당밀을 원료로 한 주정 제조 시 고농도의 알코올 발효에 가장 적합한 균은?
1.
Saccharomyces robustus
2.
Saccharomyces formosensis
3.
Saccharomyces ellipsoideus
4.
Saccharomyces cerevisisae
정답 : [
1
] 정답률 : 26%
97.
다음 중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C
3.
비타민 D
4.
비타민 E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지용성 비타민 : A,D,E,K 수용성 비타민 : B,C [해설작성자 : 삼태민]
98.
지방산의 생합성 속도를 결정하는 효소는?
1.
시트르산 분해효소(citrate lyase)
2.
아세틸-CoA 카르복실화효소(acetyl-CaA carboxylase)
3.
ACP-아세틸기 전이효소(ACP-acetyl transferase)
4.
ACP-말로닐기 전이효소(ACP-malonul transferase)
정답 : [
2
] 정답률 : 77%
99.
ergosterol이 자외선에 의해 변하는 물질의 이름은?
1.
비타민 D2
2.
비타민 B2
3.
비타민 E
4.
비타민 B6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효모나 맥각(麥角)을 비롯하여 표고버섯 등 균류에 들어 있는 스테로이드로 에르고스테린(ergosterin)이라고도 한다. 햇빛에 노출시키면 자외선의 작용으로 이성질화를 일으켜 비타민 D2가 되므로 프로비타민 D라고 한다. 동물의 간 특히 대구의 간유에 들어 있는 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도 역시 비타민 D3이 되어 프로비타민 D로 작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고마워서]
100.
제빵에 사용되는 효모의 아밀라아제(amyla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2.
고온에서 열안정성에 관계가 없다.
3.
고온에서 pH 안정성이 열안정성보다 더 중요하다.
4.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낮아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낮아야 역할을 다 한 효모를 사멸시켜 제품에 잔균을 남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최준영]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③
④
②
④
④
④
③
②
④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①
②
①
②
②
④
④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①
③
④
③
③
④
②
③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①
③
④
③
④
②
②
①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④
②
②
④
②
①
③
④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①
②
①
④
③
①
④
①
④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④
②
②
③
③
④
③
①
②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②
②
③
③
①
④
③
①
③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①
②
④
③
①
③
④
②
④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①
①
④
②
③
①
②
②
①
④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