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 글리세린, 왁스 등 식용 물질이 식품과 접촉하는 면에 접착되어 있는 용기, 포장에 대해서는 총 용출량의 규격 적용을 아니 할 수 있다.
2.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식품과 접촉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도금용 주석은 납을 1% 이상 함유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식품의 용기, 포장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먹는 물 관리법의 수질 기준에 적합한 물로 깨끗이 세척하고 즉시 사용한다.
4.
검체 채취 시 상자 등에 넣어 유통되는 기구 및 용기, 포장은 반드시 개봉하여 채취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식품과 접촉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도금용 주석은 납을 0.1%이상 함유하여서는 안된다. [해설작성자 : 갓세븐 노래 많이 들어주세요]
2) ~~ 도금용 주석은 납을 0.1% 이상 함유해서는 안된다. 3) 즉시(x) 불순물이 있는 지 확인 후 사용한다. 4) 개봉(x) 가능한 개봉하지 않고 그대로 채취한다. [해설작성자 : 방이동쭈꾸미]
7.
석탄산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독제의 무게를 석탄산 분자량으로 나눈 값이다.
2.
소독제의 독성을 석탄산의 독성 1000으로 하여 비교한 값이다.
3.
각종 미생물을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석탄산의 농도 값이다.
4.
석탄산과 동일한 살균력을 보이는 소독제의 희석도를 석탄산의 희석도로 나눈 값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7%
8.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병원체가 아닌 것은?
1.
EHEC 바이러스
2.
로타바이러스A군
3.
아스트로바이러스
4.
장관 아데노바이러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EHEC : 시가 독소에 의한 장출혈을 유발하는 Escheriochia coli균 [해설작성자 : 최준영]
9.
구제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인체는 작은 RNA 바이러스이다.
2.
공기를 통한 전파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3.
바이러스의 생존 기간은 온도, 습도, pH, 자외선 등에 영향을 받는다.
4.
감염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동물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데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기 때문에 무리에서 한마리가 감염되면 나머지 가축 모두에게 급속하게 감염된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은 직딩]
10.
다음 중 식품 영업에 종사할 수 있는 질병은?
1.
A형 간염
2.
피부병 또는 그 밖의 화농성 질환
3.
장티푸스
4.
B형 간염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식품영업에 종사할 수 없는 질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A형 간염 등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하고 집단 발생의 우려가 큰 제2급 감염병, 감염성 결핵, 피부병 또는 그 밖의 화농성 질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해설작성자 : 식품기사 공부중]
11.
식품의 안전성과 수분활성도 (Aw)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효소적 갈변 : 다분자수분층보다 낮은 Aw에서는 발생하기 어렵다.
2.
효소 활성 : Aw가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활발하다.
3.
미생물의 성장 : 보통 세균 증식에 필요한 Aw는 0.91 정도이다.
4.
유지의 산화 반응 : Aw가 0.5~0.7 이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지의 산화는 Aw 0.3~0.4에서 최소를 보이다가 상승해 Aw 0.7~0.8에서 최대에 도달한다. 이 범위보다 높아지면 반응속도가 떨어진다. [해설작성자 : 갓세븐 노래 많이 들어주세요]
1. 브루셀라병 : 염소유산균,돼지유산균에 분포 2. 미나마타병 : 수은중독으로 인해 방생 4. 탄저병 : 탄저균이 묻어있는 풀을 먹은 동물을 도살 후 사람이 섭취하면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안전성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식품 중 기준(국내 및 국제)이 설정되어 있는 방사선 핵종이 아닌 것은?
1.
90Sr
2.
131I
3.
12C
4.
137Cs
정답 : [
3
] 정답률 : 89%
17.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닌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합성수지의 제조 시 가열, 가압조건이 부족할 때 반응이 되지 않고 유리되어 용출될 수 있는 것은?
1.
착색제
2.
가소제
3.
산화방지제
4.
포름알데히드
정답 : [
4
] 정답률 : 86%
18.
식품의 현실적인 위해 요인과 잠재 위해 요인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HACCP 수립의 7원칙 중 제 1원칙에 해당하는 단계는?
1.
위해요소분석
2.
중요관리점
3.
허용한도
4.
모니터링 방법 결정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HACCP 7원칙 원칙1(절차6) : 위해요소 분석(HA) 원칙2(절차7) : 중요관리점(CCP) 결정 원칙3(절차8) : 한계기준(Critical Limit, CL) 설정 원칙4(절차9) : 모니터링 방법 설정 원칙5(절차10) : 개선조치방법 설정 원칙6(절차11) : 검증절차의 수립 원칙7(절차12) : 문서화 및 기록 유지 [해설작성자 : 합격혜주]
19.
식품별 회수, 판매중지 사유가 아닌 것은?
1.
과실주 : potassium aluminium silicate 사용
2.
떡 제조용 팥 앙금 : 소브산칼슘 0.5g/kg 검출
3.
냉동닭고기 : 니트로푸란계 대사물질 SEM 10 ug/kg 검출
4.
오이피클 : 세균발육 양성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소브산칼슘 0.2/kg 검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존료 사용 허가량(g/kg) -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안식향산칼륨, 안식향산칼슘: 0.6 이하 - 소브산, 소브산칼륨, 소브산칼슘: 0.5 이하 [해설작성자 : 왕주먹김밥]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재 기준은 소브산 칼슘은 0.5g/kg까지 사용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면 답은 없는것으로 변경되는 게 맞는듯합니다. [해설작성자 : 가람]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2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20.
파상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조 시 저항력이 강하다.
2.
특이한 발열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3.
Brucella 속이 원인균이다.
4.
원인균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부르셀라균은 내건성(건조에 강함)이나 내열성은 없다. [해설작성자 : bts가우주평정]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균이 아니라고 나와있습니다. 브루셀라균의 저항성은 흙(건조)에서 4일, 햇빛(31도 이하)에서 4.5시간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시험 문제를 잘못 옮긴건지 제 책에서 잘못 옮긴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참고로 기출문제집을 사서 같이 풀어봤을 때, 제 책에서 이 문제의 보기 1번은 특이한 발열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이고 답은 책과 사이트 모두 4번 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나합격 2022 식품기사, page 600, 15번: 답은 4번' 원인균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 이고, 파상열 브루셀라병 Brucella abortus(소), 원인균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58도에서 10~15분 가열로 사멸 가능하다. 라고 해설이 되어있습니다. 답은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어의사 식품공학석사생]
[추가 오류 신고] [오류 신고] '①건조 시 저항력이 강하다.' 해당 보기는 문제집에 없는 보기입니다. '①소, 돼지, 염소 등으로부터 감염된다.'가 옳은 보기입니다. (출처: 원큐패스 식품기사 2023 p. 58 20번 문제) [해설작성자 : ㅇㅇ]
2과목 : 식품화학
21.
35%의 HCl을 희석하여 10% HCl 500 ml를 제조하고자 할 때 필요한 증류수의 양은 약 얼마인가??
1.
143 mL
2.
234 mL
3.
187 mL
4.
357 mL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00*(35-10)/(35-0) = 약 357 [해설작성자 : 온앤오프 1위 하자]
증류수를 x로 잡으면 총량 500ml에서 뺀량이 원래 35%에 들어간 양이니 35(500-x)=10*500 25*500=35x x=357.14285714285714285714285714286.. → 약 357
따라서, 35% HCl 142.86 ml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증류수의 양이므로, 500 ml에서 이미 사용한 HCl 용액의 양을 빼주어야 합니다. 즉, 필요한 증류수의 양은 500 ml - 142.86 ml = 357.14 ml입니다. 따라서, 약 357 ml의 증류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태우렁이]
22.
메밀전분을 갈아서 만든 유동성이 있는 액체성 물질을 가열하고 난 뒤 냉각하였더니 반고체 상태 (묵)가 되었다. 이 묵의 교질상태는?
1.
gel
2.
sol
3.
염석
4.
유화
정답 : [
1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전분에 물 탄게 졸이고 졸을 졸이면 겔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윤호근]
23.
1 M NaCl, 0.5 M KCl, 0.25 M HCl이 준비되어 있다. 최종 농도 0.1 M NaCl, 0.1 M KCl, 0.1 M HCl 혼합수용액 1000 mL 제조하고자 할 때 각각 첨가되어야 할 시약의 부피는 얼마인가?
1.
1 M NaCl 용액 50 mL, 0.5 M KCl 용액 100 mL, 0.25 M HCl 용액 200 mL 첨가 후 물 650 mL를 첨가한다.
2.
1 M NaCl 용액 75 mL, 0.5 M KCl 용액 150 mL, 0.25 M HCl 용액 300 mL 첨가 후 물 475 mL를 첨가한다.
3.
1 M NaCl 용액 100 mL, 0.5 M KCl 용액 200 mL, 0.25 M HCl 용액 400 mL 첨가 후 물 300 mL를 첨가한다.
4.
1 M NaCl 용액 125 mL, 0.5 M KCl 용액 250 mL, 0.25 M HCl 용액 500 mL 첨가 후 물 120 mL를 첨가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M x N = M' x N' 공식을 이용해 1M NaCl의 경우 1 x ? = 0.1 x 1000 ? = 100 0.5M KCl은 0.5 x ? = 0.1 x 1000 ? = 200 0.25M HCl은 0.25 x ? = 0.1 x1000 ? = 400
1000-(100+200+400)=300 은 물의 양이 된다. [해설작성자 : 갓세븐 노래 많이 들어주세요]
24.
유지 산패측정 방법 중 시료를 65℃에 저장하면서 정기적으로 관능검사나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유지의 산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1.
샬오븐시험법
2.
랜시매트법
3.
활성산소법
4.
카보닐 화합물의 측정
정답 : [
1
] 정답률 : 58%
25.
단백질을 물에 녹일 때 사용하는 염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단백질이 침전되는 현상은?
1.
염용 (salting in)
2.
syneresis 현상
3.
염석 (salting out)
4.
hysteresis 현상
정답 : [
3
] 정답률 : 78%
26.
다음 중 우리 몸에 흡수된 단백질 분해하는 효소의 작용순서로 옳은 것은?
1.
endopeptidase-exopeptidase-dipeptidase
2.
exopeptidase-endopeptidase-dipeptidase
3.
endopeptidase-dipeptidase-exopeptidase
4.
exopeptidase-dipeptidase-endopeptidase
정답 : [
1
] 정답률 : 66%
27.
다음 중 젤(gel) 상태의 식품이 아닌 것은?
1.
양갱
2.
치즈
3.
두부
4.
마요네즈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gel : 분산상의 입자사이에 분산매가 있어 입자가 접촉하여 유동성이 사라짐 종류 : 한천, 젤리, 양갱, 두부, 묵, 삶은계란, 치즈 등 [해설작성자 : 늉늉]
28.
선식 제품과 같은 분말 제품의 경우 용해도가 낮아서 소비자들이 식용하고자 녹일 때 잘 용해되지 않는다. 이를 개선하고자 할 때 어떤 방법이 가장 바람직한가?
Aspergillus 속 배양물에서 얻을 수 있는 효소로, 식물세포막 구성 성분 사이의 결합을 분리 또는 약화시켜 식물조직을 연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pepsin
2.
pectinase
3.
isoamylase
4.
a-amylase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펙틴 분해효소(pectinase) - 펙틴을 펙틴산과 메탄올로 가수분해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Aspergillus oryzae의 배양물에서 얻어지는 효소 - 조직을 연화시키며 파괴시키기도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ectinase는 일반적으로 polygalacturonase로써 펙틴의 기본 골격이 되는 갈락투론산의 alpha-1,4 결합을 끊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 써진 해설에 해당하는 효소는 pectin esterase입니다. 보통 이런 효소들 다 통틀어서 pectinase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pectinase는 polygalacturonase로 보는 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dh]
달걀을 삶아서 난각을 제거하고 조미액에 담가서 맛이 든 다음 훈연시켜 저장성이 우수하고 풍미가 양호한 제품이다.
2.
달걀을 껍질째로 NaOH, 식염의 수용액에 넣어, 알칼리 성분을 달걀 속으로 서서히 침입시켜 난단백을 응고시킨 제품이다.
3.
달걀을 물에 끓여 둔부를 깨어 스푼이 들어갈 만큼 난각을 벗기고 식염, 후추를 뿌려 만든다.
4.
달걀을 염지액에 담근 후 한번 끓이고 냉각시켜 만든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오리알을 알칼리 응고시킨 식품 [해설작성자 : 서탱]
53.
다음 중 수산발효식품이 아닌 것은?
1.
젓갈
2.
어간장
3.
수리미 (surimi)
4.
가자미식해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연제품(surimi): 어육에 식염을 가하여 간 뒤 일정한 모양을 만들어 가열해서 만든 식품 [해설작성자 : 왕주먹김밥]
54.
유연포장재료를 사용하며 135℃ 정도에서 가열하여도 견뎌 내는 포장방법으로 통조림 포장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유연포장 살균식품은?
1.
병조림 식품
2.
레토르트파우치 식품
3.
플라스틱포장 식품
4.
종이팩포장 식품
정답 : [
2
] 정답률 : 84%
55.
된장 숙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수화물은 아밀라아제의 당화작용으로 단맛이 생성된다.
2.
당분은 효모의 알코올 발효로 알코올 등의 방향 물질이 생성된다.
3.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에 의하여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구수한 맛이 생성된다.
4.
적정숙성조건은 60~65℃에서 3~5시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숙성온도는 30~40도의 항온실 내에서 만든다. [해설작성자 : 천재냥냥이]
56.
Flat sour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채소 통조림에 흔히 볼 수 있다.
2.
내용물이 팽창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는 변패의 구분이 어렵다.
3.
내용물에서 신맛이 난다.
4.
미생물 번식에 의한 것이 아니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flat sour의 생성
가스의 발생 없이 산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일으키는 균으로는 편성 및 통성의 호열성균이 있으며 살균부족, 권체 불량 등으로 일어난다. 호열성 세균으로는 주로 Bacillus속에 의해 일어나며 그 외에 Lacto-bacillus 속 등도 검출되고 있다.
호열성 세균은 50~55 ℃로 방치된 통조림에 플랫 샤워를 일으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조림의 가온검사는 30~37℃ 이지만 호열성 세균으로 인한 통조림 저장시험에 이용되는 온도는 30~57℃범위에서 액즙은 7~14일, 점조성식품은 7~21일간 가온상태 하에서 세균의 유무를 검사한다.
내용물의 변질이 외관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의 통의 외관은 보통 정상 관과 같아 소비자들은 개관 후 산취냄새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특히 채소 통조림에 많다. 출처: 김병묵 저, 식품저장학, 진로, 2010, p257 [해설작성자 : J]
57.
식육의 사후경직과 숙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후 경직 - 도살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근육이 굳어지는 현상
2.
식육 냉동 - 사후경직 억제
3.
식육 숙성 - 육의 연화과정, 보수력 증가
4.
숙성 속도 - 온도가 높으면 신속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숙성사후경직의 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반드시 큰것은 아니고, 저온단축과 해동강직 등 저온에서 심하게 수축이 일어날수 있다. [해설작성자 : 북대식공창훈]
식육 냉동- 사후경직 촉진 [해설작성자 : 신감자]
58.
젤리(jelly)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pectin의 농도
2.
pectin의 분자량
3.
pectin의 ester화 정도
4.
pectin의 결합도
정답 : [
4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펙틴의 농도, 분자량 및 ester화 정도, 당의 농도, ph 및 염의 종류 [해설작성자 : 늉늉]
<문제 해설> 제 1 형식 : C6H12O6 → 2CO2 + 2C2H5OH (pH 산성 ~ 미산성) glucose → 이산화탄소 + alcohol 제 2 형식 : C6H12O6 - Na2SO4 첨가 → C3H5(OH)3 + CH3CHO + CO2 (pH 산성) glucose - 황산나트륨 → glycerol + acetaldehyde + 이산화탄소 제 3 형식 : 2C6H12O6 - Na2HPO4 또는 NaHCO3 첨가 → glucose - 인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첨가 → 2C3H5(OH)3 + CH3COOH + C2H5OH + 2CO2 (pH 알칼리) glycerol + acetic acid + alcoho + 이산화탄소l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미생물 배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류 등의 코지(koji) 생산에는 주로 고체배양 (soild culture)을 한다.
2.
심부배양(submerged culture)은 일종의 고체배양이다.
3.
유가배양(fed-batch culture)은 기질의 용해도가 낮을 때 사용한다.
4.
표면배양(surface culture)은 산소를 미생물에 용이하게 공급하는 호기적 정치배양의 한 방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발효형식(배양형식)의 분류
1)배지상태에 따라 -액체배양 : 표면배양, 심부배양 -고제배양 : 밀기울 등의 고체배지 사용-정치배양: 공기의 자연환기 또는 표면에 강제통풍 -내부통기배양(강제통풍배양,퇴적배양):금속망 또는 다공판을 통해 배양
2)조작에 따라 - 회분배양 : 제한된 기질로 1회 배양 - 유가배양 : 기질을 수시로 공급함면서 배양 - 연속배양 : 기질의 공급 및 배양액 회수가 연속적 진행 [해설작성자 : 제발ㄹㄹ]
89.
오탄당 인산경로(pentose phosphate pathway)의 중요한 생리적 의미는?
1.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킨다.
2.
저혈당과 피로회복시에 도움을 준다.
3.
조직내로의 혈당 침투를 촉진시킨다.
4.
지방산과 스테로이드 합성에 이용되는 NADPH를 생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오탄당인산경로는 포도당이 포도당 6-인산을 거쳐 6-인산글루콘산이 되고 이것이 리불로스 5-인산이 되고 여러가지 3탄당,4탄당,5탄당 인산 유도체를 만들며 이때 NADPH등의 강력한 환원성 물질을 생성한다.(NADPH는 콜레스테롤 합성 등에 필요함) 또한 뉴클레오타이드 합성에 필요한 리보스 5-인산 등도 생성함. [해설작성자 : dhkim1]
90.
원핵세포에 해당하는 생물은?
1.
식물
2.
곰팡이
3.
효모
4.
세균
정답 : [
4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균계 (효모, 곰팡이가 포함되어 있는 곳)은 식물 동물 세균이랑 독립된 계로 진핵생물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ㅂㅈㅎ]
91.
DNA의 재조합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제한효소인 endonuclease가 아닌 것은?
1.
EcoRI
2.
HindII
3.
HindIII
4.
SalPIV
정답 : [
4
] 정답률 : 74%
92.
Cyclic AMP의 생리적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조효소
2.
핵산의 구성성분
3.
고에너지 화합물
4.
호르몬 작용의 전달물질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Cyclic AMP (cAMP) - 세포간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2차 신호전달자이다. 2차 신호전달자란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수용성 비단백질 분자나 이온을 의미한다. cAMP는 에피네프린, 글루카고 등의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 ㅋㅋㅋㄼ]
93.
맥주 제조 시 맥아의 효소에 의해 전분과 단백질이 분해되는 공정은?
1.
맥아즙 제조공정
2.
주발효 공정
3.
녹맥아 제조공정
4.
후발효 공정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맥아에 따뜻한 물을넣고 2~3일 놔두면 발아가 시작되면서 보리에 전분이랑 단백질을 녹이는 효소가 분비됩니다 이게 맥즙제조공정입니다
94.
탄화수소를 탄소원으로 한 균체생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높은 통기조건이 필요하다.
2.
발효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가 필요하다.
3.
당질에 비해 균체 생산 속도가 빠르다.
4.
높은 교반조건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탄화수소를 탄소원으로 한 균체 생산은 당질을 이용한 경우보다 매우 느리다. [해설작성자 : 꾸꾸닷]
95.
코리회로(Cori cycle)를 통해 혈액으로 이동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1.
Lactate
2.
Pyruvate
3.
Citrate
4.
Acetate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분자의 포도당 ㅡ> 2분자의 피루브산(해당과정) ㅡ> 2분자의 젖산이 만들어진다. 만들어진 2분자의 젖산이 간으로 이동하여 다시 역과정으로 포도당을 만들게 된다.(Gluconeogenesis) 이 과정에서 혈액으로 이동되는 물질이 Lactate(젖산)이다. [해설작성자 : 갓효신]
96.
Sucrose가 가수분해될 때 생성되는 단당류는?
1.
포도당과 포도당
2.
과당과 과당
3.
포도당과 과당
4.
포도당과 갈락토오스
정답 : [
3
] 정답률 : 82%
97.
진핵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에는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이 존재한다.
2.
세포분열이 일어날 때 유사분열과 감수분열이 관찰된다.
3.
DNA는 히스톤(histone)과 복합체를 만들지 않고 존재한다.
4.
전자전달계 등의 호흡효소계가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98.
TCA 회로에 관여하는 조절효소가 아닌 것은?
1.
Citrate synthase
2.
Isocitrate dehydrogenase
3.
α-Ketoglutarate dehydrogenase
4.
Phosphoglucomutase
정답 : [
4
] 정답률 : 65%
99.
어떤 DNA 사슬 단편의 질소염기별 농도가 A=991개, G=456개일 때, G+C에 해당되는 질소염기의 개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