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1. 규모 : 주거단위는 하나의 초등학교 운영에 필요한 인구규모를 가져야 하고 면적은 인구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2. 주구의 경계 : 주구 내 통과교통을 방지하고 차량을 우회시킬 수 있는 간선도로로 계획한다. 3. 오픈스페이스 : 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공원과 레크레이션 체계를 갖춘다. 4. 공공시설 : 학교와 공공시설은 주구 중심부에 적절히 통합 배치한다. 5. 상업시설 : 주구 내 인구를 서비스할 수 있는 적당한 상업시설을 1개소 이상 설치하되, 인접 근린주구와 면해 있는 주구외곽의 교통결절부에 배치한다. 6. 내부도로체계 : 순환교통을 촉진하고 통과교통을 배제하도록 일체적인 가로망으로 계획한다. [해설작성자 : ADONIS2044]
13.
로마시대의 것으로 그리스의 아고라(Agora)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은?
1.
포럼(Forum)
2.
인슐라(Insula)
3.
도무스(Domus)
4.
판테온(Pantheon)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아고라(그리스) = 시민들의 일상 생활의 중심 "사람이 모이는 곳', 사람들의 모임' 자체를 뜻함 포럼(로마) = 광장 인슐라(로마) = 집합주택, 6~7층 이상의 고층건축 도무스(로마) = 귀족들이 살던 집 판테온(로마) =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 [해설작성자 : ADONIS2044]
14.
백화점의 진열대 배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각배치는 판매장이 단조로워지기 쉽다.
2.
직각배치는 매장면적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사행배치는 많은 고객이 판매장 구석까지 가기 쉬운 이점이 있다.
4.
자유유선배치는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쉬우므로 계획에 있어 간단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사행배치 = 대각선 배치 [해설작성자 : ADONIS2044]
[추가 해설] 자유유선배치ㅡ이동변경 불가능하다.
15.
사무소 건축계획에서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독립성 확보가 용이하다.
2.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공간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4.
기본적인 자연채광에 인공조명이 필요한 형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말 그대로 다 뚫려있는 공간이라서 독립성 확보X [해설작성자 : 혠]
16.
열람자가 서가에서 책을 자유롭게 선택하나 관원의 검열을 받고 열람하는 도서관 출납시스템은?
1.
폐가식
2.
반개가식
3.
안전개가식
4.
자유개가식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폐가식 : pc로 제목 검색 하면, 사서가 책을 갖다주는 것 반개가식 : 제목은 볼수 있지만 내용을 보려면 사서에게 확인 받아야 하는것 자유식 : 책제목 내용 및 열람실 가서 보는 것도 혼자 할수 있는것 [해설작성자 : ..]
17.
극장의 평면형 중 애리나(arena)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icture frame stage 라고도 불리운다.
2.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3.
연기자가 한 쪽 방향으로만 관객을 대하게 된다.
4.
투시도법을 무대공간에 응용함으로써 하나의 구상화와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3,4 프로시니엄 [해설작성자 : 혠]
18.
다음 중 건축가와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르 꼬르뷔지에 - 사보이 주택
2.
미스 반 데어 로에 - 레버하우스
3.
오스카 니마이머 - 브라질 국회의사당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고든 번샤프트 - 레버하우스 [해설작성자 : .]
19.
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일정기간 자료를 점유하여 이용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독립적인 개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독립적인 개실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1.
캐럴(carrel)
2.
북 모빌(book mibile)
3.
계원석(information desk)
4.
래퍼런스 서비스(reference service)
정답 : [
1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캐럴 = 대학 도서관이나 연구소 도서관 등에서 볼 수 있는, 서고 내에 구획된 개인용 독서석 북 모빌 = 과소 지역 등에서의 도서관 이용을 위해 자동차에 도서 자료를 싣고 대출을 하는 이동 도서관 래퍼런스 서비스 = 이용자가 요구하고 있는 정보를 기재하고 있는 도서, 잡지, 자료류의 서지적 사항을 이용자에게 알리고 그와 같은 정보가 이용자의 손에 들어가도록 지원하는 것 [해설작성자 : ADONIS2044]
20.
공장건축의 레이아웃(Lay ou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생산성이 높다.
2.
레이아웃이란 공장건축의 평면요소간의 위치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정식 레이아웃은 조선소와 같이 제품이 크고 수량이 적은 경우에 행해진다.
4.
중화학 공업, 시멘트 공업 등 장치공업 등은 시설의 융통성이 크기 때문에 신설시 장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중화학 공업 등은 시설 규모가 크므로 레이아웃 융통성이 작다 [해설작성자 : 혠]
2과목 : 건축시공
21.
다음 중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패널의 설치공법이 아닌 것은?
1.
수직철근 공법
2.
슬라이드 공법
3.
커버플레이트 공법
4.
피치 공법
정답 : [
4
] 정답률 : 68%
22.
건설공사의 노무형태 중 원도급자에게 직접 고용되어 잡역 등의 미숙련 노무로 임금을 받는 고용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다음과 같은 3힌지 아치의 전단력도(S. F. D)로 알맞은 것은? (단, 전단력도의 +, - 도시위치는 무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8%
47.
구조용 간재심부 주위를 띠철근으로 보강한 합성부대의 설계에서 횡방향띠철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방향띠철근은 구조용 강재심부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야 한다.
2.
띠철근의 지름은 합성부재 단면의 가장 긴 변의 1/50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D10철근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띠철근 대신 등가단면적을 가진 용접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4.
횡방향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축방향철근지름이 16배, 띠철근지름의 48배, 합성부재 단면의 최소치수의 1/2배 중에서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구조용 강재 심부를 띠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한 합성부재는 다음 (2)에서 (9)까지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2)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는 21MPa 이상이어야 한다.
(3)심부로 사용된 구조용 강재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사용할 구조용 강재의 최소 항복강도이어야 하지만, 450MPa을 초과할 수는 없다. 다만, KDS 14 20 20 (4.1.1)의 가정에서 사용된 힘의 평형조건과 변형률의 적합조건에 기초한 상세 해석과 실험을 통해 정당성이 증명될 경우, 항복강도 450MPa을 초과하는 고강도강을 사용할 수 있다.
(4)횡방향 띠철근은 구조용 강재 심부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야 한다.
(5)띠철근의 지름은 합성부재 단면의 가장 긴 변의 1/50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D10 철근 이상이고 D16 철근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한 띠철근 대신 등가단면적을 가진 용접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6)횡방향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축방향 철근지름의 16배, 띠철근 지름의 48배, 합성부재 단면의 최소 치수의 1/2배 중에서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7)띠철근 내측에 배치되는 축방향 철근량은 전체 단면적의 0.01배 이상, 0.08배 이하로 하여야 한다.
(8)축방향 철근은 직사각 단면의 모서리마다 배치하여야 하며, 축방향 철근의 중심 간격은 합성부재 단면의 최소 치수의 1/2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9)띠철근 내측에 배치되는 축방향 철근은 강도를 계산할 때 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장주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를 계산할 때는 고려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8854]
48.
다음 중 철골보의 처짐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철골보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웨브의 단면적을 작게 한다.
3.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인다.
4.
단면2차모멘트 값을 크게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49.
그림에서 점 B에서의 처짐각(θB)은? (단, EI는 일정함)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0%
50.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에 최대 휨모멘트 M=20kNㆍm가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
1.
3.33 MPa
2.
4.44 MPa
3.
5.56 MPa
4.
6.67 MPa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최대 휨응력 = M / Z = 20 / (20*30*30/6) = 6.67Mpa [해설작성자 : 인천인]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최대 휨응력 = M / Z = 20×10^3 / (20*30*30/6) = 6.67Mpa [해설작성자 : 이번에는 꼭!!!]
51.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 D22의 기본정착길이는 약 얼마인가? (단, D22 철근의 단면적은 387mm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MPa,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오류신고 반론] 도로 폭 기준 4m이하는 도로 중심선에서 소요너비 1/2 수평거리 후퇴. 20*15-(2*2*1/2) = 298 [해설작성자 : 슬구]
86.
주거지역의 세분에서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지역
2.
제2종 전용주거지지역
3.
제1종 일반주거지지역
4.
제2종 일반주거지지역
정답 : [
1
] 정답률 : 73%
87.
건축법령상 고층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2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80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4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60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고층건축물: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 초고층건축물: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 [해설작성자 : 경북떼악교]
88.
다음의 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단,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이다.)(2021년 08월 2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50 럭스
2.
60 럭스
3.
70 럭스
4.
80 럭스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제6조(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 ① 법 제6조제1항에 따른 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0. 10. 29., 2012. 7. 2., 2013. 1. 25., 2013. 3. 23., 2014. 7. 15., 2018. 3. 21., 2018. 10. 25., 2020. 6. 25., 2021. 4. 16., 2021. 8. 27.> 9. 자주식주차장으로서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에는 벽면에서부터 50센티미터 이내를 제외한 바닥면의 최소 조도(照度)와 최대 조도를 다음 각 목과 같이 한다. 가. 주차구획 및 차로: 최소 조도는 10럭스 이상, 최대 조도는 최소 조도의 10배 이내 나. 주차장 출구 및 입구: 최소 조도는 300럭스 이상, 최대 조도는 없음 다.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 최소 조도는 50럭스 이상, 최대 조도는 없음
89.
장애인 전용의 주차장 주차단위구획의 최소 길이는?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1.
3.6m
2.
4.5m
3.
5.0m
4.
6.0m
정답 : [
3
] 정답률 : 53%
90.
피난층 외의 층이 지하층으로서 그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소 얼마 이상인 경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간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0m2
2.
200m2
3.
300m2
4.
400m2
정답 : [
2
] 정답률 : 42%
91.
국토해양부장관이 국토관리를 위하여 건축허가를 제한하는 경우, 제한기간은 최대 몇 년 이내인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제18조(건축허가 제한 등) ④ 제1항이나 제2항에 따라 건축허가나 건축물의 착공을 제한하는 경우 제한기간은 2년 이내로 한다. 다만, 1회에 한하여 1년 이내의 범위에서 제한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개정 2014.5.2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문제가 오해의 소지가 있게 출제 되었네요. 관련 규정만 보면 2년이며 1회에 한하여 추가로 1년을 추가 할수 있다고 했는데 이걸 합해서 최대 3년으로 보느냐. 아니면 최대는 2년이고 연장 1년을 따로 보느냐의 문제인데. 확정답안은 2번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92.
용도별 건축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주택- 공관
2.
공동주택 - 기숙사
3.
관광휴게시설 - 야외음악당
4.
문화 및 집회시설 - 휴양콘도미니엄
정답 : [
4
] 정답률 : 56%
93.
건축물의 높이 산정시 조건과 상관없이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하지 않는 것은?
1.
망루
2.
난간벽
3.
장식탑
4.
굴뚝의 옥상돌출부
정답 : [
4
] 정답률 : 56%
94.
승용승강기 설치대상 건축물로서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 승용승강기의 최소 설치대수가 가장 많은 것부터 적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8인승 승강기의 경우)
1.
병원 > 숙박시설 > 공동주택
2.
공연장 > 위락시설 > 도매시장
3.
집회장 > 공동주택 > 업무시설
4.
공동주택 > 관람장 > 위락시설
정답 : [
1
] 정답률 : 66%
95.
다음의 시가회조정구역의 지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상 10년 이내의 기간
2.
3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
3.
5년 이상 10년 이내의 기간
4.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
정답 : [
4
] 정답률 : 70%
96.
방화구획의 설치기준상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최대 얼마 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하는가? (단, 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200m2
2.
600m2
3.
1000m2
4.
3000m2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스프링클러 등의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0층 이하의 층 - 바닥면적 1,000m^2 매층 - 층매다 구획(먄적에 무관) -> [예외]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 11층 이상의 층 - 실내마감이 불연재료인 경우 바닥면적 500m^2, 실내마감이 불연재료가 아닌 경우 바닥면적 200m^2 [해설작성자 : Wd]
97.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 할 것
2.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3.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4.
옥내에 설치하는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0m [해설작성자 : 1트에 합격할거다]
98.
그림과 같은 거실의 평균 반자 높이는?
1.
5.0m
2.
4.6m
3.
4.5m
4.
4.3m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방의부피(체적)/방의 바닥면적 [해설작성자 : 히히]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ㆍ군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제외)
1.
공원ㆍ녹지에 관한 사항
2.
토지의 이용 및 개발에 관한 사항
3.
토지의 용도별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사항
4.
광역계획권의 공간 구조와 기능 분담에 관한 사항
정답 : [
4
] 정답률 : 63%
100.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굴뚝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굴뚝의 상단으로부터 수평거리 1m 이내에 다른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처마보다 1m 이상 높게 하여야 한다.
3.
급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서 설치하여야 한다.
4.
금속제 굴뚝으로서 건축물의 지붕속ㆍ반자위 및 가장 아랫바닥밑에 있는 굴뚝의 부분은 급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급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최소 15cm 이상 떨어져서 설치하여야 한다. (단, 두께 10cm 이상인 금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은 경우는 제외) [해설작성자 : 초리뽀리집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②
②
①
④
③
②
②
④
①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②
①
④
①
③
②
②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④
①
②
④
④
②
①
③
②
②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①
①
④
③
③
③
④
①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④
①
④
③
①
②
④
③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④
②
②
④
③
②
②
②
④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③
①
④
①
②
③
③
④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①
①
②
④
②
③
④
①
①
②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①
②
①
②
③
①
②
①
③
②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④
④
①
④
③
③
④
④
③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1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