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운영방식 중 전학급을 2분단으로 하고, 한 분단이 일반교실을 사용할 때 다른 분단은 특별교실을 사용하는 방식은?
1.
달톤형
2.
플래툰형
3.
종합교실형
4.
교과교실형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달톤형(dalton type : D형) - 학급,학생 구분을 없애고 학생들은 각자의 능력에 맞게 교과를 선택하고 일정한 교과가 끝나면 졸업 - 하나의 교과에 출석하는 학생수는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같은 형의 학급교실을 몇 개 설치하는 것은 부적당 - 우리나에서는 학권, 직업학교 등에서 채택 플래툰형(Platoon type : P형) - 전학급을 2분단으로 하고, 한쪽이 일반교실을 사용할때 다른 분단은 특별교실을 사용 - 분단교체는 점심시간이 되도록 시간표를 작성 - 교사의 수와 적당한 시설이 없으면 실시가 곤란 -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과밀함을 없애기 위해서 발생 - 원래 분단은 2개로 고려되는 형식이지만 그 외의 경우도 플래툰형이라고 한다 종합교실형(Usual type : U형) - 교실의 수는 학급수와 일치 - 각 학급은 스스로의 교실안에서 모든 교과를 행한다 - 학생의 이동은 전혀없고, 다른 학급에 관계없이 각 학급마다 가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수 있다. -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에는 무리 - 초등학교 저학년에 가장 권장, 보통 한 교실에 1~2개의 화장실을 가지고 있다. 교과교실형(department type : V형) -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 때문에 만들어지며, 일반 교실은 없다 - 각 교과 전문의 교실이 주어져, 시설의 질이 높아진다. - 학생의 이동이 많다. - 전문교실을 100%로 하는 한 이용률이 반드시 높지 않다 - 이동시 소유물을 보관할 장소의 고려가 요구되며, 동선처리에 주의 일반교실, 특별교실형(Usual with Variation type : U + V형) - 일반교실은 각 학년에 하나씩 할당, 그 외에 특별교실을 갖는다 - 전용 학교 교실이 주어지기 때문에 Home Room활동, 각 학생의 소지품을 놓는 자리가 안정되어있다 - 특별교실을 확충하면 일반교실의 이용률이 낮아지고, 따라서 시설의 정도를 높이려면 비경제적이다. - 우리나의 경우 일부 사립초등학교에 특별교실이 채택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18.
미술관 및 박물관이 전시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모니카 전시는 동선계획이 용이한 전시기법이다.
2.
아일랜드 전시는 일정한 형태의 평면을 반복시켜 전시공간을 구획하는 방식으로 전시효율이 높다.
3.
파노라마 전시는 연속적인 주제를 연관성 있게 표현하기 위해 선형의 파노라마로 연출하는 전시기법이다.
4.
디오라마 전시는 하나의 사실 또는 주제의 시간 상황을 고정시켜 연출하는 것으로 현장에 임한 느낌을 주는 기법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아일랜드 전시는 벽이나 천장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 전시물 또는 전시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전시공간을 만들어 내는 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나무]
19.
사무소 건물의 엘리베이터 배치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동선의 중심에 설치하여 보행거리가 짧도록 배치한다.
2.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그룹별 배치와 군관리 운전방식으로 한다.
3.
일렬 배치는 6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간 거리는 10m 이하가 되도록 한다.
4.
엘리베이터 홀은 엘리베이터 정원 합계의 50% 정도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1인당 점유면적은 0.5~0.8m2로 계산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일렬배치는 4대를 한도로 하고, 엘리베이터 중심 간 거리는 8M이하가 되도록한다. 4대 이상설치시 대면배치로 하고 대면거리는 동일 관리존의 경우 3.5~4.5M. 다른 관리존의 경우 5~6M 정도로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20.
단독주택에서 다음과 같은 실들을 각각 직상층 및 직하층에 배치할 경우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상층 : 침실, 하층: 침실
2.
상층 : 부엌, 하층: 욕실
3.
상층 : 욕실, 하층: 침실
4.
상층 : 욕실, 하층: 부엌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잠자는데 위에서 샤워소리, 변기 내리는 소리가 수시로 들리면 안되겠죠? [해설작성자 : 산안기후건축기사시도중]
2과목 : 건축시공
21.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바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온도가 5℃ 이하일 때는 공사를 중단하거나 난방하여 5℃ 이상으로 유지한다.
2.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2시간 정도 지난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초벌바름에 균열이 없을 때에는 고름질하고 나서 7일 이상 경과한 후 재벌바름한다.
4.
재벌바름이 지나치게 건조한 때는 적당히 물을 뿌리고 정벌바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바름의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12시간 이상 지난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블리자드]
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커튼월의 실물모형실험(Mock-up Test)에서 성능 확인을 위한 시험종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밀시험
2.
정압수밀시험
3.
구조시험
4.
인장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콘크리트는 인장시험을 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imsopro]
23.
배수공법 중 웰포인트공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용수량이 많은 지반에 활용된다.
2.
강제배수공법의 일종이다.
3.
수분이 많은 점토질 지반에 적당한 공법이다.
4.
지하수 저하에 따른 인접지반과 공동매설물 침하에 주의가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웰포인트 공법은 모래, 자갈지반에 적용되는 공법이다.
24.
기본벽돌(190×90×57) 3000매를 벽두께 1.0B로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 량은 얼마인가?
1.
0.99m3
2.
1.05m3
3.
1.15m3
4.
1.25m3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000장당 0.33 [해설작성자 : 호준]
25.
다음 각종 건설기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타워크레인은 골조공사의 거푸집, 철근 양중에 주로 사용된다.
2.
파워셔블은 위치한 지면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하다.
3.
스크레이퍼는 굴착, 적재, 운반, 정지 등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중ㆍ장거리용 토공기계이다.
4.
바이브레이팅 롤러(Vibrating roller)는 콘크리트 다지기에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바이브레이팅 롤러는 사질이나 아스팔트 다지기용 [해설작성자 : 트럼프]
바이브레이터가 콘크리트 진동 다지기 [해설작성자 : 인국공간다.]
26.
강재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S계열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
SM계열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3.
SN계열 : 건축구조용 내화강재
4.
SMA계열 :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sn:건축구조용 압연 fr : 건축구조용 내화 [해설작성자 : 이방카]
27.
경량기포콘크리트(AL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 비중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4 정도로 경량이다.
2.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약 1/10 정도로서 단열성이 우수하다.
3.
무기질 소재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내화재료로 부적당하다.
4.
흡음성과 차음성이 우수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불연재인 동시에 내화구조 제료이다. [해설작성자 : 1231]
28.
고강도 콘크리트 시공 시 배합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로 한다.
2.
단위수량은 210kg/m3 이하로 하고 소요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작게 한다.
3.
슬럼프값은 150mm 이하로 한다.
4.
잔골재율은 소요 워커빌리티를 얻도록 시험에 의하여 결정해야하며, 가능한 한 작게 하도록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단위수량은 180kg/m3이하로 본다. [해설작성자 : ㄱㅎㅂ]
29.
다음 그림과 같은 건물에서 G1과 같은 보가 8개 있다고 할 때 보의 총 콘크리트량을 구하면? (단, 보의 단면상 슬래브와 겹치는 부분은 제외하며, 철근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MCX(Minimum Cost Expediting)기법에 의한 공기단축에서 아무리 비용을 투자해도 그 이상 공기를 단축할 수 없는 한계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준점
2.
특급점
3.
포화점
4.
경제 속도점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MCX(Minimum Cost eXpediting) :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공기를 찾는 공기조정기법 - 공기단축시 비용증가가 최소한으로 되도록 비용구배가 최소인 작업부터 공기를 단축하는 방법 특급점 : 직접비 곡선에서 더 이상 공기단축을 할 수 없는 한계점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35.
콘크리트 공사 중 적산온도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매스(mass)콘크리트 공사
2.
수밀(水密)콘크리트 공사
3.
한중(寒中)콘크리트 공사
4.
AE콘크리트 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적산온도 = 양생온도 * 경과시간 : 한중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 [해설작성자 : 차만두]
36.
탄성 계수를 구할 때 변형 측정에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정밀도가 높은 것은?
1.
다이얼 게이지
2.
콤퍼레이터
3.
마이크로미터
4.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다이얼 게이지 : 1/100 마이크로미터 : 1/1,000 와이어 스트레인 게이지 : 1/1,000,000 [해설작성자 : 차만두]
37.
사운딩은 로드 선단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인발 등에 의해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시험법인데 이러한 사운딩에 속하지 않는 시험은?
1.
표준관입시험
2.
콘 관입시험
3.
베인전단시험
4.
말뚝재하시험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말뚝재하시험은 직접 하중을 가하여 지내력을 추정하는 시험 사운딩은 토층성상을 탐사하는 시험이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는애옹애옹]
사표쓰고 콘과 베지밀을 먹었다 운준 인 딩관 테 입 스 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각 층마다 옥내소화전이 3개씩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서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의 저수량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0.4m3
2.
7.8m3
3.
7.5m3
4.
5.2m3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4조(수원)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2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2개)에 2.6m^3(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한다)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1. 4. 1.> 위 법령과 같이 최대 기준개수가 2개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2.6 * 2 를 하여 5.2가 정답이 됩니다.
63.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수, 온수를 혼합사용해도 압력차에 의한 온도변화가 없도록 한다.
2.
배관은 적정한 압력손실 상태에서 피크시를 충족시킬수 있어야 한다.
3.
도피관에는 압력을 도피시킬 수 있도록 밸브를 설치하고 배수는 직접배수로 한다.
4.
밀폐형 급탕시스템에는 온도상승에 의한 압력을 도피시킬수 있는 팽창탱크 등의 장치를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