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Ar - 2+8+8=18 / F- - 2+7+(+1)=10/ Na+ - 2+8+1+(-1)=10 / Ne - 2+8=10 [해설작성자 : Jins]
철 음이온에서 비금속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Ne과 같은 전자 수를 가지게 됨으로 오류가 맞습니다. F(음이온) = Ne = Na(양이온) 즉, Ar 의 전자 수만이 다릅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화공과]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같은전자수를 가지게 됨으로 오류라니 -- / 전자수만 비교하세요 [해설작성자 : 문제에 필요한 해설만 쓰자 제발좀]
2.
물 36g 을 모두 증발시키면 수증기가 차지하는 부피는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몇 L 인가?
1.
11.2L
2.
22.4L
3.
33.6L
4.
44.8L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물이 36g이므로 36/18=2mol 2x22.4L=44.8L [해설작성자 : 백선중]
3.
CuCl2 의 용액에 5A 전류를 1시간 동안 흐르게 하면 몇 g 의 구리가 석출되는가? (단, Cu 의 원자량은 63.54 이며, 전자 1개의 전하량은 1.602 × 10-19C 이다.)
1.
3.17
2.
4.83
3.
5.93
4.
6.35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CuCl2(aq) → Cu^2+(aq) + 2Cl^-(aq) 이므로, Cu^2+(aq) + 2e^- → Cu(s) ---> Cu 1 mol 석출(환원)당 전자 수는 2 mol. 전자 1 mol의 전하량을 계산하면, (1.602×10^(-19) C/1개) × (6.022×10^23 개/1 mol) = 96472 C/mol 전하량, Q = I t = (5 A) (3600 s) = 18000 C (18000) (1 / 96472) (1 / 2) (63.54 / 1) = 5.9277 g Cu [해설작성자 : 대전지단테]
96500:(63.54/2)=18000:x 에서 x의 값을 구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테니스치마]
4.
NaCl의 결정계는 다음 중 무엇에 해당되는가?
1.
입방정계(cubic)
2.
정방정계(tetragonal)
3.
육방정계(hexagonal)
4.
단사정계(monoclinic)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NaCl(염화나트륨) 결정은 입방정계 구조이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염화나트륨은 입이 방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다음 중 반응이 정반응으로 진행되는 것은?
1.
Pb2+ + Zn → Zn2+ +Pb
2.
I2 + 2Cl- → 2I- + Cl2
3.
2Fe3+ + 3Cu → 3Cu2+ + 2Fe
4.
Mg2+ + Zn → Zn2+ +Mg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K Ca Na Mg Al Zn Fe Ni Sn Pb Hg Cu (H) Ag Pt Au 칼 카 나 마 알 아 철 니 주 납 수 구 수 은 백금 금 <<<-------------이온화 경향 大----------------------- <<<-------------산화되는 경향 大--------------------- 따라서 1번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화학과학부생]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 Ca Na Mg Al Zn Fe Ni Sn Pb H Cu Hg Ag Pt Au 칼칼나마 / 알아철니 / 주납수구 / 수은백금
유기화합물을 질량 분석한 결과 C 84%, H 16% 의 결과를 얻었다. 다음 중 이 물질에 해당하는 실험식은?
1.
C5H
2.
C2H2
3.
C7H8
4.
C7H16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총 질량의 비=원자량×개수의 비. 개수의 비를 구하기 위해선 총질량비/원자량을 합니다. 84/12 : 16/1 = 7 : 16 이므로 C는 7개, H는 16개인 C7H16입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 홧팅! (나는 글렀어..)]
보통 이런분제는 수소 먼저 보시는게 편합니다. H수소가 분자량 1이니깐 16/1 하면 16이잖아요 그래서 16먼저 찾아 주시면 빠르게 문제를 풀어 나가실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알칼리 금속이 다른 금속 원소에 비해 반응성이 큰 이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1.
밀도가 작기 때문이다.
2.
물에 잘 녹기 때문이다.
3.
이온화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다.
4.
녹는점과 끓는점이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알칼리 금속은 옥탯규칙을 만족하기 위하여 전자를 잃고 비활성기체와 같은 전자상태로 존재하려는 경향성이 큽니다. 즉, 전자를 잘 잃으려고 한다 <=> 전자를 잃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적다 <=> 이온화 에너지가 적다.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화학과학부생]
11.
수성가스(Water gas)의 주성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CO2, CH4
2.
CO, H2
3.
CO2, H2, O2
4.
H2, H2O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수성가스: 고온으로 가열한 수증기를 통하여 얻은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혼합기체 [해설작성자 : 화학전공]
12.
지시약으로 사용되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산성에서 어떤 색을 띠는가?
1.
적색
2.
청색
3.
무색
4.
황색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페놀프탈레인은 무-무-붉 ! [해설작성자 : 화학과학부생]
13.
다음 중 물이 산으로 작용하는 반응은?
1.
NH4++ H2O → NH3 + H3O+
2.
HCOOH+ H2O → HCOO-+ H3O+
3.
CH3COO-+ H2O → CH3COOH + OH-
4.
HCl+ H2O → H3O++ Cl-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아세트산 이온과 물이 작용할 때 물의 하나의 수소원자가 산으로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탄소 3g 이 산소 16g 중에서 완전연소 되었다면, 연소한 후 혼합 기체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몇 L 가 되는가?
1.
5.6
2.
6.8
3.
11.2
4.
22.4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C + O2 -> CO2 12g 32g 44g 3g 8g 11g
문제, 탄소 3g과 산소 16g중에서 완전연소 탄소 3g과 산소 8g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11g을 만든다.
1. 반응하지 않고 남은 산소 8g의 부피를 구한다. 8*22.4/32 = 5.6l
2. 반응하여 생성된 11g의 이산화탄소의 부피를 구한다. 11*22.4/44 = 5.6l
5.6+5.6 = 11.2l [해설작성자 : 박달영]
복잡하게 계산할 필요 없이 C+O2(g) => CO2(g) 이다. 즉 반응 전과 반응 후의 기체의 몰 수는 1:1로 동일하므로 반응 전의 16g산소=0.5몰이 반응 후 0.25몰 CO2 0.25몰 O2로 바뀔 뿐이다. 즉 반응 전 후의 기체는 모두 0.5몰, 표준 상태에서 부피는 0.5*22.4L=11.2L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이해가 안되서 찾아봤더니 "혼합 기체의 부피"를 봐야한답니다 -> 연소후 생성된 모든 기체 (생성물 기체 부피 + 완전연소 후 남은 기체 부피) 탄소 + 산소 -> 이산화탄소 1:1:1 비율. 탄소 0.25몰 산소 0.5몰 완전연소 하면 이산화탄소 5.6L이 나옵니다 그리고 산소 0.25몰이 남았기에 5.6L을 더하면 11.2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해가 안되서...]
17.
다음 중 전리도가 가장 커지는 경우는?
1.
농도와 온도가 일정할 때
2.
농도가 진하고 온도가 높을수록
3.
농도가 묽고 온도가 높을수록
4.
농도가 진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전리도 : 이온으로 해리되는 정도 농도가 묽고 온도가 높을수록 전리도가 커진다. [해설작성자 : 공부가 싫다]
<문제 해설> 과산화나트륨은 흡습성이 있어 물과 접촉하면 발열 및 수산화나트륨과 산소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45.
다음 중 C5H5N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수한 것은 무색이고 악취가 나는 액체이다.
2.
상온에서 인화의 위험이 있다.
3.
물에 녹는다.
4.
강한 산성을 나타낸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피리딘 약알칼리성 [해설작성자 : 흑밤]
4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지정수량 10배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 혼재가 가능한 것은?
1.
제1류 위험물과 제2류 위험물
2.
제2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
3.
제3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
4.
제4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혼재 가능한 것 1-6 2-4,5 3-4 4-5 [해설작성자 : aru]
4류는 5류말고도 2류 3류도 혼재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11시 시험]
4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햇빛에 의해 갈색의 연기를 내며 분해할 위험이 있으므로 갈색병에 보관해야 하는 것은?
1.
질산
2.
황산
3.
염산
4.
과산화수소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갈색병 질산 [해설작성자 : 고수]
48.
물과 접촉하였을 때 에탄이 발생되는 물질은?
1.
CaC2
2.
(C2H5)3Al
3.
C6H3(NO2)3
4.
C2H5ONO2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CaC2는 물과 반응하여 Ca(OH)2와 C2H2(아세틸렌)을 생성한다. (C2H5)3Al은 물과 반응하여 Al(OH)3와 C2H6(에탄)를 생성한다. 트리니트로벤젠과 질산에틸은 물에 녹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49.
주유취급소의 고정주유설비는 고정주유설비의 중심선을 기점으로 하여 도로경계선까지 몇 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고정주유설비는 도로경계선까지 4m 이상, 부지경계선·담 및 건축물의 벽까지 2m 이상 (개구부가 없는 벽으로부터는 1m 이상), 고정급유설비는 도로경계선까지 4m 이상, 부지경계선·담까지 1m, 건축물의 벽까지 2m 이상 (개구부가 없는 벽으로부터는 1m 이상) 거리를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Chemislaw]
50.
위험물의 저장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 나트륨은 석유 속에 저장한다.
2.
황린은 물 속에 저장한다.
3.
질화면은 물 또는 알코올에 적셔서 저장한다.
4.
알루미늄분은 분진발생 방지를 위해 물에 적셔서 저장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알루미늄분은 물과 반응하면 수소 가스를 발생하므로 위험하다. - Al(OH)3도 생성됨 [해설작성자 : Chemislaw]
5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르면 보냉장치가 없는 이동저장 탱크에 저장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온도는 몇 ℃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보냉장치가 있는 경우 비점 이하, 없는 경우 40℃ 이하 [해설작성자 : Chemislaw]
5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위험물 저장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이동탱크저장소에는 설치허가증을 비치하여야 한다.
2.
지하저장탱크의 주된 밸브는 위험물을 넣거나 빼낼 때 외에는 폐쇄하여야 한다.
3.
아세트알데히드를 저장하는 이동저장탱크에는 탱크 안에 불활성 가스를 봉입하여야 한다.
4.
옥외저장탱크 주위에 설치된 방유제의 내부에 물이나 유류가 괴었을 경우에는 즉시 배출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이동탱크저장소의 완공검사필증 및 정기점검기록을 비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삐용]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근거한 위험물 운반 및 수납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험물을 수납하는 용기는 위험물이 누출되지 않게 밀봉시켜야 한다.
2.
온도 변화가 가스발생 우려가 있는 것은 가스 배출구를 설치한 운반용기에 수납할 수 있다.
3.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되 55℃의 온도에서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공간 용적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4.
고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고체 95% 액체 98% [해설작성자 : 이리왕]
5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산화프로필렌을 취급하는 위험물 제조설비의 재질로 사용이 금지된 금속이 아닌 것은?
1.
금
2.
은
3.
동
4.
마그네슘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구리 마그네슘 은 수은하고 중합반응하여 폭발성 아세틸라이드 생성 [해설작성자 : 흑밤]
5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의 운반용기 외부에 표시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을 모두 옳게 나타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