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위험물 제조소등에서 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물은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해설작성자 : 카타르시스]
34.
BLEVE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름탱크에서의 수증기 폭발현상
2.
비등상태의 액화가스가 기화하여 팽창하고 폭발하는 현상
3.
화재시 기름 속의 수분이 급격히 증발하여 기름거품이 되고 팽창해서 기름탱크에서 밖으로 내뿜어져 나오는 현상
4.
원유, 중유 등 고점도의 기름 속에 수증기를 포함한 볼형태의 물방울이 형성되어 탱크 밖으로 넘치는 현상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BLEVE - 액화가스가 가열되어 비점에서 기화되고 팽창하여 폭발 * 보일오버 - 유류화재의 탱크 밑면에 물이 고여 있는경우 물이 증발하여 불붙은 기름을 분출하는현상 (1,3,4 번은 보일오버) [해설작성자 : Vv다혜곤듀vV]
35.
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할로겐화물소화설비에 관한 기준이다. ( )에 알맞은 수치는?
1.
0.1, 1.0
2.
1.1, 2.5
3.
2.5, 1.0
4.
2.5, 4.2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할론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2018. 11. 19.>
1. 축압식 저장용기의 압력은 온도 20℃에서 할론 1211을 저장하는 것은 1.1 ㎫ 또는 2.5 ㎫, 할론 1301을 저장하는 것은 2.5 ㎫ 또는 4.2 ㎫이 되도록 질소가스로 축압할 것 <개정 2012. 8. 20.>
2.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할론 2402를 저장하는 것중 가압식 저장용기는 0.51 이상 0.67 미만, 축압식 저장용기는 0.67 이상 2.75 이하, 할론 1211은 0.7 이상 1.4 이하, 할론 1301은 0.9 이상 1.6 이하로 할 것 <개정 2012. 8. 20.>
발췌 국가법령정보센터 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 소방청
[해설작성자 : 카타르시스]
36.
피리딘 20000 리터에 대한 소화설비의 소요단위는?
1.
5 단위
2.
10 단위
3.
15 단위
4.
100 단위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제1석유 수용성 400L 20000/400 *10 = 5
37.
표준상태에서 적린 8mol 이 완전 연소하여 오산화인을 만드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량은 약 몇 L 인가? (단, 공기 중 산소는 21vol% 이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제4류 위험물 옥내저장탱크에 설치하는 밸브 없는 통기관의 설치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기관의 지름은 30mm 이상으로 한다.
2.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도 이상 구부려 설치한다.
3.
통기관은 가스가 체류되지 않도록 그 선단을 건축물의 출입구로부터 0.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 끝에 팬을 설치한다.
4.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 장치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통기관은 가스가 체류도지 않도록 그 선단을 건축물의 출입구로부터 1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 끝에 팬을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BING]
5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석유류를 취급하는 위험물 제조소의 건축물의 지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상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2.
항상 내화구조로 하여야 한다.
3.
가벼운 불연재료가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내화구조로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4.
내화구가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가벼운 불연료로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붕은 가벼운 불연재료로 덮어야 하지만 제2류(분상, 인화성고체 제외), 제4석유류,동식물유류,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경우 지붕을 내화구조로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지붕은 가벼운 불연재료로 덮어야 하지만 제2류(분상, 인화성고체 제외), 제4류 위험물 중 제4석유류, 동식물유류,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경우 지붕을 내화구조로 할 수 있다는 예외가 있는 건 맞는데 문제 보면 '제1석유류'를 취급하는 위험물 제조소라고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예외 적용 안되고 답은 3번이 아니라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예외규정 하나 더 있습니다.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밀폐형 구조의 건축물의 경우 1.발생할 수 있는 내부의 과압 또는 부압에 견딜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조 일것 2.외부화재에 90분 이상 견딜 수 있을것
문제 이상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파랑계란]
[추가 오류 신고] 예외규정을 드시면서 문제 이상 없다고 주장하셨는데 문제에 어떤 기준에 적합한 밀폐형 구조인지 안 나와있습니다. 문제에 예외규정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면 3번이 답이겠죠. 하지만 문제에서는 제1석유류를 취급하는 위험물 제조소라는 조건 외에 다른 조건은 없습니다. 따라서 1번이 답이고 다른 교재는 모르겠으나 나합격(출판사-삼원북스) 교재에는 1번이 답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
[오류신고 반론] 도미노(출판사-예문사) 교재에는 3번이 답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해설 : 벽, 기둥, 바닥, 보 및 지붕을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하고, 창 및 출입구에는 방화문 또는 불연재료로 된 문을 설치할것. 이상입니다. [해설작성자 : C.현]
[오류신고 반론] Win-Q (시대고시기획)에도 3번으로 명시되어있고, 가벼운 불연재료가 원칙이지만 제 2류 위험물, 제4위험물 제 6위험물 이외에도, 파랑계란님이 말씀하신 예외가 더 있으므로, 3번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볶이]
[추가 오류 신고] 성안당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책에는 문제에 '제4석유류를 취급하는...' 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문제 자체가 잘못됐을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킹받네]
[오류신고 반론] 크라운 교재 정답은 3번입니다. *위험물 제조소의 건축물 지붕 지붕은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불연재료로 덮어야한다. 다만, 위험물 취급하는 건축물이 다음 각목 1에 해당하는 경우, 그 지붕을 내화구조로 할 수 있다. 가. 제2류 위험물, 제4류 위험물 중 제4석유류, 동식물유류 또는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인 경우 나. 다음 기준에 적합한 밀폐형 구조의 건축물인 경우 1) 발생할 수 있는 내부의 과압 또는 부압에 견딜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조일 것 2) 외부화재에 90분 이상 견딜 수 있는 구조일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오류신고 반론] .님 밀폐형 구조가 3번에서 말하는 예외의 예시입니다. 억지부리지마세요 [해설작성자 : 국어공부]
53.
가열했을 때 분해하여 적갈색의 유독한 가스를 방출하는 것은?
1.
과염소산
2.
질산
3.
과산화수소
4.
적린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산화질소 (적갈색) 발생 [해설작성자 : 뀨]
[추가 해설] 질산(HNO3)은 빛이나 열에 의해 분해 4HNO3→2H2O+4NO2+O2 [NO2 적갈색, 유독성] 질산은 갈색병에 넣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찬 곳에 저장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화공과]
5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이황화탄소의 옥외탱크 저장시설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2m 이상이고 누수가 되지 아니하는 철근콘크리트의 수조에 넣어 보관하여야 한다.
2.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2m 이상이고 누수가 되지 아니하는 철근콘크리트의 석유조에 넣어 보관하여야 한다.
3.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3m 이상이고 누수가 되지 아니하는 철근콘크리트의 수조에 넣어 보관하여야 한다.
4.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3m 이상이고 누수가 되지 아니하는 철근콘크리트의 석유조에 넣어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이황화탄소의 옥외저장탱크는 벽 및 바닥의 두께가 0.2m 이상이고, 누수가 되지 않는 철근콘크리트의 수조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55.
금속칼륨의 성질로서 옳은 것은?
1.
중금속류에 속한다.
2.
화학적으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다.
3.
물 속에 보관한다.
4.
상온, 상압에서 액체형태인 금속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금속칼륨(K):경금속으로 이온화 경향이 크며 석유류 속에 보관하는 고체 금속임. [해설작성자 : 안전조아]
5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지정수량 10배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 혼재가 가능한 것은?
1.
제1류 위험물과 제2류 위험물
2.
제2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
3.
제3류 위험물과 제4류 위험물
4.
제5류 위험물과 제6류 위험물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운반 시 혼재 가능 : 제1류와 제6류 위험물 제5류와 제4류와 제2류 위험물 제3류와 제4류 위험물 [해설작성자 : Chemislaw]
57.
적린과 황린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화재발생시 물을 이용한 소화가 가능하다.
2.
이황화탄소에 잘 녹는다.
3.
연소시 P2O5 의 흰 연기가 생긴다.
4.
구성원소는 P 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적린은 이황화탄소에 불용해, 황린은 용해된다. [해설작성자 : 삐용]
적린은 물과 이황화탄소에는 녹지 않고 브롬화인에 녹으며, 황린은 물속에 보관하므로 물에는 녹지 않고 이황화탄소에는 녹는다. [해설작성자 : 할로]
5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운반 용기에 반드시 표시하여야 할 주의사항을 모두 옳게 나열한 것은?
<문제 해설> 트리니트로톨루엔의 성질 : 1. 철, 구리로 만든 용기에 저장하면 위험하다. 2. 휘황색의 침상결정으로 강력한 폭약이다. 3. 비중이 약 1.66으로 물보다 무겁다. 4. 충격에는 민감하지 않으나 급격한 타격에 의하여 폭발한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60.
A 업체에서 제조한 위험물을 B 업체로 운반할 때 규정에 의한 운반용기에 수납하지 않아도 되는 위험물은? (단, 지정수량의 2배 이상인 경우이다.)
1.
덩어리 상태의 유황
2.
금속분
3.
삼산화크롬
4.
염소산나트륨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모든 위험물은 운반 시 운반 용기에 수납하여 운반해야 하며, 덩어리 상태의 유황은 운반하기 위해 적재하는 경우 또는 위험물을 동일 구내에 있는 제조소등의 상호 간에 운반하기 위해 적재하는 경우는 예외. [해설작성자 : Chemislaw]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①
③
③
②
④
②
③
③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①
①
③
①
④
③
③
③
④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①
②
②
②
①
④
②
③
①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③
③
④
②
④
①
①
①
③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③
①
④
③
③
①
②
②
①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③
②
①
②
③
②
①
①
①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