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이소프로필알콜을 산화시키면 카르보닐기(C=O)를 가진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tnsdlf85]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카르보닐기는 케톤이나 알데히드입니다. 2,3,4 모두 산화하여 각각 케톤 알데히드 케톤이 되고 1번만 산화가 불가능한걸로 아는데 문제 오류로 보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2차 알코올을 산화하면 카르보닐기 (케톤)을 얻을수 있습니다. 해당되는 것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훈s]
[추가 오류 신고] 1차알코올도 처음 산화시킬땐 수소 이탈로 알데하이드 생성입니다. 그 이후에도 산화시키면 carboxylic acid생성되구요. -CHO, -COOH 생성으로 카르보닐기 가지는 화합물 맞습니다. 따라서 문제 오류입니다. [해설작성자 : 알파걸]
[오류신고 반론] 저 문제에서 3,4번이 정답이 안 되는 이유는, 산화 최종 생성물은 둘 다 카르복시산(각각 프로피온산, 옥살산)으로서 구조적으로 -COOH 안에 >C=O 가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나눠서 생각하지 않고 카르복시기(-COOH) 작용기 그 자체를 하나의 작용기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카르보닐기(>C=O)라 하면 ">"에 각각 알킬기 R1, R2가 붙어있는 케톤기라고 판단합니다. 포르밀기(HC=O)는 카르보닐기가 들어있는 작용기가 아니라 포르밀기를 그 자체로 하나의 작용기로서 포르밀기가 포함된 화합물을 알데히드라 판단합니다. 또한 1번은 카르복시산인데, 카르보닐기와 -OH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COOH 부분을 통째로 하나의 작용기가 있다고 판단하여 카르복시산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오류신고 반론] 문제의 지적은 충분히 제기 할 만합니다. 작용기(functional group)에서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 엔 케톤과 카르복실산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carbonyl group은 c=o 를 가진 모든 화합물을 통칭하는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유기화학에서 carboxylic group 은 중요해서 또 따로 묶어서 보기 때문에 carbonyl group 하면 먼저 떠오르는 건 keton이나 aldehyde이긴 합니다. 그러나 정의상 엄밀히 따지면 논란이 될만한 표현이라고 봅니다.
한편 시험 문제상으로 살펴보면 2020년도 시점에서 해당기출문제가 당시엔 오류로서 지적되지 않았던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기출 내에서의 표현으로서의 carbonyl기는 주로 최종생성물인 keton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Teno]
[추가 오류 신고] **카보닐기 = 케톤& 알데하이드 **1차 알코올 산화 : 1차알코올 -> 알데하이드(알데히드) -> 카복실산 ** 2차알코올 산화 : 2차알코올 -> 케톤
_여기에서 1차알코올의 생성물이 알데하이드라고 못합니다. 알데하이드에서 절대 멈추지 않거든요. 금방 카복실산으로 바뀝니다. _만약 1차알코올을 알데하이드에서 멈추고 싶으면 특정 시료를 사용했음을 언급해야겠죠(ex_ Dess-Martine, PCC, PDC etc,,,)(몰라도 되는 내용) _고로 단순히 산화라고만 언급한 이 문제에서 1차알코올의 최종 생성물은 카복실산으로 봐야합니다. _카복실산(C=O-OH)의 하이드록시기(-OH)는 치환기(-R)로 표현하지 않습니다. 치환기라 함은 탄소로 시작하는 것(-C~)으로 생각하는 것이 쉽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유기화학은 싫어요]
2.
27℃에서 500mL에 6g의 비전해질을 녹인 용액의 삼투압은 7.4기압이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은 약 얼마인가?
반트 호프의 법칙(Van't Hoff law) 비전해질인 묽은 용액의 삼투암(P)은 용매와 용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용액의 몰 농도와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어떤 물질 n몰이 V(L)중에 녹아 있을 때의 농도는 n/V(mol/L)이되므로 PV=nRT= W/M*RT M=WRT/PV = 6x0.082x(273+27)/7.4x0.5=39.89 [해설작성자 : guess]
3.
H2O가 H2S보다 비등점이 높은 이유는?
1.
이온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2.
수소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3.
공유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4.
분자량이 적기 때문에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F,O,N 수소결합을 할 수 있는 원소입니다. 위의 원소를 가진 분자가 분자간 수소결합을 할 경우 비등점이 높아지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rhrkdals10]
4.
염(salt)을 만드는 화학반응식이 아닌 것은?
1.
HCl + NaOH → NaCl + H2O
2.
2NH4OH + H2SO4 → (NH4)2SO4 + 2H2O
3.
CuO + H2 → Cu + H2O
4.
H2SO4 + Ca(OH)2 → CaSO4 +2H2O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산-염기 반응에서 산의 음이온과 염기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염이라고 합니다.HCl + NaOH → NaCl + H2O 하지만 산화 환원반응에서도 염이 생성됩니다. Mg + 2Hcl → Mgcl2 + H2 넓게 보면, 금속 양이온과 비금속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모두 염이라고 부릅니다. [해설작성자 : 하이러브]
5.
최외각 전자가 2개 또는 8개로써 불활성인 것은?
1.
Na 과 Br
2.
N 와 Cl
3.
C 와 B
4.
He 와 Ne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불활성기체 (18족) 주기율표 제일 오른쪽 최외각전자가 2개 또는 8개로 꽉 차있는 기체로, 안정적이며 헬륨 He, 네온 Ne, 아르곤 Ar, 크립톤 Kr, 제논 Xe, 라돈 Rn 이 있음 최외각 전자는 헬륨만 2개고 나머지는 다 8개 [해설작성자 : 태워닝]
6.
물 200g 에 A 물질 2.9g 을 녹인 용액의 빙점은? (단, 물의 어느점 내림 상수는 1.86℃·kg/mol이고, A물질의 분자량은 58이다.)
mol = 질량 ÷ 원자량 m = n ÷ x x = n ÷ m 이므로 x = n/m [해설작성자 : 김제나루토(놀부)]
13.
에틸렌(C2H4)을 원료로 하지 않은 것은?
1.
아세트산
2.
염화비닐
3.
에탄올
4.
메탄올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기본적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화학자들은 C1 물질이라 하여서 CO2 혹은 CH4를 이용합니다. 물론 CH4는 공기중에 많이 있는 CO2를 통해서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메탄올을 만들기 위해서!! C1 물질인 CH4를 이용하여 Fischer-Tropsch 공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나옵니다. 반응식 ) CH4 + O2 → 2CO + 4H2 → 2CH3OH (메탄올 생성) [해설작성자 : 안용찬]
이상기체 법칙으로 인해 PV = nRT 이므로 1 x 4 = n x 0.082 x (273 + 20) n = 0.1665 mol 1 x V = 0.1665 x 0.082 x (273 + 40) V ≒ 4.27 [해설작성자 : 김제나루토(놀부)]
pv=nrt 공식에서 부피와 온도는 비례한다 부피 온도는 동일하므로 다른 미지수는 삭제 4=20 -> x=40 되었다고 하니, 4:273+20 = x:273+40 x=4.27 [해설작성자 : 양배추]
15.
pH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강한 사람의 혈액의 pH는 5.7 이다.
2.
pH 값은 산성용액에서 알칼리성용액보다 크다.
3.
pH가 7인 용액에 지시약 메틸오렌지를 넣으면 노란색을 띤다.
4.
알칼리성용액은 pH가 7보다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건강한 사람의 혈액일수록 중성에서 약 알칼리쪽으로 가며 즉 PH7이상이다 PH는 산성용액은 7이하 알칼리성용액은 7이상이므로 산성이 알칼리보다 PH가 낮다 메틸오렌지는 산염기지시약의 일종으로 산성에서 붉은색, 중성에서 주황색, 염기성에서 노란색을 띤다. pH 3.1∼4.4을 변색범위로 가지고 있으며 pH 3.1아래에서 붉은색을 띠고 pH 4.4보다 높은 pH에서는 노란색을 띤다. [해설작성자 : 하이러브]
1.건강한 사람의 혈액의 pH는 5.7이다. >> 7.5 2.pH 값은 산성용액에서 알칼리성 용액보다 크다. >>작다 4.알칼리성 용액은 pH가 7보다 작다. >> 크다 [해설작성자 : guess]
16.
3가지 기체 물질 A, B, C 가 일정한 온도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고 있다. 평형에서 A, B, C 가 각각 1몰, 2몰, 4몰이라면 평형상수 K의 값은?
2. 질량 25g의 암모니아(NH3)가 보기에 주어졌으므로, N원자량: 14, H원자량: 1 이므로 NH3분자량 -> 14 + (1 x 3) = 17
3. 질량 Wg의 황산암모늄((NH4)2SO4), 즉 x를 구해야하므로 N원자량: 14, H원자량: 1, S원자량: 32, O원자량: 16 이므로 (NH4)2SO4분자량 -> (14 + 1 x 4) x 2 + (32 + 16 x 4) = 132
4. 2NH3 + H2SO4 = (NH4)2SO4로 인해 17 x 2 : 25 = 132 : W 34 x W = 25 x 132 W ≒ 97g
* 다른 방법으로는 물질량(mol) = 질량(W) / 분자량(M) 이므로 25 / (17 x 2) = W / 132 W ≒ 97g [해설작성자 : 김제나루토(놀부)]
18.
일반적으로 환원제가 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수소를 내기 쉬운 물질
2.
전자를 잃기 쉬운 물질
3.
산소와 화합하기 쉬운 물질
4.
발생기의 산소를 내는 물질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환원제란, 자신은 산화되면서 상대물질을 환원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나연]
환원제란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 산화란 산소, 산화수 증가 전자, 수소 감소하는 것 1. 수소를 내기 쉬운물질 : 수소 감소 - 산화되기 쉬운것 2. 전자를 잃기 쉬운물질 : 전자 감소 - 산화되기 쉬운것 3. 산소와 화합하기 쉬운물질 : 산소 증가 - 산화되기 쉬운것 4. 발생기의 산소를 내는 물질 : 산소 감소 - 환원되기 쉬운것 [해설작성자 : 럭래]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준에서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의 경우 펌프의 전양정 H 는 소정의 산식에 의한 수치 이상이어야 한다. 전양정 H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h1 은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h2 는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h3 는 낙차이며, h1, h2, h3 의 단위는 모두 m 이다.)
고가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 H = q방수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 35m [해설작성자 : 가압송수장치]
2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물분무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은?
1.
알칼리금속과산화물
2.
금속분 · 마그네슘
3.
금수성물질
4.
인화성고체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알칼리 금속의 과산화물은 물과 반응하면 산소를 발생시킨다. 금속분, 마그네슘은 물과 반응하면 수소를 발생시킨다. 금수성물질은 물과 반응하면 수소, 아세틸렌,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위 3가지 모두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29.
다음 제1류 위험물 중 물과의 접촉의 가장 위험한 것은?
1.
아염소산나트륨
2.
과산화나트륨
3.
과염소산나트륨
4.
중크롬산암모늄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 1류 위험물 중 과산화칼륨, 과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과산화물은 물과 접촉하면 급격히 발열하면서 산소를 발생하므로 물과 접촉하는 것은 위험하다. [해설작성자 : 시계꽃]
30.
최소 착화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콘덴서를 이용하여 불꽃 방전 실험을 하고자 한다. 콘덴서의 전기용량을 C, 방전전압을 V, 전기량을 Q 라 할 때 착화에 필요한 최소전기에너지 E 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E=1/2QV=1/2CV2 [해설작성자 : 암흑전사이기수]
31.
제1석유류를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에 특형 포방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방출율은 액표면적 1m2 당 1분에 몇 리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9.5L
2.
8.0L
3.
6.5L
4.
3.7L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4류 위험물중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의 옥외탱크저장소에 특형포방출구를 설치하는 경우 방출율은 8L/m2 이다. [해설작성자 : 시계꽃]
*저장량에 관한것* 이동식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의 용기 또는 탱크에 저장하는 소화약제의 양 할론 2402 : 50kg이상 할론 1211 : 45kg이상 할론 1301 : 45kg이상
문제는 저장량이 아니라 분사량을 묻는 문제이므로 45kg이 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미시킬러]
1.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오스 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0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2. 소화약제의 저장용기의 개방밸브는 호오스릴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 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는 호오스릴을 설치하는 장소마다 설치할 것 4. 노즐은 섭씨 20도에서 하나의 노즐마다 1분당 다음 표에 의한 소화약제를 방사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알코올 화재 시 수성막포 소화약제는 내알코올포 소화약제에 비하여 소화효과가 낮다. 그 이유로서 가장 타당한 것은?
1.
소화약제와 섞이지 않아서 연소면을 확대하기 때문에
2.
알코올은 포와 반응하여 가연성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3.
알코올이 연료로 사용되어 불꽃의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4.
수용성 알코올로 인해 포가 소멸되기 때문에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수용성 액체(알코올) 화재 시 내알코올포 외의 포 소화약제를 사용하면 거품이 꺼져 소화효과가 낮다. [해설작성자 : Chemislaw]
39.
주유취급소에 캐노피를 설치하고자 한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캐노피의 설치 기준이 아닌 것은?
1.
캐노피의 면적은 주유취급소 공지면적의 1/2이하로 할 것
2.
배관이 캐노피 내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1개 이상의 점검구를 설치할 것
3.
캐노피 외부의 배관이 일광열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단열재로 피복할 것
4.
캐노피 외부의 점검이 곤란한 장소에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용접이음으로 할 것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문제에서 묻고있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캐노피의 설치 기준은 하위법인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서 확인할 수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3] 주유취급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의 기준 8항 캐노피 가. 선지 2번과 상동 나. 선지 4번과 상동 다. 선지 3번과 상동 [해설작성자 : Teno]
[관리자 입니다. 문제에서 묻고 있는것은 소방기술기준이 아닌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 따른 캐노피 설치 기준입니다.
소방기술기준으로 보면 1, 2, 3, 4번 모두 설치 기준에 해당되며 위험물안전관리법령 기준으로 보면 2, 3, 4번만 설치 기준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 맞습니다.
아래는 소방기술기준에관한규칙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제241조 (주유취급소의 캐노피) 옥외 주유취급소에 캐노피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1. 캐노피의 면적은 주유취급소 공지면적의 2분의 1이하로 할 것 2. 배관이 캐노피 내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1개이상의 점검구를 설치할 것 3. 캐노피 외부의 배관으로서 점검이 곤란한 장소에는 용접이음으로 할 것 4. 캐노피 외부의 배관이 일광열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단열재로 피복할 것
아세트알데히드 = 아세트알데하이드 알데히드와 알데하이드는 같은 말입니다. 발음상의 차이죠.
CH3CHO : 시성식으로 표현한 방법 C2H4O : 분자식으로 표현한 방법
2가지 표현법 모두 C 2개, H 4개, O 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그거나 저거나..]
58.
옥외저장탱크 · 옥내저장탱크 또는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에 저장하는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온도는 몇 ℃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1.
30
2.
40
3.
55
4.
65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압력탱크에 저장할때 : 40도 이하 압력탱크 외에 저장할때 - 산화프로필렌, 디에틸에테르 등 :30도 이하 - 아세트알데히드 등 : 15도 이하 [해설작성자 : 지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압력탱크 외에 저장할때 디에틸에테르는 비점 이하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돈 받고 공부 하는 사람]
[추가 오류 신고]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8] <개정 2021. 7. 13.>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제49조관련)
Ⅲ. 저장의 기준 21. 알킬알루미늄등, 아세트알데히드등 및 디에틸에테르등(디에틸에테르 또는 이를 함유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저장기준은 제1호 내지 제20호의 규정에 의하는 외에 다음 각목과 같다(중요기준).
사. 옥외저장탱크·옥내저장탱크 또는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탱크 외의 탱크에 저장하는 디에틸에테르등 또는 아세트알데히드등의 온도는 산화프로필렌과 이를 함유한 것 또는 디에틸에테르등에 있어서는 30℃ 이하로,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이를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15℃ 이하로 각각 유지할것
이거 보니까 30도 이하 맞네요 [해설작성자 : ㅎㅎㅎ]
[관리자입니다. ㅎㅎㅎ님이 올려주신 규정에 보면... 압력탱크 외에 저장하는이라고 되어 있는데. 문제에서는 압력탱크에 저장하는입니다. 문제와 맞지 않는 규정 같은데요. 이부분에 관하여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옥외저장탱크·옥내저장탱크 또는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 탱크 외에 탱크에 저장하는 디에틸에테르 등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온도는 산화프로필렌과 이를 함유한 것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에 있어서는 30도 이하로, 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이를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15도 이하로 각각 유지할 것 옥외저장탱크·옥내저장탱크 또는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에 저장하는 아세트알데히드 등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의 온도는 40도 이하로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위산기 필기 합격 가즈아]
[오류신고 반론] 관리자님 코멘트 보고 법령 찾아왔습니다. 다른 분이 오류 신고하실 때 남겨주신 법령에서, 사. 항목이 아니라 아. 항목입니다.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8] <개정 2021. 7. 13.>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관한 기준(제49조관련)
Ⅲ. 저장의 기준 21. 알킬알루미늄등, 아세트알데히드등 및 디에틸에테르등(디에틸에테르 또는 이를 함유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저장기준은 제1호 내지 제20호의 규정에 의하는 외에 다음 각목과 같다(중요기준).
아. 옥외저장탱크·옥내저장탱크 또는 지하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에 저장하는 아세트알데히드 등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의 온도는 40도 이하로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법령 찾는거 재밌네]
59.
위험물 운반용기 외부표시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제1류 위험물 중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 화기·충격주의, 물기엄금 및 가연물접촉주의
2.
제2류 위험물 중 인화성 고체 : 화기엄금
3.
제4류 위험물 : 화기엄금
4.
제6류 위험물 : 물기엄금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제 6류 위험물 : 가연물 접촉 주위 입니다. 제 3류 위험물 : 화기엄금 / 충격주의 입니다. [해설작성자 : 니가카라 하와이]
제 5류 위험물이 화기엄금/충격주의 이고 제 3류 위험물은 자연발화성물질은 화기엄금/공기접촉엄금 금수성물질은 물기엄금입니다. [해설작성자 : 위산기]
60.
셀룰로이드류를 다량으로 저장하는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고려하였을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장소는?
1.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곳
2.
습도가 온도가 모두 낮은 곳
3.
습도가 온도가 모두 높은 곳
4.
습도가 낮고 온도가 높은 곳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자연발화가 잘되는 장소 습도가 높고 온도가 높은곳. 자연발화가 안되는 장소 습도가 낮고 온도가 낮은곳 [해설작성자 : 잉깡]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②
③
④
①
③
②
②
④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④
③
③
②
④
④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③
④
③
②
②
③
④
②
④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③
①
④
④
②
④
①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③
③
②
④
④
③
③
②
③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③
③
①
①
①
②
④
②
④
②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