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금속의 경우 대부분 상온에서 고체지이지만, 수은(hg)의 경우 상온에서 액체인 유일한 금속이다. [해설작성자 : 고졸인데 성공할겨]
2.
[OH-] = 1×10-5mol/L 인 용액의 pH와 액성으로 옳은 것은?
1.
pH=5, 산성
2.
pH=5, 알칼리성
3.
pH=9, 산성
4.
pH=9, 알칼리성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pOH를 구하면 -log[OH] = pOH = 5 임을 알수있다 pH + pOH = 14 이므로 pH = 9임을 알 수있다. 또한 pH = 7을 기준으로 산성/알칼리성으로 나뉘는데 pH가 9이므로 알카리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모동]
3.
다음 물질 1g을 각각 1kg의 물에 녹였을 때 빙점강하가 가장 큰 것은?
1.
CH3OH
2.
C2H5OH
3.
C3H5(OH)3
4.
C6H12O6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빙점강하란 어는점내림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공식은 빙점강하 = 델타 t = (1000 x w x Kf) / (M x a) w : 용질의 질량 , M : 용질 분자량 , a : 용매 질량 인데 여기서 w와 a는 주어졌으므로 변수인 M을 통해 델타 t(빙점강하)를 결정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빙점강하는 분자량과 반비례하므로 분자량이 가장 작은 1번을 골라야 답이 됨을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기모동]
4.
다음 중 침전을 형성하는 조건은?
1.
이온곱>용해도곱
2.
이온곱=용해도곱
3.
이온곱<용해도곱
4.
이온곱+용해도곱=1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침전을 형성하는 조건 이온곱이 용해도곱보다 클 때, 이온곱과 용해도곱이 같아질 때까지 침전이 된다. ∴ 이온곱 > 용해도곱 일 때 침전이 일어남 [해설작성자 : TtungChang]
벤젠은 인화성액체 물이고 H2O는 물이다. 쉽게 극성과 비극성으로 보면 되는데 이 둘은 섞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라호펑]
벤젠은 4류 1석유류 비수용성이므로 녹지않습니다. 벤젠은 6각형을 유지하고있는데 벤젠으로부터 파생된 화합물들은 대부분 비수용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에틸벤젠, 자일렌, 톨루엔 등 [해설작성자 : 양배추]
7.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와 산소의 부피비는 0.79 : 0.21 이므로 질소와 산소의 분자수의 비도 0.79 : 0.21 이다. 이와 관계있는 법칙은?
1.
아보가드로 법칙
2.
일정 성분비의 법칙
3.
배수비례의 법칙
4.
질량보존의 법칙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아보가드로의 법칙 : 모든 기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 아래에서는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하고 있다는 법칙.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공기중이라고 이야기 했으므로 상온(25도),압력(1기압)으로 같다고 생각하시고 문제를 풀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뚜이부치]
8.
어떤 기체가 탄소원자 1개당 2개의 수소원자를 함유하고 0°C, 1기압에서 밀도가 1.25g/L일 때 이 기체에 해당하는 것은?
1.
CH2
2.
C2H4
3.
C3H6
4.
C4H8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밀도 = 질량 / 부피
1.25 = X / 22.4(0도,1기압이므로), X = 28 분자량이 28인 것은 2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미지농도의 염산 용액 100mL를 중화하는데 0.2N NaOH 용액 250mL가 소모되었다. 이 염산의 농도는 몇 N인가?
1.
0.05
2.
0.2
3.
0.25
4.
0.5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NV = N'V' 공식에 의해 100 * X = 250 * 0.2 X = 0.5
[추가 해설] 100 : 0.2 = 250 : X 100X = 50 따라서 X는 0.5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백지운]
25°C 의 포화용액 90g 속에 어떤 물질이 30g 녹아 있다. 이 온도에서 이 물질의 용해도는 얼마인가?
1.
30
2.
33
3.
50
4.
63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용해도=용매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g 용액=용매+용질 용매60g에 용질 30g이 녹아 읶으니 X10/6하면 용매100g에 용질 50g이 녹는다. 즉,용해도=50 이다. [해설작성자 : 흑밤]
용해도란?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 용액 = 용매 + 용질 90 = 용매 + 30 용매=60 용매 60에 녹아있는 물질의 양이 30. 60 : 30 = 100 : X(용해도) 따라서 용해도는 5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용해도 = (용질/용매)X100 입니다. 용해도 = (30/60)X100 = =50
12.
탄소와 수소로 되어있는 유기화합물을 연소시켜 CO2 44g, H2O 27g을 얻었다. 이 유기화합물의 탄소와 수소 몰비율(C:H)은 얼마인가?
1.
1:3
2.
1:4
3.
3:1
4.
4:1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C 의 질량 = 44 * (12/44) = 12, C 의 몰수 = 12/12 = 1 H 의 질량 = 27 * (2/18) = 3, H 의 몰수 = 3/1 = 3 비율은 1:3
13.
방사선에서 선과 비교한 α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선보다 투과력이 강하다.
2.
선보다 형광작용이 강하다.
3.
선보다 감광작용이 강하다.
4.
보다 전리작용이 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알파 < 베타 < 감마 < 델타 로 뒤로갈수록 더 투과력이 강하다. [해설작성자 : BING]
14.
탄산 음료수의 병마개를 열면 거품이 솟아오르는 이유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수증기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2.
이산화탄소가 분해되기 때문이다.
3.
용기 내부압력이 줄어들어 기체의 용해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4.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기체가 생성물의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헨리의 법칙에 의하여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이 낮아지면 용해도도 낮아진다.
15.
탄소수가 5개인 포화탄화수소 펜탄의 구조이성질체 수는 몇개인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탄소수가 5개면 3개 6개면 5개로 외우시면 편해요
16.
집기병 속에 물에 적신 빨간 꽃잎을 넣고 어떤 기체를 채웠더니 얼마 후 꽃잎이 탈색되었다. 이와 같이 색을 탈색(표백)시키는 성질을 가진 기체는?
1.
He
2.
CO2
3.
N2
4.
Cl2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Cl2(염소)는 강력한 산화제로 표백작용을 하므로 꽃잎 등을 탈색시킨다.
17.
다음과 같은 순서로 커지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구성 원자의 전기음성도
2.
녹는점
3.
끓는점
4.
구성 원자의 반지름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할로겐족 원소이다.
같은족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할 수록 (위에서 아래로) 이온화 에너지, 전기음성도, 비금속성은 감소한다. 이온 반지름과 원자반지름은 커진다. [해설작성자 : 할로겐원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답 4번입니다. 같은 주기에서는 원자번호가 증가할 수록 전기음성도는 증가하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가 작을수록 전기음성도가 증가합니다.
F < Cl < Br < I 보시면 같은 족이며 원자번호가 큰 것부터 작은것으로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전기음성도가 증가하는것은 맞고, 반지름은 감소합니다. [해설작성자 : 20년위험물준비생]
[오류신고 반론] 전기음성도 증가하고 원자반지름 감소하려면 F >Cl >Br >I 맨 처음 설명이 맞는겁니다 [해설작성자 : 확실히 아는것만 답글해주세요]
[오류신고 반론] 기존 해설 설명이 맞습니다.
참고로 전기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는 일반적으로 F입니다. 왜냐하면 수치의 기준을 정하는데엔 여러 정의가 있으나 흔히 쓰이는 정의는 F 전기음성도 값을 가장 큰 값인 4.0으로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이 기준에 따르면 전기음성도가 큰 대표적인 원소는 크기 순서대로 F,O,N입니다. 7차 교육과정 내에선 중고등학교때도 배우는 내용이니 까먹지 않도록 합시다. [해설작성자 : Teno]
[오류신고 반론] F>Cl>Br>I 전기음성도: F를 4라는 기준을 잡고 멀어질수록 점점 감소합니다. 그러니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멀어지고 감소하죠
이온화에너지: 최외각 전자를 하나 잃는것을 의미합니다. 원자핵에서 전자를 당기고있기에 전자와 원자핵의 거리가 멀수록 약해지고 => 전자껍질의 수가 많을수록 이온화에너지는 감소 거리가 같다면 원자핵의 힘이 약할수록 더 작습니다 => 전자껍질의 수가 같다면(같은주기) 원자번호가 낮을수록 이온화에너지는 낮습니다(양성자의 수가 적을수록 약함)(3족, 16속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문제와는 무관)
F<Cl<Br<I 원자반지름: 원자반지름은 1차적으로 전자껍질수에 비례합니다 2차적으로는(전자껍질의 수가 같을 때) 양성자의 힘이 강할수록 전자를 더 강하게 잡아당겨 반지름이 작아지기에 원자번호가 작을수록 더 큽니다 [해설작성자 : 까악까악]
18.
어떤 주어진 양의 기체의 부피가 21°C, 1.4atm에서 250mL이다. 온도가 49°C로 상승되었을 때의 부피가 300mL라고 하면 이 때의 압력은 약 얼마인가?
이상기체 방정식은 신입니다. PV=nRT, 여기서 몰수(n),기체상수(R) 없으니 날려줍시다. 그럼 PV=T 가 되는데 문제의 형식에 맞추면 PV/T = 일정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4x0.25)/(273+21) = (Px0.3)/(273+49) [해설작성자 : 양배추]
표준상태에서 벤젠 2mol이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 공기요구량은 몇 L인가?(단, 공기 중 산소는 21vol%이다.)
1.
168
2.
336
3.
1600
4.
3200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C6H6) + 15O2 = 12CO2 + 6H2O 즉, 2몰의 벤젠이 완전연소 하기 위해서는 15O2가 필요하다. 여기서, 15x22.4L = 336L가 나오고 공기중의 산소는 21%이기 때문에, 336Lx100/21을 계산하면 1600L가 나온다 [해설작성자 : 진리]
33.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어떤 현상에 의해서 온도가 내려가 드라이아이스를 생성 하는가?
1.
주울-톰슨 효과
2.
사이펀
3.
표면장력
4.
모세관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줄 - 톰슨 효과 기체 또는 액체가 소화기 내부의 가는 관을 통과할 때 온도와 압력이 급강하하여 드라이아이스가 생성되면서 관이 막히는 현상
[해설작성자 : 줄 - 톰슨]
3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전역방출방식 또는 국소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의 기준에서 가압식의 분말소화설비에는 얼마 이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MPa
2.
2.5MPa
3.
3.0MPa
4.
5MPa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 제 5조(가압용가스용기)
다. 분말소화약재의 가압용가스 용기에는 2.5MPa 이하의 압력에서 조정이 가능한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조규민]
35.
다음 중 점화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전기스파크
2.
증발잠열
3.
마찰열
4.
분해열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증발잠열은 온도 변화 없이 액체를 기체로 상태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점화원이 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증발잠열이 애초에 열을 뺏어가는 겁니다/ 열을 주진 못할망정 뺏어가면 안되겠쬬?? [해설작성자 : 문제에 필요한 해설만 쓰자 제발좀]
36.
할로겐화합물 중 CH3I 에 해당하는 할론번호는?
1.
1031
2.
1301
3.
13001
4.
10001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할론-abcde a: C b: F c: Cl d: Br e: I 소수처럼 뒤에 원자들이 없으면 0을 생략합니다. H 갯수는 할로겐들 제외한 자리에 다 있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f [해설작성자 : 연민한삶]
37.
연소형태가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목탄
2.
메탄올
3.
파라핀
4.
유황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목탄-표면연소 메탄올,파라핀,유황-증발연소 [해설작성자 : 하이러브]
38.
전기설비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위험물 안전관리법령상 적응성을 가지는 소화설비는?
1.
물분무소화설비
2.
포소화기
3.
봉상강화액소화기
4.
건조사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기설비 화재에 적응성을 갖는 소화설비로는 무상 소화기, 무상강화액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인산염류 등, 탄산수소염류 등 이 있다. [해설작성자 : 구운치킨]
이 문제를 잘 읽어보시면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전기설비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를 물어보았습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의 별표17(소화설비,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기준)의 6-7페이지에 걸쳐있는 '4. 소화설비의 적응성' 부분을 보면 건조사는 해당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1번이고 4번 건조사는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전기설비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고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위험물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의 별표17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작성일 : 2024년 2월 24일 기준)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1. 물분무소화설비 : 미세한 물 입자로 전기 절연성 확보 + 질식/냉각 소화 (건조사는 실제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있지만 법령에 명시된 적응 소화설비가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써니]
위험물을 취급하는 기계ㆍ기구 그 밖의 설비는 위험물이 새거나 넘치거나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위험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설비 또는 위험물의 취급에 수반하여 온도변화가 생기는 설비에는 온도측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서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는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위험물을 취급하는 동관을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진ㆍ풍압ㆍ지반침하 및 온도변화에 안전한 구조의 지지물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지하X 지상O
4번 내용중 풍압이 있잖아요!? 지하에 설치하는데 풍압을 신경쓸필요가 없죠 그래서 지하가 아닌 지상으로 보는게 답인겁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옥외탱크저장소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의 기준에서 간막이 둑을 설치할 경우, 그 용량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간막이 둑안에 설치된 탱크의 용량의 110% 이상일 것
2.
간막이 둑안에 설치된 탱크의 용량 이상일 것
3.
간막이 둑안에 설치된 탱크의 용량의 10% 이상일 것
4.
간막이 둑안에 설치된 탱크의 간막이 둑 높이 이상 부분의 용량 이상일 것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설치기준 .간막이 둑의 높이는 0.3m이상으로하되 방유제 높이보다 0.2m낮게할것 .간막이 둑은 흙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할 것 .간막이 둑의 용량은 간묵이 둑안에 설치된 탱크의 용량의 10% 이상으로 할것 [해설작성자 : 미남티쳐]
50.
다음 중 A~C 물질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
1.
1개
2.
2개
3.
3개
4.
없음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제 6류 위험물
과염소산 할로겐화합물 질산 : 비중이 1.49% 이상인 것 과산화 수소 : 농도가 36% 중량 이상인것 [해설작성자 : 제 6류 위험물]
비중이 1.49%이상인 것보다는 비중이 1.49미만인 경우는 위험물에서 제외입니다. [해설작성자 : 위험물따고파]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a 비중 1.49 이상 질산 b 비중 1.76 이상 과염수산 c 과산화수소 36% 이상 답 a,c 두개라서 2번이 정답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낼 시험]
[오류신고 반론] 과염소산 별도 기준이 없이 위험물 [해설작성자 : 해랑맘]
[오류신고 반론]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1을 보시면 그 기준이 잘 나와있습니다. 별표1의 비고 22에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에 한하고 비고 23에는 질산은 그 비중이 1.49이상인것에 한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과염소산은 그 기준이 없습니다. 따라서 a. 비중 1.49인 질산(해당, 이상은 그 값을 포함함) b. 비중 1.76인 과염소산(해당, 과염소산은 비중이나 농도 기준이 없음) c. 물 60g + 과산화수소 40g(해당, 이 용액의 농도는 40wt%로 36wt%를 넘음) 따라서 정답은 3개입니다. [해설작성자 : 일반화학 A+]
51.
다음 중 위험물 중 가연성 액체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HCIO4, HNO3
2.
HNO3, H2O2
3.
HNO3, HCIO4, H2O2
4.
모두 가연성이 아님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HNO3(질산),HClO4(과염소산),H2O2(과산화수소)는 제6류의 위험물로써, 모두 불연성가스다. 그러므로 4번의 모두 가연성이 아님이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