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융그너 전지] : 양극에 니켈, 음극에 카드뮴 사용.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카드뮴 음극의 전위가 수소의 전위보다 낮아서 카드뮴 전극이 전해액에 대해 완전히 불활성으로 된다. 따라서 유동전류가 아주 낮고 순간적인 방전에 유리하며 안적적으로 최대방전상태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DoubleM]
9.
전기철도에서 궤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침목
2.
레일
3.
캔트
4.
도상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궤도 : 도상 위에 침목 위에 레일 캔트(고도)는 열차가 곡선에서 달릴 때 기울어 넘어지는 걸 막기 위한 궤조(레일) 높이 차이임
※ 전기철도에서 궤도의 구성요소: 침목, 레일, 도상 [해설작성자 : 자케루]
10.
다음 중 전기건조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전열건조
2.
적외선 건조
3.
자외선 건조
4.
고주파 건조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자외선은 살균, 유기물 분해 등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인데]
유도가열, 유전가열 모두 고주파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전력용 퓨즈 구입시 고려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격전압
2.
정격전류
3.
정격용량
4.
정격시간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신고 반론] "구입" 시 고려사항 1. 정격전압 2. 정격전류 3. 정격차단전류 4. 사용장소 [해설작성자 : 잘 모르면 달지마]
12.
전선 및 기계기구를 보호할 목적으로 시설하여야 할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력퓨즈
2.
저압개폐기
3.
누전차단기
4.
과전류차단기
정답 : [
4
] 정답률 : 77%
13.
동심중성선 수밀형 전력케이블의 약호는?
1.
CN-CV
2.
CN-CV-W
3.
CD-C
4.
ACSR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W = 수밀형 [해설작성자 : 지나감]
14.
동전선의 접속 방법이 아닌 것은?
1.
교차접속
2.
직선접속
3.
분기접속
4.
종단접속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동전선의 접속 = 직선,분기,종단,슬리브 [해설작성자 : ㄱㅂㅎ]
15.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애자로서 특히 염진해오손이 심한 지역(바닷가 등)에서 사용되면 애자와 애자핀이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사용시는 조립하여 사용하는 애자는?
1.
지선용 구형애자
2.
내염용 라인 포스트애자
3.
고압핀애자
4.
T형 인류애자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내염용 라인 포스트 애자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애자로서 특히 염진해 오손이 심한 지역(바닷가 등)에서 사용되며 애자와 애자핀이 별도 분리되어 있으며 사용 시는 조립하여 사용하는 애자 바닷가 = 소금 = 소금 "염" = 내염용 생각하면 외우기 편함 [해설작성자 : DB]
16.
케이블트레이에 사용할 수 없는 케이블은?
1.
난연성 케이블
2.
연피 케이블
3.
알루미늄피 케이블
4.
비닐 절연전선
정답 : [
4
] 정답률 : 71%
17.
플로어덕트의 최대 폭이 200mm 초과시 플로어덕트 판 두께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2
2.
1.4
3.
1.6
4.
1.8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의 최대 폭[mm] 플로어 덕트의 판 두께[mm] 150 이하. 1.2 이상 150 초과 200 이하. 1.4 이상 200 초과. 1.6 이상 [해설작성자 : D3]
18.
66kV 이상의 선로에 사용되며 연결금구의 모양에 따라 크레비스형과 볼-소켓형으로 구분되는 애자는?
1.
핀애자
2.
지지애자
3.
장간애자
4.
현수애자
정답 : [
4
] 정답률 : 79%
19.
축전지의 충전방식에서 축전지에 전해액을 넣지 않은 미충전 축전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행하는 충전방식은?
1.
보통충전
2.
세류충전
3.
부동충전
4.
초기충전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보통충전 : 필요할때마다 표준 시간율로 소정의 충전을 하는 방식 2.급속충전 : 비교적 단시간에 보통 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 3.부동충전 :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 대전류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4.세류충전 : 자기 발전량만을 항시 충전한느 부동충전방식 5.균등충전 : 부동충전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때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씩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방식 [해설작성자 : DoubleM]
20.
병실이나 침실에서 시설할 조명기구로 적합한 것은?
1.
반간접 조명기구
2.
반직접 조명기구
3.
직접 조명기구
4.
전반확산 조명기구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병실이나 침실에서는 눈부심을 적게 하기 위해 반사광을 이용해 방을 은은하게 밝혀줘야 됩니다 그래서 직접조명이 아닌 반간접 조명을 이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하리채]
2과목 : 전력공학
21.
최대수용전력이 45×103kW인 공장의 어느 하루의 소비 전력량이 480×103kWh라고 한다. 하루의 부하율은 몇 % 인가?
<문제 해설> A = 1 + Z1/Z3 B = Z1 + Z2 + Z1*Z2/Z3 C = 1/Z3 D = 1 + Z2/Z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t=0+에서 스위치 K를 닫았다. i1(0+), i2(0+)는 얼마인가? (단, C의 초기전압과 L의 초기전류는 0 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과도기적인 순간에, 용량성 reactance는 0 이고, (단락이고) 유도성 reactance는 ∞ 임. (개방임!) 그래서 C는 기호도 전류가 쉽게 넘어갈 수 있는 간격으로 만든 것이며, (실제로는 거의 붙어있는 아주 미세한 간격임!) L의 기호는 전류가 꼬불꼬불 뺑뺑 어렵게 돌아가며 흘러야하니, 순간적으로는 충돌하는 개념을 이해하도록 그린 것임! [해설작성자 : 나대로]
사용전압이 60kV 이하인 특고압 가공 전선로는 상시정전유도작용(常侍靜電誘導作用)에 의한 통신상의 장해가 없도록 시설하기 위하여 전화선로의 길이 12km 마다 유도전류는 몇 ㎂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 : [
2
] 정답률 : 33%
98.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몇 V 이하 인가?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 : [
4
] 정답률 : 31%
99.
식물 재배용 전기온상에 사용하는 전열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로의 대지 전압은 300V 이하
2.
발열선은 90℃ 가 넘지 않도록 시설 할 것
3.
발열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1.0m 이하일 것
4.
발열선과 조영재사이의 이격거리 2.5㎝ 이상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전기온상 (식물재배용 전열장치)의 시설
1. 전로(전기선)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2. 발열선은 그 온도가 80[도씨]를 넘지 아니하도록 한다. 3. 발열선은 다른 설비에 전기적,자기적, 열적인 장애를 주지 않을 것 4. 발열선 방호장치의 금속제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할 것 5. 발열선과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는 2.5[cm] 이상일 것 6. 발열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m] 이하일 것 [해설작성자 : DoubleM]
100.
옥내 저압배선을 가요전선과 공사에 의해 시공하고자 할 때 전선을 단선으로 사용한다면 그 단면적은 최대 몇 mm2 이하이어야 하는가?